•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5권 제4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5권 제4호"

Copied!
19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6 제5권 제4호

(2)

세계곡물시장 동향과 관련 정보, 주요 지표를 정리·분석하여 발간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곡물시장 수급 및 가격동향을 신속히 전달하기 위해

해외곡물시장정보 홈페이지(http://grains.krei.re.kr)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담당

성명환 연구위원 mhsung@krei.re.kr 손미연 연구원 sonmy@krei.re.kr

TEL

061-820-2116

FAX

061-820-2413

(3)

품목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 15 곡물 선물 3월 동향과 4월 전망 41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환율 전망 75 원자재 및 에탄올시장 동향 89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101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111

2016년 하반기 라니냐(La Niña)

발생과 국제 곡물시장 전망 113 2016년 세계 식량정책 보고서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27

해외곡물시장 브리핑 149

FAO 곡물시장 뉴스 151

해외곡물시장 뉴스 161

세계 농업기상 정보 169

주요 곡물생산국의 농업기상 현황 171

부록 179

세계 곡물 통계 181

국가별 대두 통계 185

(4)
(5)

세계 곡물시장 동향과 전망 5

품목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 15

곡물 선물 3월 동향과 4월 전망 41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환율 전망 75

원자재 및 에탄올시장 동향 89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101

(6)
(7)

세계 곡물시장 동향과 전망

해외곡물시장담당자

1.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1. 곡물 전체

1)1)

2015/16년 세계 곡물 생산량은 지난 해 보다 감소한 2,465백만~2,526백만 톤 으로 전망된다. USDA는 전년보다 1.7% 감소한 2,465백만 톤, IGC는 1.7% 감소 한 2,479백만 톤, FAO는 1.3% 감소한 2,526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곡물 소비량 과 기말재고율은 기관별로 증감률 전망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곡물 소비량의 경우 USDA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인 2,453백만 톤, IGC는 0.6% 감소한 2,473백만 톤, FAO는 0.7% 증가한 2,521백만 톤으로 전망하였으며, 기말재고율의 경우 전년대 비 0.1% 감소한 636백만 톤으로 FAO는 전망하였으나, USDA와 IGC는 각각 전년 대비 2.3%, 1.1% 증가한 575백만 톤, 563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교역량은 전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USDA는 전년대비 6.3% 감소한 369백만 톤, FAO는 1.5% 감소한 370백만 톤으로 전망하였으며, IGC는 0.3% 감 소한 363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표 1. 세계 곡물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3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2,508 2,465 -1.7 2,521 2,479 -1.7 2,560 2,526 -1.3

공급량

3,020 3,027 0.2 3,045 3,023 -0.7 3,145 3,161 0.5

소비량

2,458 2,453 -0.2 2,489 2,473 -0.6 2,504 2,521 0.7

교역량

394 369 -6.3 364 363 -0.3 376 370 -1.5

기말재고량

562 575 2.3 557 563 1.1 636 636 -0.1

재고율

22.9 23.4   22.4 22.8   25.4 25.2  

자료: USDA, IGC, FAO-AMIS

1) 곡물 전체는 밀, 쌀, 그리고 잡곡의 합계를 의미함.

(8)

1.2. 쌀

2015/16년 세계 쌀 생산량은 전년보다 1.0~1.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USDA는 전년대비 1.7% 감소한 471백만 톤, IGC는 1.3% 감소한 473백만 톤, FAO는 1.0% 감소한 490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쌀 소비량은 전년보다 증가한 484백만~496백만 톤으로 상승세 지속이 전망된다. USDA는 전년대비 0.2% 증가 한 484백만 톤으로 예상하였으며, IGC는 0.4% 증가한 485백만 톤, FAO는 0.6%

증가한 496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생산량은 줄어드는 반면 소비량은 늘어남에 따라 기말재고량은 지난해 보다 감 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USDA는 전년대비 12.5% 감소한 91백만 톤, IGC는 11.0%

감소한 97백만 톤, FAO는 2.3% 감소한 169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2015/16년 쌀 재고율 또한 전년보다 감소한 18.8~34.1%로 전망된다.

표 2. 세계 쌀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3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479 471 -1.7 479 473 -1.3 495 490 -1.0

공급량

586 575 -1.9 591 569 -3.7 666 664 -0.3

소비량

483 484 0.2 483 485 0.4 493 496 0.6

교역량

44 42 -4.4 42 42 0.0 45 45 -0.2

기말재고량

104 91 -12.5 109 97 -11.0 173 169 -2.3

재고율

21.5 18.8   22.6 20.0   35.1 34.1  

자료: USDA, IGC, FAO-AMIS

그림 1. 세계 쌀 생산량, 소비량, 재고율 변화 추이

90/91 91/92 92/93 93/94 94/95 95/96 96/97 97/98 98/99 99/00 00/01 01/02 02/03 03/04 04/05 05/06 06/07 07/08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재고율 소비량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

500 480 460 440 420 400 380 360 340 320 300

생산량

(9)

1.3. 밀

2015/16년 세계 밀 생산량은 732백만~734백만 톤으로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USDA는 전월에 이어 주요 밀 생산국의 생산증가로 밀 생산량이 전년대 비 1.0% 증가한 732백만 톤으로 전망하였으며, FAO는 전년 대비 0.5% 증가한 733백만 톤, IGC는 0.7% 증가한 734백만 톤으로 예측하였다. 소비량은 지난해 보다 0.6~1.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USDA는 0.6% 증가한 709백만 톤, IGC 는 0.6% 증가한 720백만 톤, FAO는 1.8% 증가한 724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기말재고량 또한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는데, USDA는 전년보다 10.7% 증가한 238백만 톤, IGC는 6.5% 증가한 214백만 톤, FAO는 2.0% 증가한 204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2015/16년 밀 재고율은 28.2~33.6%로 전망된다.

