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외모론적인 남성주의로부터의 해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9-103)

그림 4-4. 톰보이 67)

전통적인 애니메이션에서 여성 캐릭터는 남성의 미적 감각 아래 천사 같은 외모 와 부드럽고 온화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캐릭터 설정들은 모두 남성 발 언권의 산물이다. 여성주의 운동이 전개되면서 영화가 남성보다는 여성의 심미를 더 많이 포용하기 시작했다. 점점 더 다양한 이미지의 애니메이션 여주인공들이 등장하면서 중성화된 심미가 애니메이션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20세기 초 여성주의 운동을 주도한 중성적 성향의 흐름은 애니메이션에서도 똑 같이 드러난다. 1989년 다카하시 루미코(Takahashi Rumiko)의 애니메이션 '난마 '(乱马 らんま)에서 깔끔한 단발머리와 화끈한 성격, 날렵한 몸놀림을 지닌 여주 인공 텐도 아카네(天道あかね)는 독립적이고 강인하며, 선량한 정의감을 가졌 다. 이는 일본 애니메이션 '은혼'(ぎんたま,Gintama)에서 야나규 큐우베에

(やぎゅう きゅうべえYagyuu Kyuubee)의 이미지와 외모가 매우 흡사하다. 그는 죽마고우 시무라 타에(しむら たえ Shimura Tae)를 보호하기 위해 왼쪽 눈을 실 명하고 안대를 착용했으며, 남성적인 옷차림에 검술도 뛰어났다. 애니메이션 여성 이미지에서 남성주의의 심미적 규범을 벗어나면서 애니메이션의 여성 캐릭터는 더 이상 큰 눈, 하얀 피부, 잘록한 허리의 공주 이미지가 아니다. 이와 같이 애니메 이션의 캐릭더 의상 디자인의 변화는 그림 3-3에 나타낸 톰보이68) 의상 디자인과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여성주의 운동은 애니메이션의 심미적 다각

67) '난마','은혼'애니메이션 캡쳐

68) https://vintagedancer.com/category/1920s/ (2020.04.16)

화에 영향을 미친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용감한 전설'의 메리다(Merida) 공주 의 외적 아름다움은 그림 4-5에 나타낸 것처럼 이전 공주와는 확연히 다르다. 이 에 더하여 그림 4-5의 슈렉의 피오나 공주도 대중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데, 그녀는 대중의 공주에 대한 심미를 철저히 뒤집었지만 이 영화로 인해 큰 성 공을 거두며, 여성주의가 사회와 매체에 미치는 이중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그림 4-5. '용감한 전설', 피오나 공주69)

여성주의 물결과 다원적 애니메이션 여성 캐릭터에 대하여 정리하면 여성의 사 상을 가부장제 문화 규범에서 해방시키고, 여성의 이미지를 풍부하게 하고 있음을 알았다. 여성이 계급, 인종, 국가를 초월하고 백인 여성에서 흑인 여성, 황인종 여성으로 확대되고 사회 권력의 양성평등을 주장하는 애니메이션이 등장하고 있음 을 알았다. 여성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하던 봉건주의적 사고에서의 애니메이션이 여성의 외모 중심 사고에서 해방되고 여성은 더이상 유약하지 않으며 자신의 꿈을 독립적으로 추구하는 애니메이션이 등장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69) https://movie.douban.com/subject/3036473/ (2020.04.20)

https://movie.douban.com/subject/1291581/ (2020.04.20)

86

-제3절 제3차 여성주의 물결과 여성 정체성을 강조한 애니메 이션 여성 캐릭터

전쟁의 영향과 산업사회의 생산현장의 변화로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제2차 여성주의와 제3차 여성주의 물결은 세계적으로 탁월한 성과를 거두었다. 여성주의 각 유파의 변증을 거쳐 여성주의 의식도 근본적으로 바뀌게 되었으며, 대부분 여 성이 전통적인 가정주부의 역할에 만족하지 못하고 전통적인 남성 주도의 가치관 이 무너지면서 포스트모던 여성주의가 생겨났다.

