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출유망품목(서비스)

Ⅲ. 진출전략

2. 수출유망품목(서비스)

자료 : 중국브랜드넷(中国品牌网)

첨부

품목명 5 수입관세율(%) 0

로봇교육

선정사유 - 로봇 교육은 학생들의 정보기술능력과 디지털 시대의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교육 가치가 매우 높고 잠재력이 뛰어난 시장으로 평가되고 있음

시장동향

- 산업전망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중국 로봇교육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29.5% 증가한 7.5억 위안, 2024년에 22.9억 위안에 달할 전망임.

- 현재 베이징(北京)、상하이(上海)、광둥(广东)、쟝수(江苏) 등 지역에서는 이미 로봇 교육 을 지방 혹은 학교 과목으로 선정

- 중국의 로봇 교육에 있어서 디자인이 범용형 로봇 위주로 아직은 발전 초보 단계에 머물고 있고 미래 전용 로봇 교육 시장의 발전 잠재력이 클 것으로 사료됨

경쟁동향

- 현재 전 세계 20여 개 국가에서 로봇 프로그래밍을 학교 교재에 포함. 그 가운데 미국、한국、

일본、영국、덴 마크 등 국가의 로봇교육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 - 일본과 한국은 로봇 교육의 실제 응용 면에서 더욱 광범위하게 진행

- 중국 로봇 교육 관련 기업별 시장점유율은 LEGO 그룹(乐高集团) 16.25%, 상하이미래 파트너로봇(上海未来伙伴机器人) 9.52%, 러버교육(乐博教育) 8.26%, 넝리펑보 (能力风暴) 6.55%, 유비쇈(优必选) 5.42%, 치환궁팡(奇幻工房) 4.55%,즈광과기(紫

光科技) 4.32,하얼빈대교육로봇(哈工大教育机器人) 3.11% 기타 42.02%

진출방안

- 중국의 로봇 교육시장 확대에 따라 교육용 로봇 제품의 다양한 형태의 판로 개척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됨

- 특히 민간 로봇 교육시설을 중심으로 이제 신설하고 있는 교육 과정 등에 접목할 수 있는 교육용 로봇 교재와 프로그램 구입 수요가 있을 것으로 추정

- 현지 교육기관의 네트워킹을 보유한 로컬기업과 제휴 확대를 통해 시장진출에 대한 검토가 필요

유망국가 미국, 한국, 일본, 영국, 덴마크 등

첨부

첨부 4 2020년도 주요 정치・경제 일정 및 유망 전시회 캘린더

주요 정치 일정

주요 내용 일시(잠정) 비고

중국 양회

(전국인민대표대회,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2020.3.5 매년 3월 개최

한-중 수교 28주년 2020.8.24

-일대일로 정상포럼(一路一带高峰论坛) 연중 연 2회 개최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 2020.10월 베이징

중-아프리카 협력 포럼 2020.9월 베이징

국제도시회의 2020

(International Metropolis Conference) 베이징

(타이베이) 제15대 총통・부총통 선거 2020.1.11 차이잉원 총통 연임 도전 (타이베이) 제10대 입법위원 선거 2020.1.11 의석수 : 113명 (타이베이) 제10대 입법위원 취임 2020.2.1

(타이베이) 제15대 총통・부총통 취임 2020.5.20

(홍콩) 제7대 홍콩 입법회 선거 2020.9

주요 경제・통상 일정

주요 내용 일시(잠정) 비고

제1회 글로벌 경제발전 및 안전포럼

(全球经济发展与安全论坛) 2020.9월

-중앙경제공작회의(中央经济工作会议) 2020.12월

제3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 미정

제5회 한중일 산업박람회 2020.9월 산동

World Economic Forum 2020.8월

보아오 포럼 2020.3월

중국-중동-유럽 정상 경제회의 랴오닝

(타이베이)5G 상용화 연내

(타이베이)전자 신분증 도입・발급 2020.10월 디지털 인증서 기능 제공

(타이베이)2020년 중앙정부 총예산 발표 2020.2월 (타이베이)2021년 중앙정부 총예산안 발표 2020.8월

제14회 하계 다보스포럼 2020.7월

(홍콩)

아시아 금융 포럼(Asia Financial Forum) 2020.1.13 ∼ 14 (홍콩) 홍콩 재정장관 예산안 발표 2020.3월

첨부

산업 품목 전시회명 일시/장소

부록

중국 경협과 연계된 시장의 변화와 기회

◈ 글로벌 통상 환경의 변화로, 경제 패러다임 전환에 부합하는 공존형 전략모델 마련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추진으로 아시아・태평양 역내 무역 확대를 위해 상호 협력 강화 추진

- RCEP(ASEAN, 중국,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은 아시아・태평양 16개국이 참여하는 메가 FTA로, 전 세계 인구 절반 및 GDP 1/3 차지