표 3. 세계 밀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3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725 732 1.0 729 734 0.7 729 733 0.5

공급량

920 947 2.9 917 935 2.0 912 933 2.3

소비량

705 709 0.6 716 720 0.6 711 724 1.8

교역량

164 163 -0.6 153 154 0.7 155 152 -1.9

기말재고량

215 238 10.7 201 214 6.5 200 204 2.0

재고율

30.5 33.6   28.1 29.7   28.1 28.2  

자료: USDA, IGC, FAO-AMIS

그림 2. 세계 밀 생산량, 소비량, 재고율 변화 추이

생산량 소비량

90/91 91/92 92/93 93/94 94/95 95/96 96/97 97/98 98/99 99/00 00/01 01/02 02/03 03/04 04/05 05/06 06/07 07/08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750

700

650

600

550

500

재고율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

(10)

1.4. 옥수수

2015/16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전년보다 3.1~4.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USDA는 전년보다 4.0% 감소한 970백만 톤으로 전망하였으며, IGC는 4.3% 감소한 972백만 톤, FAO는 3.1% 감소한 1,002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소비량과 기말재고 량의 경우 기관별로 다르게 전망하였는데, 소비량의 경우 USDA는 968백만 톤, IGC 는 973백만 톤으로 전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반면, FAO는 전년대비 0.3%

증가한 1,002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기말재고량의 경우 USDA는 전년대비 1.0% 증가한 207백만 톤, IGC는 전년과 동일한 수준인 206백만 톤, FAO는 전년보다 0.9% 감소한 216백만 톤으로 전망하 였다. 2015/16년 옥수수 재고율은 지난해보다 증가한 21.2~21.6%로 전망된다.

표 4. 세계 옥수수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3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1,010 970 -4.0 1,016 972 -4.3 1,034 1,002 -3.1

공급량

1,184 1,175 -0.8 1,198 1,178 -1.7 1,218 1,219 0.1

소비량

979 968 -1.1 992 973 -1.9 999 1,002 0.3

교역량

141 120 -14.9 125 127 1.6 128 129 0.8

기말재고량

205 207 1.0 206 206 0.0 218 216 -0.9

재고율

20.9 21.4   20.8 21.2   21.8 21.6  

자료: USDA, IGC, FAO-AMIS

그림 3. 세계 옥수수 생산량, 소비량, 재고율 변화 추이

재고율 생산량 소비량

90/91 91/92 92/93 93/94 94/95 95/96 96/97 97/98 98/99 99/00 00/01 01/02 02/03 03/04 04/05 05/06 06/07 07/08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1,050

950 850 750 650 550 45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

(11)

1.5. 대두

2015/16년 세계 대두 생산량은 전년보다 0.3~0.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USDA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인 320백만 톤으로 전망하였으며, IGC는 전년대비 0.9% 증가한 323백만 톤, FAO는 전년대비 0.6% 증가한 322백만 톤으로 전망하 였다. 소비량 또한 세 기관 모두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USDA는 전년대비 5.7% 증가한 316백만 톤으로 전망하였으며, IGC는 3.2% 증가한 321백 만 톤, FAO는 5.3% 증가한 318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2.6~4.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USDA와 IGC는 각 각 전년대비 2.6% 증가한 79백만 톤, 39백만 톤으로 전망하였으며, FAO는 4.3%

증가한 48백만 톤으로 전망하였다. 2015/16년 대두 재고율은 전년보다 감소한 12.1~25.0%로 전망된다.

표 5. 세계 대두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3월 전망)

전년 대비

2014/15 (추정)

2015/16 (4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319 320 0.3 320 323 0.9 320 322 0.6

공급량

380 397 4.5 348 361 3.7 352 367 4.3

소비량

299 316 5.7 311 321 3.2 302 318 5.3

교역량

126 131 4.0 127 129 1.6 126 131 4.0

기말재고량

77 79 2.6 38 39 2.6 46 48 4.3

재고율

25.8 25.0   12.2 12.1   15.2 15.1  

자료: USDA, IGC, FAO-AMIS

그림 4. 세계 대두 생산량, 소비량, 재고율 변화 추이

90/91 91/92 92/93 93/94 94/95 95/96 96/97 97/98 98/99 99/00 00/01 01/02 02/03 03/04 04/05 05/06 06/07 07/08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재고율 생산량 소비량

30.0%

25.0%

20.0%

15.0%

10.0%

5.0%

0.0%

340 290 240 190 140 90

(12)

2. 월별 선물가격 동향

❚ 남미지역 기상악화 우려로 대두·옥수수 가격 상승

밀 선물가격은 주요 생산국의 수급상황에 따라 등락을 반복해왔으며, 지난달 남 부 대평원 지역의 건조한 기상여건과 한파로 인한 겨울 밀 작황 피해 우려로 강보 합세를 보였다. 그러나 이후 남부 대평원 지역에 비가 내리면서 기상조건이 개선 됨에 따라 작황 전망이 밝아져 미국산 밀 선물가격은 크게 하락하였다. 또한 달러 화 강세로 인한 미국산 밀의 수출경쟁력 저하, 세계 밀 공급량 증가 전망 등은 가 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2016년 4월 현재 밀 선물가격은 톤당 169달러로 전 월대비 3.0% 하락하였으며, 전년동월 대비 12.9% 하락하였다.

옥수수 선물가격은 2016년 2월 중순까지 안정적인 국제 수급 전망과 남미지역 의 작황 개선 전망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이후 환매수 유입과 브라질 체선문제, 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상승하였다. 3월에도 미시시피 델타 지역의 폭우로 인한 파종 지연 및 미국의 에탄올 생산 증가 전망 등으로 상승세가 이어졌으나 3월말 미국의 옥수수 파종면적 전망치 상향조정으로 가격이 급락한 이후 기술적 매수세 유입으로 가격이 반등하였다. 2016년 4월 현재 옥수수 선물가격은 톤당 149달러 로 전월 대비 4.0% 상승하였고 전년동월 대비 0.7% 상승하였다.

대두 선물가격은 매도 포지션 증가로 인한 환매수와 저가 매수세 유입, 미국의 대두박 수출량 증가, 중국의 대두 수입량 증가 등이 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하였 으나, 연이은 풍작으로 인한 세계 대두 공급량 증가는 가격 상승세를 제한하였다.

