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증장애인에 대한 연구에서는 주로 돌봄서비스와 직업재활과 관련된 주제로 수행된 내용이 있다. 돌봄서비스의 경우, “장애인활동지원제도”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와 관련하여 현황 및 문제점을 검토하여 개선방 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있으며, 직업재활에 대해서는 중증장애인을 대상 으로 직업재활 및 고용지원을 위한 제도 마련과 서비스 지원 방안을 제

시하는 연구가 꾸준히 있어 왔다. 이외에 중증장애인의 삶의 질을 주제 로 수행한 연구가 있으며, 장애인의 생활만족도를 주제로 수행한 연구들 이 있다.

최병목(2010)은 충청북도 중증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 218명과 이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보조인 153명에 대해서 조사 를 실시한 결과, 활동보조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장애 인의 일상생활 지원 필요정도에 따라 만족도가 높아짐을 제시하면서, 대 도시나 중소도시지역보다 상대적으로 가구소득이나 지원체계가 약한 군 (郡)지역의 중증장애인에 대해서 서비스를 확대하는 것을 제언하였다.

최지선(2009)은 고용안정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한국 장애인고용공단에서 실시한 제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8)을 분석하 였는데, 첫째 고용안정성이 높을 수록 직무만족수준과 생활만족수준이 높아 장애인의 고용안정성이 보장되는 것이 생활만족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직무만족이 고용안정성이 생활만족에 주 는 영향에 매개변수 역할을 한다고 하였으며, 셋째, 직장내 차별경험이 고용안정성이 직무만족수준에 주는 영향을 조절한다고 하면서 장애를 이 유로 한 직간접적인 차별경험 및 정당한 편의제공을 받지 못하는 경우 직무만족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장애친화적 (Disabled-Friendly)사업장이 늘어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사업장 컨설팅 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정명숙‧김종석(2009)은 중증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 개인 요인(자아 존중감, 영적 안녕감, 장애 인식), 환경요인(사회적 지지, 사회통합),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알아보았으며, 이를 위 해 충북지역에 거주하는 1~3급 지체‧뇌병변‧시각‧청각‧언어장애인 131 명(만 18세~69세)에 대해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로는 중증장애인의 삶의 질에는 개인 요인 중 자아존중감이 다른 어떤 변인보다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 변인 중에서는 사회통합 정도와 사회적 지지가,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는 소득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연구는 취업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 요인 연구 (백은령, 2005), 경북 장애인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양점도 외, 2007), 빈곤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이중섭, 2009), 생활체육 참여가 중등부 시각장애학교 학생의 생활만족도와 학업스트레 스 미치는 영향 연구(권미혜 외, 2011) 등 생활만족도의 영향요인에 관 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백은령(2005)은 전반적인 생활만족도에 대해 장애인식, 참여, 수입, 사회적지지, 연령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고용 유 형에 따라 만족감의 수준과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보호고용인 경우, 장애인식, 참여, 수입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고용의 경우에는 장애인식, 참여, 수입, 사회적지지, 성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양점도‧김춘택(2007)은 경북 장애인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결과, 국 민기초생활수급권자여부, 생활비 만족, 여가만족의 경우가 생활만족도와 의 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보고하였고, 이 중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여부 가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이중섭(2009)는 빈곤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 수들을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 인구학적 요인에서는 연령과 성별, 사 회적 요인에서는 차별경험정도와 집구조의 편리함정도, 외출빈도가 신체 적 능력요인에서는 IADL 정도, 정책적 요인에서는 장애등록에 따른 혜 택정도와 장애인복지정책에 대한 만족정도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보고하였다.

A S

3장

A

장애아동‧청소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