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성적인 스타일과 팬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8-81)

1970년대는 서양의 여성복이 발전하는 중요한 과도기였다.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상승의 영향으로, 지나치게 여성적인 매력을 강조하는 의상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 면서 캐주얼하고 깔끔한 실용적인 바지가 여성이 입는 옷의 우선순위로 꼽혔다.

여성들은 남성들만 입는 바지를 그림 3-7에 표현한 것처럼 입기 시작했고, 역사적 으로 볼 때, 20세기 여성복의 가장 위대한 혁명과 창조는 하체에 대한 표현에 있 으며, 여성들은 이로부터 자유롭게 되었고, 현대생활에 진입했다."55)

54) https://vintagedancer.com/1960s/women-1960s-fashion/ (2020.03.20)

55) 이당기. 남바지 여자 스커트-옷의 성별 기호, 장식, 2008, p.45

64

-그림 3-7. 르 스모킹56)

1966년 프랑스 디자이너 이브생로랑은 중성적인 스타일을 개척해 남성의 턱시도 를 모티브로 한 첫 여성 르 스모킹을 디자인했다. 그림 3-7. 은 르 스모킹의 전형 적인 요소로는 넥타이, 조끼, 스키니, 굽이 굵은 하이힐, 금속 질감의 액세서리, 영국풍신사모, 긴슈트, 긴 스카프와 가죽장갑이 있다. 여성의 자연스러운 형태를 연출하고 여성의 신체미를 부각시켜 여성복의 편안함과 기능성을 강화하는 것이 디자인의 콘셉트이다. 르 스모킹은 남성과 비슷한 의상디자인일 뿐만 아니라, 여 성에게 자유로운 태도를 부여하고 여성은 과감히 자신을 통제하고, 더 독립적임과 동시에 스타일리시하게 했다.

1970년대의 특징으로 젊은 트렌드와 중성적인 이미지를 결합한 의상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상체는 몸에 딱 달라붙어 작아지고 하의는 무릎에서 바깥쪽으로 넓어 져, 바지와 치마 모두 피라미드와 유사한 A 형태를 띤 것이 특징이다. 오버 핏의 나팔바지는 1970년대를 대표하는 라인으로, 넓은 밑단이 바지의 전체적인 스타일 링을 과장하고 확대시켜 강렬한 직선감을 선사하며 여성신체의 곡선을 길게 만들 었다. 나팔바지의 유행 이후 여성복의 중성화가 사상 최고조에 달했다. 사회의식 이 한층 개방되면서 여성복의 하의 바지는 이미 일반화되었고, 이에 따라 새로운 여성복 스타일, 나팔바지 슈트가 탄생했다. 나팔바지 슈트의 특징은 상의가 허리 와 몸통을 잡아주고 기장은 엉덩이까지 내려오는 것이 특징이며 바지는 1970년대 특유의 나팔바지 스타일이다. 그림 3-8의 나팔바지 슈트는 여성의 일상복은 물론 의상의 색을 바꾸었고, 간호사의 작업복, 심지어 록스타의 무대 의상까지 됐다.

이 시기의 여성복 스타일은, 젊은 트렌드의 자아 해방을 이뤄냄과 동시에, 사회적

56) http://tonifashion.blog.sohu.com/203604652.html (2020.03.20)

인 형태의 추진으로 성차별을 없앤 중성적인 스타일을 촉진했다.

그림 3-8. 나팔바지57)

제2차 여성주의의 물결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공공분야의 여성운동으로 개방을 기점으로 결혼과 출산에 대한 자율적인 선택권을 요구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쟁이 종료된 후 직장에 돌아온 남성들에 의해 직장에서 가정에 돌아온 여성들은 다시 남성 심미적 관점으로 의상디자인이 변화했다는 것을 알았다. 여성 의 의상에 자유로운 태도를 부여하고 여성은 과감히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의 상이 변화하면서 중성적 의상이 강조되었다는 것을 정리할 수 있다.

57) https://vintagedancer.com/1970s/1970s-fashion-womens/ (2020.03.25)

66

-제5절 제3차 여성주의의 물결

3차 여성주의의 물결은 1980년대 서방국가에서 최초로 발생하여 전 세계로 더욱 확대되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이어졌다. 3차 여성주의의 물결은 2차 여성주의로 성 장한 청년여성에 의해 주창되었다. 3차 여성주의의 물결은 2차 여성주의의 관점을 융합하고 당대의 비판 이론과 융합해 생태여성주의, 사이버여성주의, 기이한 이 론, 유색인종 여성주의 등의 사상의 흐름을 형성했다. 2차 여성주의보다 3차 여성 주의의 물결이 더욱 포용성과 다원성을 지니고 있다. 여성 문제에 주목하는 토대 를 바탕으로, 환경 문제, 인권 문제는 여성 문제와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다.

여성 의상디자인에 대한 개혁운동은 1980년대 앤드로지너스 룩까지 이어져 남성 및 여성의 성 특질을 인정하고 상대방 성의 요소를 의상 형태에 도입하는 특성으 로 나타난다(이현구 & 박길순, 1998)58). 여성 의상디자인을 통한 젠더의 표현이 도입되어 다양하고 적극적으로 드러나면서 20세기 후반 서구 현대패션은 젠더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면서도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형태가 된다. 크레인(Diana Crane)은 패션이 사회문화적으로 개인적인 것과 집단적인 가치를 내포한다는 점에 서 패션을 통해 사회적 위치나 젠더와 같은 상징적 경계를 유지 및 전복시키는 데 유용하다고 주장한다(Crane, 2006)59). 여성 의상디자인은 인체를 보호하고 생활에 편리를 주는 실용적 가치에서부터 계급적 위계를 드러내는 상징적 방법이자 개인 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실현시키는 목적적 가치에 이르기까지 여성 의상디자인은 여성 삶에 있어서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반영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