4월 들어 남미의 기상악화 우려로 인한 미국산 대두의 수출 증가 기대감은 대두 선물가격에 상승 압력을 더하였다. 2016년 4월 현재 대두 선물가격은 톤당 351달 러로 전월 대비 7.1% 상승하였으나 전년동월 대비 1.6% 하락하였다.

4월 미국산 밀, 옥수수, 대두의 선물가격은 품목별로 상이한 흐름을 보였다. 밀 선물가격은 기상여건 개선에 따라 하락하였으며, 옥수수 선물가격은 파종면적 증 가 전망으로 크게 하락한 후 투기적 거래가 이어져 반등한 후 남미의 기상악화 우 려로 상승하였다. 대두 선물가격은 풍부한 세계 공급량 전망에도 불구하고 최근 아르헨티나 폭우로 인한 작황피해와 브라질의 건조한 기상 우려로 미국산 대두의 수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상승하였다.

(13)

그림 5. 밀·옥수수·대두의 월별 선물가격 동향, 2001.1~2016.4

옥수수2) 대두3) 달러/톤

1)

01/1 02/1 03/1 04/1 05/1 06/1 07/1 08/1 09/1 10/1 11/1 12/1 13/1 14/1 15/1 16/1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자료: USDA AMS and ERS(Average monthly closing price for the nearby futures) 주: 1) 밀은 Kansas Chicago Hard Red Winter Wheat 2등급

2) 옥수수는 Chicago Yellow Corn 2등급 3) 대두는 Chicago 1등급

표 6. 곡물 선물가격 동향

(단위: 달러/톤)

2014/15 2015/16 2015.4. 2016.3. 2016.4.

증감률(%) 전년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월 대비

밀¹

218 178 194 174 169 -18.5 -12.9 -3.0

옥수수²

148 146 148 143 149 -1.1 0.7 4.0

대 두²

363 326 357 328 351 -10.1 -1.6 7.1

자료: USDA AMS and ERS(Average monthly closing price for the nearby futures) 주: 1) 밀의 곡물연도는 6-5월이며 2016년 4월 가격은 14일 현재까지의 평균가격임.

2) 옥수수 및 대두의 곡물연도는 9-8월이며 2016년 4월 가격은 14일 현재까지의 평균가격임.

(14)

3. 월별 현물가격(FOB) 동향

❚ 수출수요에 따라 밀 수출가격은 하락, 대두는 상승

밀 수출가격은 3월 미국 남부 대평원 지역의 건조기후에 대한 우려로 상승하였 으나 4월 겨울 밀 벨트 지역에 비가 내리면서 건조한 기상조건이 개선됨에 따라 작황 전망이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되었다. 또한 미국 달러화 강세로 미국산 밀의 수출경쟁력은 저하되는 반면, 미국 밀 재고량 전망치는 상향조정됨에 따라 가격에 하방 압력을 더하였다. 2016년 4월 현재 밀 수출가격은 199달러로 전월 대비 3.9% 하락하였고 전년동월 대비 17.4% 하락하였다.

옥수수 수출가격은 양호한 수출 수요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입국들의 미국산 옥수수 구매 관심이 증가하면서 2016년 4월 현재 옥수수 수출가격은 톤당 163달러로 전월 대비 0.6% 상승하였으며, 전년 동월 대비 7.9% 하락하였다. 미국의 옥수수 파종면적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 됨에 따라 옥수수 선물가격이 크게 하락하였으며, 이는 수출가격에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반면, 건조한 기상으로 인한 브라질의 타이트한 공급 소식과 아르헨티나의 폭우 피해 소식은 수출가격을 지지했다.

2016년 4월 현재 대두의 수출가격은 354달러로 전월대비 2.6% 상승하였으며, 전년동월 대비 9.2% 하락한 수준이다. 아르헨티나는 폭우로 대두 수확이 지연되 면서 수확량의 5% 이상 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이며, 브라질 또한 생산량을 하향 조정함에 따라 남미의 공급량 감소는 미국산 대두 수출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브라질 헤알화 강세는 미국의 수출경쟁력을 강화하였으며, 중국의 대두 수 입 증가도 대두 수출가격에 상승 압력을 더하였다. 중국은 돼지사육 마진 확대, 팜유 가격 상승 등에 따라 지난 3월 대두 610만 톤을 수입하였으며, 이는 전월대 비 35.3% 증가한 수준이었다.

(15)

그림 6. 밀·옥수수·대두의 월별 현물가격 동향, 2001.7~2016.4

옥수수2) 대두3)

1)

01/7 02/7 03/7 04/7 05/7 06/7 07/7 08/7 09/7 10/7 11/7 12/7 13/7 14/7 15/7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달러/톤

자료: 국제곡물이사회(IGC) 주: 1) 밀은 US HRW Gulf

2) 옥수수는 US 3YC Gulf 3) 대두는 US 2Y Gulf

❚ 미국 쌀 가격 하락세, 동남아시아 쌀 가격 상승세

미국 캘리포니아 중립종 쌀은 2008년 세계적인 곡물파동으로 가격이 급등하여 톤당 1,000달러를 상회하였으나 이후 다소 하락하여 2013년 674달러로 안정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2014년 캘리포니아 지역 가뭄 심화로 파종면적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격은 다시 1,150달러까지 급등하였다.

2016년 미국 캘리포니아 중립종 쌀은 재고량 증가와 캘리포니아 가뭄 개선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4월 캘리포니아 중립종 쌀 가격은 톤당 720달러로 전월 대비 8.9% 하락하였고, 전년동월 대비 16.6% 하락하였다.

태국산 장립종의 수출가격도 2008년 급등하였다가 이후 하락하여 안정세를 찾 아가고 있다. 최근 태국은 가뭄이 지속되어 생산량이 감소하였으나 라오스, 캄보 디아 등의 수출량 증가로 수출경쟁이 심화되어 가격 상승이 제한되었다. 2016년 4월 현재 태국산 장립종 가격은 382달러로 전월대비 0.8% 상승하였고, 전년동월 대비 6.4% 하락하였다.

