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결과 기후변화 건강취약성 지표의 타당도는 일 정 수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됨.

⧠ 수정·보완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산출결과는 다음과 같음.

○ 매개체감염병의 경우 같은 광역시도라도 해당 시군구에 있어 약 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취약성이 높은 지역은 1, 2차 연구결과 모 두 유사하였음.

- 매개체 감염병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은 경남지역 3곳, 부산지 역 4곳, 전남지역 7곳, 전북지역 4곳, 제주지역 1곳, 충남지역

1곳이었음.

○ 식품매개질환의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또한 2차년도 연구결과와 유사하였음. 다만, 경기도지역의 취약성은 상대적으로 감소한 반 면, 경상남도, 제주도, 전북지역은 취약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식품매개질환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은 경기지역 4곳, 경남지 역 2곳, 경북지역 4곳, 부산지역 3곳, 울산지역 1곳, 인천지역 1곳, 전남지역 3곳, 전북지역 1곳, 제주지역 1곳이었음.

○ 홍수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 또한 2차년도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음.

- 홍수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 지역은 전통적으로 홍수에 취약한 경기, 경남, 부산, 인천 지역이었음.

○ 폭염으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성은 경남, 경북, 부산, 전남 등 남부지 방에 집중되어 나타남. 3차년도 연구결과는 2차년도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추가변수와 개선된 변수의 영향으로 보임.

○ 대기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은 경북, 대 구, 부산, 서울, 인천지역이었음. 경북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 분 대도시 지역임. 대기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또한 2차년도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음.

⧠ 가장 우선적으로 모색해야 할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으로는 ‘기후변 화 적응 인벤토리(Inventory) 구축’임. 이외 아래와 같이 중앙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을 살펴볼 필요 있음(5장과 6장 참고).

○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

- 적응대책 효과 평가 및 우수정책 보급

- 건강영향별 민감ㆍ취약계층에 대한 기준 설정 및 DB 구축

- 건강영향별 피해 저감을 위한 정보제공

○ 지자체 차원에서의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

- 기후변화 적응방법에 대한 맞춤형 교육

- 맞춤형 문자서비스 제공

Ⅳ. 결론

⧠ 지금까지 많은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가 개발되거나 산출되었으나 아 직까지 기 산출된 지표의 신뢰성과 타당도를 검토한 연구는 없었음.

○ 본 연구는 시차를 두고 기 산출된 지표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도를 검토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산출하였음.

⧠ 본 연구진은 건강영향별 취약성지표(복합지표)와 함께 6가지 하부지표 를 동시에 산출하여 건강영향별 통합지표의 좋고 나쁨이 어디에서 연 유하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개발․산출하였음.

○ 즉, 각각의 건강영향별로 복합 지표 1개, 하부지표 6개, 총 7개의 지표가 산출되는데 이렇게 구성된 복합지표는 건강영양별로 건강 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정도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하부지표는 취약성의 중요 원인을 파악하는데 유용함.

○ 따라서 기후변화 취약성에 반응하는 적응대책을 수립시 해당 지자 체에서 어떤 적응대책을 우선적으로 수립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근 거를 제공할 수 있음.

*주요용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모형,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A S

1장

A

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