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중국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Ⅲ. 진출전략

3. 한-중국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2020년 진출 전략

분야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서비스 분야 협력 강화

◈ 대외개방 기조 활용 서비스 산업 진출

○ 외국기업 경영 환경 개선 위한 제도정비・인센티브 활용 ○ 점진적 개방되는 서비스 분야 순차적 접근, 틈새시장 공략

스타트업 협력

◈ 혁신 생태계 활용 스타트업 협력

○ 정부지원・동반성장 생태계로 제4의 창업 붐 출현 ○ 中 정책 활용, 공동창업・인력교류・자본협력 등 유망

진출방식 다변화

◈ 中-홍콩 CEPA 통한 현지진출 방식 다변화

○ 홍콩 서비스사업자(HKSS) 취득으로 본토 투자 제한 우회 ○ 네거티브 방식의 투자협정으로 내국인에 준하는 우대 조치 향유

공동협력 시장 다변화

◈ 台 협력 공동 밸류 체인 구축 華人 경제권 진출 ○ 대만, 아세안 및 환태평양 경제협력 확대 기회 활용 ○ 산업 이전 따른 글로벌 공급 사슬 재편에 적극 대응

서비스・스타트업・자유무역・華人 경제권 활용을 통한

상생 공존형 진출전략 수립

진출전략

가. 대외개방 기조 활용 서비스 산업 진출

경제발전전략 이슈 및 전략적 가치

◦ 新외상투자법 시행, 지식재산권 강화, 反부정행위 확대 등 대외개방 기조 더욱 뚜렷 예정

* 시진핑 주석 2019 오사카 G20, 중국의 5대 개방 중대 조치 발표, 리커창 총리 대외개방이 핵심 국가 정책 천명

◦ 국내총생산 중 3차 산업(서비스업) 비중 2018년 기준 52.2% 기록, 서비스업 중심 경제로 전환 중

경제발전전략 및 주요 이슈

⚬ 외국기업 경영환경 개선 위한 제도정비・인센티브 제도 적극 활용

- 네거티브리스트 축소, 내국민 대우 보장, 자본・금융시장 개방 지속 확대 등 대외 개방 공고화

⚬ 中, 3차 산업 중심 경제체제 전환 기회 활용

- 3차 산업 전폭 지원으로 고부가가치 창출 경제 구축, 해외 협력 수요 다대

협력의제 발굴 및 진출전략

⚬ 점진적 개방되는 서비스 분야 순차적 접근, 틈새시장 공략 필요

- (문화・콘텐츠) IP 라이선싱 활용, SNS 채널 홍보 등 韓 우수 콘텐츠 제작 능력 활용 진출 - (디자인) 실내 인테리어, 건물 디자인 등 외국인 규제 낮은 분야 선제적 진출

디자인 전문기업 중국 진출 성공사례(MNC)

⚬ MNC는 2012년 중국 상하이시에 최초로 진출하였으며, 현재까지 약 350건의 중국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2018년 연 매출액 200억 원을 달성하는 등 성공적으로 현지 정착한 사례

⚬ MNC는 실내 인테리어, 제품 디자인, BI, CI, 브렌딩 등 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중국 건축설계 시공 자격증을 취득하여 공장 건설 등 건설업도 함께 수행하고 있음

자료 : KOTRA 상하이무역관

나. 혁신생태계 활용 스타트업 협력

경제발전전략 이슈 및 전략적 가치

◦ 정부 창업 장려정책과 민간 투자수요 활발, 스타트업 중심의 선순환 창업 생태계 구축

◦ 인터넷 기반 대기업 투자 및 동반성장 관계 구축으로 제4차 창업 붐 → 韓 기술협력・인력 교류 기대

경제발전전략 및 주요 이슈

⚬ 솽촹(双创, 대중창업・만중혁신) 정책 따라 전국적으로 창업 활성화

- 정부 육성정책・지원 및 대기업-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선순환 구조 구축으로 中 내 제4차 창업 붐, 혁신성장 동력 유지

- 인터넷 기반 빅데이터, IoT, AI, 블록체인 등 새로운 창업 아이템으로 주목

- 제조업 업그레이드(중국제조 2025)와 ICT(인터넷+) 중심 미래 먹거리 산업 발굴 추진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거대 중국시장 혁신 주도하는 스타트업 시장 적극 진출 필요

- 첨단기술 글로벌 협력 지원 및 창업 비자 활용 조인트 벤처 등 공동 창업 유망 - 혁신산업 전문인력 수요 증가 → 양국 인력교류 확대 통해 산업 파트너십 구축 - 스타트업 시장규모・성장세 주목, 우수 스타트업 발굴 및 투자 등 자본 진출 고려

다. 中-홍콩 CEPA 통한 현지진출 방식 다변화

경제발전전략 이슈 및 전략적 가치

◦ 중국과 홍콩은 ’03년 최초 체결된 CEPA 협정 확대를 통해 경제협력 지속적으로 강화 * 중-홍 CEPA 상품, 서비스, 투자, 경제기술협력까지 전 범위 통상 협정으로 발전

◦ 외국기업이라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CEPA 서비스, 투자협정 하의 동일한 자유화 조치 적용 * 물류, 유통, 콘텐츠 기업 등 CEPA 서비스협정 활용 사례 증가

경제발전전략 및 주요 이슈

⚬ 홍콩-중국 CEPA 서비스, 투자협정 활용한 중국 시장 진출 플랫폼 역할 강화

- 2003년 CEPA 상품 자유화 협정 이후 2015년 서비스협정, 2017년 투자・경제기술협정 등 추가 협약을 통해 CEPA 적용 범위 확대 중

- 외국기업은 인허가, 지분구조, 자본금 등 제약으로 中 서비스 시장 직접 진출 제한 홍콩서비스 공급자(Hong Kong Supplier, HKSS*)자격 취득으로 금융, 통신, 콘텐츠 등 153개 분야에서 완화된 조건으로 사업 수행이 가능함

협력의제 발굴 및 진출전략

⚬ 대만 산업 이전 따른 글로벌 공급 사슬 재편 협력 추진

- 대만 산업(방직, 석유화학, 식품, 철강 등) 동남아 이전 수요,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적기 대응

⚬ 기술제휴, 상호투자 등 협력모델 다각화로 동남아 내수 시장 공동 진출기회 모색 - 韓 기술력, 台 마케팅・서비스 모델 개발능력 결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 기대

* 헬스케어 분야 日 Sanga 홀딩스 동남아 진출 위해 대만에 법인 설치 2021년 기업공개 예정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