(16)

그림 7. 쌀의 월별 현물가격 동향, 2001.1~2016.4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 달러/톤

캘리포니아2)

태국1)

01/1 02/1 03/1 04/1 05/1 06/1 07/1 08/1 09/1 10/1 11/1 12/1 13/1 14/1 15/1 16/1

자료: USDA Rice Outlook 주: 1) 태국 100% grade B

2) 캘리포니아 Medium Grain 1등품

표 7. 곡물 현물가격 동향

(단위: 달러/톤)

품목 2014/15 2015/16 2015.4. 2016.3. 2016.4.

증감률(%) 전년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월 대비

밀¹

273 215 241 207 199 -21.2 -17.4 -3.9

옥수수²

180 169 177 162 163 -6.1 -7.9 0.6

대두²

402 353 390 345 354 -12.2 -9.2 2.6

쌀³ 태국

420 374 408 379 382 -11.0 -6.4 0.8

캘리포니아

911 803 863 790 720 -11.9 -16.6 -8.9 자료: 국제곡물이사회(IGC), USDA Rice Outlook

주: 1) 밀의 곡물연도는 6-5월이며 2016년 4월 가격은 14일 현재까지의 평균가격임.

2) 옥수수 및 대두의 곡물연도는 9-8월이며 2016년 4월 가격은 14일 현재까지의 평균가격임.

3) 쌀의 곡물연도는 8-7월이며 2016년 4월 가격은 13일 현재까지의 평균가격임.

(17)

품목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

김민수(애그스카우터 대표)*2)

세계 곡물 시장은 새로운 상황으로 변하고 있다. 지난 3월까지 국제 유가의 변동에 따라 국제 증시를 비롯한 환율 등 대외 시장의 요소가 원자재를 비롯한 곡물 가격에 상당한 영향력 을 미쳤으나, 4월부터는 미국을 중심으로 북반구의 본격적인 곡물 파종과 생육이 전개되면서 이들 지역의 곡물 수급 변화가 향후 곡물 가격 변동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 다. 현재 남반구 특히 브라질을 비롯한 아르헨티나의 곡물 작황 및 수확 상황이 곡물 가격 흐름을 주도하고 있으며, 기상 상황 악화로 인하여 대두를 중심으로 곡물 가격이 급격히 상승 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곡물 시장은 기후 변화에 따라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Weather Market”이 되었는바, 지속적으로 기상 모니터링을 통해 세계 곡물의 작황 상태를 면밀히 파악해 나가야 할 것이다.

지난 3월 31일 미국 농무부는 미국 내 주요 곡물에 대한 연간 파종 예상 면적 보고서와 분기별 재고 보고서를 발표하였으며, 이를 기점으로 국제 곡물 가격은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요 곡물의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미국의 올해 옥수수, 대두, 밀 등 파종 예상 면적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옥수수의 경우 시장에서 예측한 것 이상 으로 파종 예상 면적이 크게 늘어나 작년 대비 6% 증가한 93.6백만 에이커에 이를 것으로 발표되었다. 이 예상이 현실화된다면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면적을 기록 할 뿐만 아니라 1944년 이후 역대 세 번째로 높은 파종 면적을 기록하게 될 것이 다. 이로 인하여 옥수수 가격은 일시에 폭락하며 연중 최저점을 갱신하였다. 대두 의 경우 파종 예상 면적은 작년 대비 소폭 감소한 82.2백만 에이커로 발표되었으 며, 밀의 경우도 전체 품종의 파종 예상 면적이 작년 대비 9% 감소한 49.6백만 에 이커로 발표되면서 가격 상승 요인이 되었다.

반면 미국 내 주요 곡물의 재고 상황은 수출 부진으로 인하여 높은 수준을 기록 하고 있어 대두 및 소맥 가격의 상승을 제어하였다. 올해 3월 1일까지 대두의 분기

* agscouter@naver.com, 02-857-2412

(18)

별 재고는 15억 3천만 부셀로 작년 동기 대비 15% 증가하였으며, 밀 전체 품종은 13억 7천만 부셀로 작년 동기 대비 20%나 늘었다. 옥수수 역시 78억 1천만 부셀로 작년 동기 대비 1% 증가하였다.

4월 초부터 미국 내에서 옥수수와 봄밀의 파종이 시작되었고 겨울밀의 생장이 전개되면서 이들 산지의 날씨 상황과 파종 및 생장 속도 또한 큰 관심을 받고 있 다. 현재 주요 산지의 날씨는 양호한 편으로 주요 곡물의 적기 파종과 좋은 생육상 태가 예상되는 점 또한 곡물 가격 하락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

한편 중국은 국가 차원의 옥수수 비축 시스템을 올해 10월부로 폐지키로 하여 과잉 재고에 따른 문제 해소와 국제 시세 보다 30~50% 높은 국내 옥수수 가격을 인하하기 위한 조치를 단행하였다. 중국은 세계 옥수수 재고의 50% 가까운 물량 을 보유하고 있어 상당 물량이 시장에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내수 진작 을 통한 해외로부터의 곡물 수요가 크게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옥수수를 비롯한 소맥 등 주요 곡물 가격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밖에 서유럽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등 구소련 연방 국가들이 곡 물의 주요 생산국이자 수출국으로 부상함에 따라 이들 국가의 수급 상황 또한 곡 물 가격 변동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밀의 경우 이들 국가의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수출량 또한 크게 늘어 세계 밀 가격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세계 밀의 수급 상황은 상당히 양호한 편이며 이로 인하여 밀 가 격은 저점 구간에서 횡보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곡물 가격 하락 요인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대두를 중심으로 곡물 가격이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림에 따라 옥수수 및 소맥 가격 또한 동반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 주된 요인 중의 하나가 남미 특히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곡물 생산 상황의 변화이다. 아르헨티나에서는 많은 양의 비가 내리고 있어 대두 수확 차질과 생산 감소 우려가 대두 가격의 폭등을 유발하고 있다. 아울러 착유용 대두 공급 감소로 인하여 부산물인 대두박 가격이 급등하는 사태 역시 대두 가격 상승의 기폭제가 되고 있다. 또한 브라질의 2기작 옥수수인 일명 사프리나 옥수수 의 생산이 주요 산지 건조한 기후로 인하여 피해를 입고 있다는 소식 역시 국제 옥 수수 가격을 급격히 끌어 올리고 있다. 이미 대두 가격은 연중 최고점을 갱신하여 작년 8월 중반의 고점까지 상승하였으며 옥수수 가격 역시 단기간에 연중 최고점 가까이 올라섰다.