포스트모던 여성주의 시기에 애니메이션 캐릭터, 여성의 개성과 이미지가 크게 달라지고, 캐릭터마다 스타일이 상이하게 달라지면서 전통적인 남성의 미적 규범 을 완전히 타파했다. 여성 캐릭터는 더 이상 남성 규범 하의 천사 같이 완벽한 외 모가 아니며, 전통적 남성의 권력에 의해 지배되는 약한 여자도 아닌, 각각의 작 품마다 새로운 캐릭터 이미지와 특성을 보여준다. 1980년대 이후의 애니메이션 작 품에서, 여성상은 더 이상 가부장제 사회의 규범에 따라 존재하지 않는다. 애니메 이션 속 여성 캐릭터의 삶은 가정과 사랑 중심의 새로운 세상을 지향하는 것이 아 니라 과감히 그 굴레를 벗어나 자신의 꿈을 추구한다.

3.1 ‘첫눈에 반하다’라는 고정화된 패턴 해방

초기 반세기가 넘는 애니메이션 영화 중 디즈니는 첫눈에 반하는 사랑을 고취해 왔다. 첫눈에 반하는 사랑은 보통 아름다운 외모를 토대로 형성된 것으로, 공주는 아름답고 착하며 왕자는 잘생기고 멋진 모습이다. 디즈니에서 첫 번째로 이러한 판 에 박힌 이미지를 뒤집은 영화는 미녀와 야수에서 그림 4-6의 왕자는 야수(Beast) 의 이미지로 등장한 것이었다. 더 이상 첫눈에 반할만한 외모를 갖추지 않았고 공 포와 때로는 혐오감으로 해석할 수 있어, 전통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던 멋지고 잘생 긴 남성의 이미지에서 거리가 멀어졌다.

야수는 벨(Belle)에 대한 호감으로 인해 자신을 변화시킨다. 여주인공 벨도 야수 와 어울리는 과정에서 야수의 매력을 끊임없이 발견하게 되며, 선입견을 버리고 결 국 야수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이처럼 오랜 시간을 보낸 후 사랑에 빠지게 되는 애정관은 첫눈에 반하는 사랑의 통념을 깨뜨렸다.

그림 4-6. '미녀와 야수'70)

벨이 야수를 만나기 전 그녀의 아버지가 마음에 들어 했던 개스턴(Gaston)이 있 었다. 하지만 벨은 개스턴의 건방지고 경솔한 성격을 싫어하여 단호하게 거절했 다. 흉측하고 추악한 외모의 야수를 이지만, 벨은 야수와 함께 지내는 과정에서 점점 더 마음을 열고 결국 사랑에 빠지게 되는데, 이는 벨이 독립적인 여성으로서 자신만의 사고와 판단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봉건적 남성주의의 관점에서 표현했던 여성관과 남성에 대한 평가는 그림 4-6의 '미녀와 야수'(Beauty and the Beast)에서 과거 애니메이션이 보여준 외모 지상주의적 관념에서 사람의 사 고와 사랑의 감정은 외모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마음과 교양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미녀와 야수에서 벨의 사고와 판단의 바탕은 그녀의 취미인 독서 에서 비롯됐다. 전통적 사회에서 권력은 교육을 기반으로 한 각종 지식의 축적에 서 비롯되기 때문에 가부장제 사회에서는 남성이 자신의 중심 통치 지위를 지키기 위해 여성 교육에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고, 지식을 가진 여성은 의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통제하기 어렵다고 느꼈다. 벨의 구애자인 개스턴은 "여자는 책을 너무 많 이 보아서는 안 된다, 책을 많이 읽으면 생각과 의식을 갖게 되기 때문”이라며

70) ' 미녀와 야수' 애니메이션 캡쳐

88

-여성이 지식을 갖는 것에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낸다. 책을 즐겨 읽는 벨은 전통에 반역하는 인물이며, 타인의 눈에는 이류가 됐다. 벨은 전통적인 남성 권위주의 사 회의 이류이며, 야수는 왕자 집단 중의 이류이다. 벨은 여성으로서 지식을 습득해 서는 안 되는데 독서를 즐기기 때문이고, 야수는 외모가 호감적이지 못하고 사회 성이 부족한 인물로 표현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두 사람은 모두 독서를 좋아했으 며, 이성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가졌고, 결국 외적인 모습을 넘어 그들은 같은 위치에 섰다. 미녀와 야수에서는 외모 지상주의와 사회적 제도를 벗어나 물질적 판단 보다는 정신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정신적 성숙은 시간과 함께 모든 것을 포용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9-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