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양성(兩性)의 특징이 융합된 의상 디자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3-77)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여성복이 다시 한번 기능화된 남성복에 가까워졌다. 여성 들은 남성이 양성과의 동일성을 실현하길 희망하며, 남성의 억압을 뒤엎고 여성의 종속적인 이미지를 바꾸기를 원했다.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주의의 1차적 물결이 단 순히 남성의 패션 스타일을 모방하는 데서 벗어나 여성만의 패션 스타일을 디자인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시기의 여성복은 남성과 여성의 특징을 융합하는데 중 점을 두었으며, 어깨의 여유를 강조함으로써 남성의 멋스러움을 부각시키고, 몸에 맞는 허리품은 여성의 매력을 부각시켰다. 남성복 원단과 정장 슈트의 조합이 다 시 나타난 것이다.

그러나 1947년 디자이너 크리스찬 디오르는 여성스럽고 고급스러운 스타일의 ' 뉴룩' 계열의 여성복을 선보였다50). 그림 3-5에 나타낸 '뉴룩' 계열의 여성복은

49) https://vintagedancer.com/1940s/women-1940s-fashion/ (2020.03.09)

남성과 관련된 모든 것을 버리고 완전한 여성미를 발산했다. 상의는 어깨의 넓적 함을 없애고 어깨라인은 자연스럽고 동그랗게 변형하고 허리는 조이게 하며, 치맛 자락은 헐렁한 대비를 보여 여성의 슬림함을 부각시켜 20cm 가량의 긴 치마를 연 출했다. 이 시기의 여성들은 단조로운 옷을 벗어 던지고 전쟁의 참혹함을 잊기 위 해 가정부와 사무직원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뉴룩 계열의 여성복을 입었다. 하지 만 여성주의자들은 '뉴룩' 계열의 옷이 해방된 여성들을 다시 옷에 억압되게 만들 었다고 주장한다. 여성주의자들은 이런 의상이 여성들의 쉽지 않은 사회적 지위를 상실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여성주의는 이 패션 스타일에 항의하기 위해 시 위 군중을 구성했다. 하지만 크리스찬 디오르의 디자인은 1950년대 여성복의 유행 을 선도하였다.

그림 3-5. 뉴룩 51)

제4절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여성주의 역할로 여성을 위한 선거권, 교육권, 취업 문제 등을 중심에 놓고 양성평등적 가치를 주장하며 자유롭고 활동적인 의상 이 등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의 세계대전은 여성복을 활동적이고 기능적 인 형태로 개혁하게 했고 여성에 대한 자의 의식이 개혁하는 계기가 됐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개혁적인 여성주의의 영향으로 여성의 의상이 남성의 의복을 적용하 면서 여성 신체의 특징이 사라진 다음 여성의 아름다움을 회복하는 운동이 일어나 50) NEW LOOK: 1947년에 diro는 전쟁 전의 디자인과는 다른 스타일의 의상 발표회를 디자인하여 여성스럽고 우아한 여성복을 연출하다. 당시 '바자르' 편집자인 '카만아 사농' 부인은 보고 나서 "완전한 혁명이다. 디자인의 스커트, NEW LOOK이다."

51) https://vintagedancer.com/1940s/women-1940s-fashion/ (2020.03.12)

60

-여성의 신체의 아름다움과 남성의 강인함을 혼합하여 의상을 디자인하는 형태가 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는 점이 4장에서 얻은 결론이다.

제4절 제2차 여성주의의 물결

1960년대 제2차 여성주의 물결이 1980년대까지 이어졌다. 여성억압의 주된 원인 을 여성의 생물학적 현실, 즉 출산 및 육아와 관련된 여성의 생리적 특징에 두고 있다. 이때 미국 여성주의가 촉발한 운동은 세계 주요 선진국에 확산되면서 양성 차별 해소를 바탕으로 성차별주의 및 남성의 권리를 비판했다. 2차 여성주의 운동 은 공공분야의 여성에 대한 개방은 물론 결혼과 출산에 대한 자율적인 선택권을 요구한다. 사회, 경제, 생활 등 다방면에서 양성간의 직접적인 차이를 연구하고 여성문화를 발전시켜 여성의 장점을 살리고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도록 유도하자 는 것이다.

여성주의의 제2의 물결은 성적 억압과 권력관계에 주목하고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현실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며, 성적 정체성, 억압과 쾌락으 로서의 섹슈얼리티, 이성애중심주의 등과 연관된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였다.52)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전 세계의 경제가 공항상태로 퇴보하면서 분야마다 악영향을 받는 등 업종 발전에 제한을 받았다. 당시 남성과 여성의 취업에 대한 평등한 대우가 이뤄졌지만, 경기 침체로 고용률이 하락하면서 특히 여성의 실업률 이 악화되었다. 많은 여성들이 다시 가정으로 복귀해야 했고, 일할 기회를 잃은 여성들이 다시 가정주부의 위치로 돌아와야 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이 시기의 여성복은, 또 남성의 심미에 의해 주도되었고, 이것은 여성주의자들의 불만을 불러일으켰으며, 이것이 2차 여성주의의 물결로 이어졌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몸은 사회학의 합당한 주제가 아니고 자연과 개인에게 속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사회학이 주제에서 배제되었다고 쉴링은 주장하였다.(임 인숙, 2006)53). 쉴링은 산아제한과 낙태권에 관련된 쟁점들을 정치적 의제로 설정 함으로써 여성들이 남성의 지배와 학대로부터 자신의 아름다운 몸을 되찾기 위한 보다 더 일반적인 문제의 의식을 제기한다.

52) 성정수,“리즈비언 생애사 연구:사회복지 이론과 실천의 비판적 확장,”(박사학위, 중앙대 학교 대학원, 2010), p.000.

53) 임인숙. 몸의 사회학, 파주:나남출판, 2006, p.56.

62

경제적 공항이란 사회 환경에서 여성이 아름다움을 되찾는 대상은 몸이다. 몸을 아름답게 치장하는 방법으로 화장, 머리, 액세서리 등 많은 요소가 있지만, 외형 적으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의상에 집중한다. 여성주의자들은 여성 의 의상으로 존재양식을 표현하는 형식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여성이 불평등과 억 압의 사회적 관계에 연류되는 다양한 측면을 강조한다. 공적영역으로 여성의 진출 정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가부장제가 여성을 견제하기 위해 아름다움의 조건으로 여성을 통제한다. 여성 자신은 가부장적 사회가 그들에게 요구하는 바를 정확히 인지하고 그것을 이용해서 사회적 권력을 획득하기 위해서 자신의 외모를 자본화 하는 데 여성 의상디자인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여성 이 남성들 보다 외모 가꾸기에 더 매달리게 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고 자연스러 운 풍조로 자리잡는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