이와 같이 세계 곡물 시장은 주요 생산국들의 날씨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

(19)

하는 “Weather Market”이 됨에 따라 대외 시장의 변동 요인이 미치는 효과는 극 히 적은 편이며 앞으로도 이러한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동안 뜸했던 라니냐 이슈마저 부각되면서 곡물 가격 상승을 부채질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더 욱더 날씨에 대한 민감도가 커지고 있다. 최근 호주를 비롯한 미국 기상청은 적도 부근의 동태평양 해수 온도가 낮아지는 라니냐 현상 발생 확률이 더 높아졌다고 밝혔다. 라니냐 현상 발생시 미국 중서부 곡물 산지는 극심한 가뭄 피해를 입을 것 으로 예상된다. 특히 곡물 작황에 중요한 시기인 올해 여름에 라니냐 현상이 기승 을 부린다면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까지는 라니냐 발생 시기를 예 측하기 어려운 상황임에 따라 계속해서 기상 모니터링을 통해 곡물 작황을 살펴보 아야 한다.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세계 곡물 시장은 펀더멘털 요소에 집중하고 있으며 올해 주요 곡물 생산국의 기후 변화와 생산량 전망이 주요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 을 하고 있어 세계 곡물의 수급 변화에 대한 파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표적으 로 미국 농무부는 세계 주요 국가의 수급 상황을 파악하여 매월 “세계 곡물 수급 전망 보고서”에 반영해 오고 있는데, 이번 4월 보고서까지는 15/16년에 대한 수급 전망을 발표하였으며, 오는 5월부터 16/17년에 대한 수급 예측을 발표할 예정에 있다. 따라서 4월 12일자로 발표된 미농무부 “세계 곡물 수급 전망 보고서”를 통해 15/16년 세계 주요 국가의 곡물 생산량, 소비량, 교역량, 재고 비율 등의 변화를 살펴본다.

1. 국가별 쌀 수급 동향 및 전망

❚ 세계

세계 쌀의 15/16년 4월 기초 재고량 전망치는 1억 362만 톤으로써 태국, 베트 남, 유럽연합 및 서남아시아의 기초 재고량이 증가한 반면 브라질 및 일본의 기초 재고량 감소로 상쇄되어 전월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반면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는 각각 3.5%, 6.3% 감소할 전망이다.

세계 쌀의 15/16년 4월 생산량 전망치는 4억 7,063만 톤으로써 유럽연합 및 멕 시코의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 태국, 베트남, 브라질 및 필리핀의 생

(20)

산량 감소로 인하여 전월 대비 0.1% 줄어들 전망이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 서도 각각 1.7%, 1.6% 감소할 전망이다.

세계 쌀의 15/16년 4월 수입량 전망치는 3,960만 톤으로써 브라질 및 유럽연합 의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국, 서남아시아의 수입량 감소로 인하여 전월 대 비 1.1% 줄어들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도 3.6% 감소함에 반해, 13/14년 대비 해서는 3.1% 증가할 전망이다.

세계 쌀의 15/16년 4월 소비량은 4억 8,408만 톤으로써 인도, 태국, 베트남, 브 라질 및 이집트의 소비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유럽연합 및 일본의 소비량 증가로 상쇄되어 전일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반면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는 각 각 0.3%, 0.5% 증가할 전망이다.

세계 쌀의 15/16년 4월 수출량 전망치는 4,161만 톤으로써 인도의 수출량 증가 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 브라질 및 이집트의 수출량 감소로 인하여 전월 대비 0.1% 줄어들 전망이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도 각각 5.4%, 1.5% 감소할 전망이다.

세계 쌀의 15/16년 4월 기말 재고비율은 17.2%로써 총 공급량 감소에도 불구하 고 수출량 감소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반면 14/15년 및 13/14 년 대비해서는 각각 2.5%p, 3.3%p 감소할 전망이다.

표 1. 세계 쌀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기초

재고량 생산량 수입량 국내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재고비율 15/16.4(A)

103.62 470.63 39.60 484.08 41.61 90.17 17.2

15/16.3(B)

103.65 471.09 40.02 484.23 41.66 90.51 17.2

14/15(C)

107.37 478.80 41.06 482.54 43.98 103.62 19.7

13/14(D)

110.56 478.42 38.40 481.61 42.23 107.37 20.5

증감률(A/B)

0.0 -0.1 -1.1 0.0 -0.1 -0.4

증감률(A/C)

-3.5 -1.7 -3.6 0.3 -5.4 -13.0

증감률(A/D)

-6.3 -1.6 3.1 0.5 -1.5 -16.0

자료: USDA, WASDE-552 APR. 2016.

❚ 주요 공급국

인도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총 공급량은 변동이 없는 가운데

(21)

소비량 감소 대비 수출량 증가로 상쇄되어 기말 재고비율은 변동이 없는 12.3%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수출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소비량 증가와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3.8%p 줄어들 전망이다.

13/14년 대비해서는 소비량 및 수출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감소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8.5%p 줄어들 전망이다.

베트남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기초 재고량 증가와 소비량 감 소에도 불구하고 생산량 감소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0.1% 감소한 2.1%를 기 록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기초재고량 및 생산량 감소와 수출량 증가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1.3%p 줄어들 전망이다. 13/14년 대비해서는 기초 재고 량 증가와 소비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출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1.4%p 줄어들 전망이다.