시장 변화 및 내수산업 고도화

미-중 통상분쟁의 장기화로 중국의 대미 수출 감소에 따른 EU 등 신시장 개척 증가 → 기존 밸류 체인의 변화

아울러 ‘중국제조 2025’의 산업고도화 정책으로 중국 내 첨단 혁신산업의 R&D 증가 추세 → 중국 산업고도화에 따른 국내기업의 대응 및 변화 필요

기체결 14건(홍콩, 마카오, ASEAN, 칠레, 파키스탄, 뉴질랜드, 싱가포르, 페루, 코스타리카, 대만, 아이슬란드, 스위스, 한국, 호주)

- 한중 FTA 서명 (2015.6.1), 한중 FTA 서비스・투자 후속 협상 진행 중

타결 2건(조지아, 몰디브)

협상 중(RCEP, GCC, 한중일, 스리랑카, 노르웨이, 싱가포르/뉴질랜드/칠레(업그레이드))

추진 검토 중 (네팔, 모리셔스, 몰도바, 몽골, 캐나다, 콜롬비아, 파푸아뉴기니, 피지, 스위스/페루 (업그레이드)

2017년 중국 소비시장은 4조7천억 달러로 전 세계 소비시장의 10.5%를 차지하면서 미국 (29.5%)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로 성장

중산층 규모 4억 명, 구매 성향은 가격에서 품질 위주로 변화

Z세대가 소비주력군으로 부상하며 트렌드와 개성이 신키워드로 부상

√ 중산층 증가로 소비성향 세분화・프리미엄화

소규모 가족 형태 증대, 자녀에 대한 관심 증대, 음식 소비패턴 변화, 중산층을 중심으로 프리미엄 시장 급성장 급격한 고령화, Z세대 부상, 펫팸족(반려동물 키우는人) 증가로 실버시장, 펫코노미 등 시장규모 급확대

√ 對韓 우호적 분위기에 따른 협력수요 증대

신흥국 특성상 정부・유관기관 협력기회 다대(플랜트 프로젝트, 전략물자, G2G, KSP 등 협력사업 발굴 용이)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 시장 : 1992년 이후 교역규모 43배 증가, 우리나라의 최대 흑자 시장

세계 최대 제조업 생산기지로서 우리기업의 주요 투자진출국, 특히 지난 3월 기준 중국 내 한국기업 수는 전체 해외 진출기업 수(7만 7,563개)의 35%(2만 7,446)를 차지해 전체 1위, 투자금액으로는 2위를 기록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에 따른 시장 다변화 정책 추진으로 한국과의 FTA 업그레이드 등 협력 가능성 증대

부록 한-중 관계(수교 28년), 양적 팽창을 넘어 질적 고도화 진입 필요

과거(’92~’12년) 현재(‘12년~현재) 미래 방향성14)

- 경제 고도화의 파트너 - 한국기업의 생산기지 - 국가・제품 브랜드 高

- 제조업의 제3국 이전 - 상생협력 분야 재구축 - 국가・제품 브랜드 저하

- 혁신성장 협력 - 공동 협력이익 창출

⚬ 한중 관계는 1992년 수교 이래 제반 분야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2013년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내실화’로 격상되며 협력의 범위와 폭이 확대

⚬ 한중 관계는 1992년 정식 외교 관계 수립 후, 한국의 대(對)중국 교역량은 1992년 63억 달러에서 2018년 2,686억 달러로 약 43배 증가

- 2018년, 대중(對中) 수출 1,621억 달러, 수입 1,065억 달러(흑자 556억 달러)

⚬ 한중 FTA는 2015년 12월에 발효되었으며, 2018년 3월에 한중 FTA 서비스・투자 분야 후속 협상이 재개됨

⚬ 2016년 7월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양국 관계는 전반적으로 경색되었다가 문재인 정부 출범 (2017.5월) 이후 한중 교류・협력 복원 등 정상화 추진

- 문재인 대통령 중국 국빈 방문(2017.12월)

⚬ 사드 이슈 후 중국 내 우리기업의 기반 약화, 최근 중국의 산업고도화 등 경제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한-중 간 협력 전략 모델 필요

→ 시장 패러다임 전환-산업 생태계 변화를 고려한 수요기반(Made for China), 한-중 공존 (Made with China)형 진출전략 필요

14) 2016년 한국의 사드 배치 이슈로 한중 관계가 냉각되며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미치는 영향 다대. 한-중 간 정치적 이슈가 있어도 경제적 측면의 교류는 원활히 이행될 수 있는 구조개선 및 협력 기제 필요함

한국-중국 및 주요국(지역) 교역/투자 동향

1. 중국의 연도별 주요국(지역) 수입액

- 2018년 중국의 최대 수입국은 한국으로 약 2,043억 달러를 수입함. 이어서 일본 1,802억 달러, 대만 1,772억 달러, 미국 1,535억 달러 규모

- ’17~’18년도 증가율로 비교 시, 한국은 15%, 일본 9%, 대만 14%, 미국 2.6%로 한국이 일본, 미국 등 주요국 대비 높은 증가 추세를 보임