태국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증가와 소비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1.2% 증가한 24.8%를 기록 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감소와 더불어 소비량 및 수출량 증가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24.0%p 줄어들 전망이다. 13/14년 대 비해서는 수출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감소와 더불어 소비량 증가로 인하여 기말 재고 비율은 28.0%p 줄어들 전망이다.

파키스탄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출량 감소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0.4%p 증가한 15.0%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생산량 감소와 소비량 및 수출량 증가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 율은 8.3%p 줄어들 전망이다. 13/14년 대비해서는 기초 재고량 증가에도 불구하 고 생산량 및 수입량 감소와 더불어 소비량 및 수출량 증가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 율은 7.9%p 줄어들 전망이다.

미국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수입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고 비율은 0.2%p 감소한 19.6%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기초 재고량 증가와 소비량 및 수출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생산량 및 수입량 감소폭이 더 커 기 말 재고비율은 1.4%p 줄어들 전망이다. 13/14년 대비해서는 수출량 증가에도 불 구하고 기초 재고량 및 수입량 증가와 소비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4.9%p 늘어날 전망이다.

(22)

표 2. 주요 공급국의 쌀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기초

재고량 생산량 수입량 국내

소비량

수출 량

기말

재고량 재고비율

인도

15/16.4 17.77 103.00 0.00 98.50 9.00 13.27 12.3

15/16.3 17.77 103.00 0.00 98.90 8.60 13.27 12.3

14/15 22.76 105.48 0.00 98.23 12.24 17.77 16.1

13/14 25.44 106.65 0.00 98.71 10.62 22.76 20.8

베트남

15/16.4 0.96 28.10 0.40 21.85 7.00 0.61 2.1

15/16.3 0.93 28.20 0.40 21.90 7.00 0.63 2.2

14/15 1.00 28.17 0.40 22.00 6.61 0.96 3.4

13/14 0.86 28.16 0.30 22.00 6.33 1.00 3.5

태국

15/16.4 10.10 15.80 0.30 11.00 10.00 5.20 24.8

15/16.3 10.00 15.90 0.30 11.20 10.00 5.00 23.6

14/15 11.72 18.75 0.30 10.90 9.78 10.10 48.8

13/14 12.81 20.46 0.30 10.88 10.97 11.72 53.6

파키스탄

15/16.4 1.56 6.70 0.02 2.80 4.40 1.08 15.0

15/16.3 1.56 6.90 0.02 2.80 4.60 1.08 14.6

14/15 1.33 6.90 0.03 2.70 4.00 1.56 23.3

13/14 0.30 6.80 0.03 2.60 3.20 1.33 22.9

미국

15/16.4 1.55 6.11 0.75 3.85 3.18 1.38 19.6

15/16.3 1.55 6.11 0.76 3.85 3.18 1.39 19.8

14/15 1.03 7.11 0.78 4.16 3.21 1.55 21.0

13/14 1.16 6.12 0.73 3.98 3.01 1.03 14.7

자료: USDA, WASDE-552 APR. 2016.

❚ 주요 수요국

브라질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수입량 증가와 소비량 및 수출 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감소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0.8%p 줄어든 5.2%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수입량 증가와 소비 량 및 수출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생산량 감소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2.0%p 줄어들 전망이다. 13/14년 대비해서는 기초 재고량 및 수입량 증가와 소비량 및 수출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생산량 감소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2.1%p 줄어들 전망이다.

유럽연합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총 공급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0.4%p 증가한 33.6%를 기록할 전망이

(23)

다. 14/15년 대비해서는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입량 감소와 더불어 소비량 및 수출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0.9%p 줄어들 전망이 다. 13/14년 대비해서는 소비량 및 수출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총 공급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0.4%p 늘어날 전망이다.

인도네시아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변동이 없음에 따라 기말 재고비율은 8.3%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는 수입량 증 가와 소비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감소폭이 더 커 기말 재고 비율은 각각 2.0%p, 6.0%p 줄어들 전망이다.

나이지리아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변동이 없음에 따라 기말 재고비율은 9.4%를 유지할 전망이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는 생산량 및 수입량 감소와 더불어 소비량 증가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각각 11.1%p, 2.0%p 줄어들 전망이다.

필리핀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생산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 고비율은 1.2%p 감소한 17.4%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 는 생산량 감소와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및 수입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각각 0.7%p, 4.2%p 늘어날 전망이다.

서남아시아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0.1% 늘어난 15.3%를 기록할 전망이 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는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및 생 산량 감소와 더불어 소비량 증가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각각 3.1%p, 5.8%p 줄어들 전망이다.

표 3. 주요 수요국의 쌀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기초

재고량 생산량 수입량 국내

소비량

수출 량

기말

재고량 재고비율

브라질

15/16.4 0.64 7.60 0.80 7.84 0.75 0.45 5.2

15/16.3 0.69 7.91 0.70 7.94 0.83 0.53 6.0

14/15 0.64 8.47 0.37 7.93 0.91 0.64 7.2

13/14 0.53 8.30 0.53 7.90 0.82 0.64 7.3

유럽연합

15/16.4 1.24 2.06 1.60 3.38 0.28 1.23 33.6

15/16.3 1.23 2.01 1.50 3.28 0.28 1.18 33.2

14/15 1.16 1.96 1.70 3.32 0.27 1.24 34.5

13/14 1.19 1.94 1.53 3.25 0.24 1.16 33.2

(24)

구분 기초

재고량 생산량 수입량 국내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재고비율

인도네시아

15/16.4 3.96 35.30 2.00 38.10 0.00 3.16 8.3

15/16.3 3.96 35.30 2.00 38.10 0.00 3.16 8.3

14/15 5.50 35.56 1.20 38.30 0.00 3.96 10.3

13/14 6.48 36.30 1.23 38.50 0.00 5.50 14.3

나이지리아

15/16.4 1.19 2.71 2.50 5.85 0.00 0.55 9.4

15/16.3 1.19 2.71 2.50 5.85 0.00 0.55 9.4

14/15 0.66 2.84 3.50 5.80 0.00 1.19 20.5

13/14 0.89 2.77 2.80 5.80 0.00 0.66 11.4

필리핀

15/16.4 2.21 11.35 2.00 13.25 0.00 2.31 17.4

15/16.3 2.21 11.50 2.00 13.25 0.00 2.46 18.6

14/15 1.70 11.92 1.80 13.20 0.00 2.21 16.7

13/14 1.49 11.86 1.20 12.85 0.00 1.70 13.2

서남아시아

15/16.4 1.12 1.89 4.05 6.13 0.00 0.94 15.3

15/16.3 1.06 1.89 4.10 6.13 0.00 0.93 15.2

14/15 1.29 1.98 3.93 6.08 0.00 1.12 18.4

13/14 1.50 1.95 3.96 6.12 0.00 1.29 21.1

자료: USDA, WASDE-552 APR. 2016.

❚ 기타

미얀마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변동이 없음에 따라 기말 재고 비율은 2.6%를 유지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생산량 감소와 수출량 증가 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2.0%p 줄어들 전망이다. 13/14년 대비해서는 기초 재 고량 및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량 및 수출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 율은 0.5%p 줄어들 전망이다.

중국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변동이 없음에 따라 기말 재고비 율은 31.7%를 유지할 전망이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는 총 공급량 증가에 도 불구하고 소비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각각 0.4%p, 0.2%p 줄어들 전망이다.

이집트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소비량 및 수출량 감소로 인하 여 기말 재고비율은 9.7%p 증가한 22.0%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증가 및 소비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고 비율은 0.3%p 늘어날 전망이다. 13/14년 대비해서는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증가와 더불어 소비량 및 수출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9.0%p 늘어날 전망이다.

(25)

일본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소비량 증가에 따른 기초 재고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9.3%p 줄어든 28.7%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3.8%p 줄어들 전망이다. 13/14년 대비해서는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 고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감소와 소비량 증가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7.0%p 줄어들 전망이다.

한국의 15/16년 4월 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변동이 없음에 따라 기말 재고비 율은 36.2%를 유지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증가 와 소비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9.3%p 늘어날 전망이다. 13/14년 대비 해서는 총 공급량 증가와 소비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15.8%p 늘어날 전망이다.

표 4. 기타 국가의 쌀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기초

재고량 생산량 수입량 국내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재고비율

미얀마

15/16.4 0.57 12.20 0.00 10.65 1.80 0.32 2.6

15/16.3 0.57 12.20 0.00 10.65 1.80 0.32 2.6

14/15 0.37 12.60 0.00 10.65 1.75 0.57 4.6

13/14 0.55 11.96 0.00 10.45 1.69 0.37 3.1

중국

15/16.4 47.64 145.77 5.00 150.30 0.35 47.76 31.7

15/16.3 47.64 145.77 5.00 150.30 0.35 47.76 31.7

14/15 46.80 144.56 4.70 148.00 0.43 47.64 32.1

13/14 46.83 142.53 4.00 146.30 0.26 46.80 31.9

이집트

15/16.4 0.92 4.00 0.03 3.80 0.25 0.89 22.0

15/16.3 0.92 4.00 0.03 4.00 0.40 0.54 12.3

14/15 0.60 4.53 0.03 4.00 0.25 0.92 21.7

13/14 0.43 4.75 0.03 4.00 0.60 0.60 13.0

일본

15/16.4 2.82 7.65 0.70 8.60 0.08 2.49 28.7

15/16.3 3.20 7.65 0.70 8.30 0.08 3.18 38.0

14/15 3.01 7.85 0.64 8.60 0.07 2.82 32.5

13/14 2.86 7.93 0.66 8.38 0.06 3.01 35.7

한국

15/16.4 1.19 4.33 0.47 4.39 0.00 1.59 36.2

15/16.3 1.19 4.33 0.47 4.39 0.00 1.59 36.2

14/15 0.90 4.24 0.47 4.42 0.00 1.19 26.9

13/14 0.78 4.23 0.31 4.42 0.00 0.90 20.4

자료: USDA, WASDE-552 APR. 2016.

(26)

2. 국가별 밀 수급 동향 및 전망

❚ 세계

세계 밀의 15/16년 4월 기초 재고량 전망치는 2억 1,480만 톤으로써 인도, 캐나 다, 동남아시아 및 파키스탄의 기초 재고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호주, 유럽, 북아프리카 및 서남아시아의 기초 재고량 증가로 인하여 전월 대비 0.1% 늘어날 전망이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도 각각 10.8%, 21.4% 증가할 전망이다.

세계 밀의 15/16년 4월 생산량 전망치는 7억 3,314만 톤으로써 북아프리카, 서 남아시아 및 파키스탄의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아르헨티 나 및 유럽연합의 생산량 증가로 인하여 전월 대비 0.1% 늘어날 전망이다. 14/15 년 및 13/14년 대비해서도 각각 1.1%, 2.6% 증가할 전망이다.

세계 밀의 15/16년 4월 수입량 전망치는 1억 6,054만 톤으로써 서남아시아 및 브라질의 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중국, 북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의 수입량 증 가로 인하여 전월 대비 0.1% 증가할 전망이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도 각 각 1.1%, 1.4% 증가할 전망이다.

세계 밀의 15/16년 4월 전체 소비량은 7억 869만 톤으로써 유럽연합의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국, 중국, 브라질 및 파키스탄의 소비량 감소로 인하여 전월 대비 0.1% 줄어들 전망이다. 반면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는 각각 0.6%, 1.6% 증가할 전망이다.

전체 소비량의 19% 이상을 차지하는 사료용 밀의 4월 세계 소비량은 1억 3,292 만 톤으로써 유럽연합의 사료용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국, 중국, 브라질 및 파키스탄의 사료용 소비량 감소로 인하여 전월 대비 0.4% 줄어들 전망이다. 반면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는 각각 1.5%, 5.0% 증가할 전망이다.