2. 중국 대 주요국 상위5개 수입품목(HS코드 2단위, 2018년 기준)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전 세계 전자기기 및 부품 광물성 연료 기계 및 부품 광물자원 광학기기

한국 전자기기 및 부품 기계 및 부품 광학기기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제품

일본 전자기기 및 부품 기계 및 부품 자동차 및 부품 광학기기 플라스틱제품

대만 전자기기 및 부품 광학기기 기계 및 부품 플라스틱제품 석유화학제품

미국 전자기기 및 부품 기계 및 부품 선박 및 구조물 광학기기 자동차 및 부품

- (수출경합) 중국의 對주요국(지역)의 수입 상위 5대 품목 가운데, 한국과 일본은 4개 품목, 한국과 대만은 5개 품목, 한국과 미국은 3개가 겹침. 중국 1위 수입품목인 전자기기 및 부품(HS 85)는 4개국(지역) 모두 1위 품목임

3. 對중국 투자진출현황

- 2018년 말 누계기준, 중국 진출 우리기업은 27,335개 (한국수출입은행)

* 2008년 (대기업 65%, 중소기업 35%) → 2018년 (대기업 85%, 중소기업 15%)

* 중국의 환경규제 강화, 임금상승의 영향으로 중소기업 위주의 투자는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대규모, 고부가가치 투자 증가 - 고부가가치 투자 사례: 삼성디스플레이(쑤저우), LG디스 플레이 8세대 LCD투자(광저우), 삼성SDI 전기차 배터리 공장(시안), SK화학 나프타 분해시설(우한) 등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부록

한중 관계,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에 대응하는 협력 고도화

* 정부, 기관, 기업으로 연계되는 국가 차원의 구체적인 G2G, B2G, B2B 협력 전략 보강 필요

한・중 정상회담(’17.12월, 베이징)을 계기로 양국은 8대 협력 방향과 주요 추진사업 명시.

☞ 제도기반 구축, 교역의 질적 성장 도모, 미래 신산업 협력 강화, 벤처・창업 분야 협력 확대, 에너지/환경 분야 협력, 인프라 사업의 제3국 공동진출, 사람 중심의 민간 교류・협력 활성화

중국 수요 대비 우리나라의 역량

협력 우선 산업19) 구체적인 역량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식품 및 가공 ◈ 대(對)중국 산업기술 경쟁우위(첨단기술, 의료 등)

◈ 제조기술・생산능력 전 세계 최상위국 - 블룸버그 혁신 지수, 2019 6년 연속 1위

◈ 전통적 ICT 강국

- IT/정보통신 국가기술력 세계 11위(Business Insider, 2017년 6월), , 전자정부 지수(2018년)

◈ 의료, 문화콘텐츠 등 서비스 분야 경쟁력 보유

◈ 스마트시티, 환경 등 프로젝트 先 추진 경험

◈ 한국산 소비재의 높은 브랜드 인지도 지속 콘텐츠와

소비재 유통 기계장비

전자기기 보건의료

ICT 에너지/인프라

양국 경제 협력을 통해 2020년 교역액 3,000억 달러 목표 설정

교역액 목표설정 근거

◈ 2020년 양국 교역 3,000억 달러

- 2018년 교역액 2,686억 달러 대비 314억 달러, 11.7% 증가 목표 설정

<대(對)중국 교역 추이 및 목표>

주1 : 10년 치 연도별 수출입액 (2008년~2018년), 단위 USD 백만

주2 : 2020년 교역액 목표는 2018년 대비 11.7% 증가한 금액으로 목표설정, 단위 USD 백만

15) ASEN, 중국,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 아・태 16개국 참가 메가 FTA, 전 세계 인구 절반 및 GDP 1/3 차지 16) (2019.1~8) 중-미 교역액은 $3,557억(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 중국의 대미 수입액 $802억(전년 동기 26% 감소) 17) 2016년 6월 중국, 몽골, 러시아가 교통 물류 인프라 및 산업 협력에 관한 32개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중・몽・러 경제회랑 건설

프로그램」에 합의하면서 본격 추진 중 (현대경제연구원 2017).

18) 중국-아프리카 53개국 및 아프리카연맹위원회 참가, 2000년 시작하여 2018년 7회 포럼 베이징개최(시주석 주재) 19) 양국 정부정책, 기업 수요(설문), 우리나라 무역 역량과 중국 시장성 분석 등을 통해 도출

부록 한-중국 미래비전 및 실현 전략으로서의 K패키지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으로 아시아・태평양, 유럽, 아프리카 등 국가들과 경제협력 다변화를 추구하고 있어 중국의 주요 권역별 협력 사례를 벤치 마킹하고 한-중 협력 관계 공고화를 위해 미래 공동 지향점 설정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으로 아시아・태평양, 유럽, 아프리카 등 국가들과 경제협력 다변화를 추구하고 있어 중국의 주요 권역별 협력 사례를 벤치 마킹하고 한-중 협력 관계 공고화를 위해 미래 공동 지향점 설정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