세계 밀의 15/16년 4월 수출량은 1억 6,313만 톤으로써 유럽연합, 서남아시아 및 파키스탄의 밀 수출량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카자흐스탄 및 아르헨티나의 밀 수 출량 증가로 인하여 전월 대비 0.3%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는 각각 0.6%, 1.7% 줄어들 전망이다.

세계 밀의 15/16년 4월 기말 재고비율은 27.4%로써 수출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총 공급량 증가와 소비량 감소로 인하여 전월 대비 0.2%p 늘어날 전망이다. 14/15 년 및 13/14년 대비해서도 각각 2.7%p, 4.9%p 늘어날 전망이다.

(27)

표 5. 세계 밀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기초

재고량 생산량 수입량 국내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재고비율

사료용 전체

15/16.4(A)

214.80 733.14 160.54 132.92 708.69 163.13 239.26 27.4

15/16.3(B)

214.65 732.32 160.34 133.49 709.37 162.73 237.59 27.2

14/15(C)

193.92 725.44 158.78 130.94 704.56 164.07 214.80 24.7

13/14(D)

176.88 714.92 158.35 126.54 697.89 165.90 193.92 22.5

증감률(A/B)

0.1 0.1 0.1 -0.4 -0.1 0.3 0.7

증감률(A/C)

10.8 1.1 1.1 1.5 0.6 -0.6 11.4

증감률(A/D)

21.4 2.6 1.4 5.0 1.6 -1.7 23.4

자료: USDA, WASDE-552 APR. 2016.

❚ 주요 공급국

미국의 15/16년 4월 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소비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고 비율은 0.8%p 증가한 50.1%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수입량 감소 와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증가와 더불어 수출량 감소 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12.7%p 늘어날 전망이다. 13/14년 대비해서는 생산량 및 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증가와 더불어 소비량 및 수출량 감소 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25.9%p 늘어날 전망이다.

유럽연합의 15/16년 4월 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증가 와 수출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소비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0.7%p 감소 한 12.0%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는 소비량 증가에도 불 구하고 총 공급량 증가와 수출량 감소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각각 3.3%p, 5.3%p 늘어날 전망이다.

캐나다의 15/16년 4월 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기초 재고량 감소로 인하여 기 말 재고비율은 0.1% 감소한 14.2%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 해서는 소비량 및 수출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생산량 감소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 율은 각각 7.1%p, 17.6%p 줄어들 전망이다.

호주의 15/16년 4월 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기초 재고량 증가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0.1%p 증가한 18.3%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소비량 및 수출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생산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1.5%p 늘어

(28)

날 전망이다. 13/14년 대비해서는 총 공급량 감소와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 출량 감소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0.5%p 늘어날 전망이다.

아르헨티나의 15/16년 4월 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1.8%p 감소한 6.1%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생산량 감소와 수출량 증가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22.8%p 줄어들 전망이다. 13/14년 대비해서는 총 공급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 량 및 수출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23.9%p 줄어들 전망이다.

러시아의 15/16년 4월 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증가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0.1%p 늘어난 13.4%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해서는 소비량 및 수출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각각 2.6%p, 3.6%p 늘어날 전망이다.

우크라이나의 15/16년 4월 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생산량 증가로 인하여 기 말 재고비율은 0.1%p 증가한 16.1%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및 13/14년 대비 해서는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량 및 수출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비율은 각각 6.2%p, 1.2%p 줄어들 전망이다.

카자흐스탄의 15/16년 4월 밀 수급 상황은 전월 대비 수출량 증가로 인하여 기 말 재고비율은 4.6%p 감소한 22.8%를 기록할 전망이다. 14/15년 대비해서는 기초 재고량 및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량 및 수출량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 비율은 3.5%p 줄어들 전망이다. 13/14년 대비해서는 생산량 감소와 소비량 증가 에도 불구하고 수출량 급감으로 인하여 기말 재고비율은 9.4%p 늘어날 전망이다.

표 6. 주요 공급국의 밀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기초

재고량 생산량 수입량 국내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재고비율 사료용 전체

미국

15/16.4 20.48 55.84 3.27 3.81 31.93 21.09 26.56 50.1 15/16.3 20.48 55.84 3.27 4.08 32.20 21.09 26.29 49.3 14/15 16.07 55.15 4.07 3.33 31.55 23.25 20.48 37.4 13/14 19.54 58.11 4.71 6.20 34.29 32.00 16.07 24.2

유럽 연합

15/16.4 13.83 160.00 6.30 59.00 128.80 32.00 19.33 12.0 15/16.3 13.65 158.46 6.30 57.00 125.75 32.50 20.16 12.7 14/15 9.94 156.83 5.98 54.00 123.50 35.42 13.83 8.7 13/14 10.71 144.59 3.98 49.00 117.30 32.03 9.94 6.7

참조

관련 문서

대만, 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등 동아시아와 동남아 시아 지역의 미국산 농산물 수입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인다. 유로화 대비 미

전월에 비해 아르헨티나의 옥수 수 생산량은 감소함에 반해, 브라질 및 우크라이나의 옥수수 생산량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월에 비해서는 EU의

* Virginia Tech 박사과정 (kshin@vt.edu).. 미국 생산량이 평년 수준으로 회복되어 전체적으로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곡물 생산량은 감소하나 소비량은

북한농업 동향 북한의 대외 교역 동향 대북 지원 및 교류 협력 동향 북한의 경제 및 농업 관련 연구 부록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NORTH KOREA..

세계 최대의 석탄 수입국인 중국은 지난해 말 호주산 석탄의 수입을 금 지한 이후 상시적인 석탄 공급부족 상태에 놓여있다.. 지난해 말부터 금년 초까지 나 타났던

이로 인해 서부 폴란드에서 남동부 유럽 지역에서는 겨울 작물의 휴 면기가 평년대비 1개월 정도 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 추운 날씨(평년대 비 낮은

미산 옥수수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부진한 수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 의 수입 수요에 대한 기대와 더불어 최근 가격 하락 조정 이후 미산 옥수수 가격

17/18년 세계 옥수수 수급과 관련해 전월 대비 미국의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러시 아와 동남아시아의 생산량 감소로 인해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약간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