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주거기능과 주거가치

□ 가장 중요한 주거 기능 (1+2순위) : 현재와 미래

가족과의 생활, 휴식 공간 외에 가장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현재 주거의 기능은 주거·업무 등 복합적 기능이 가능한 공간(60.8%), 교통·문화·교육 등 주변에서 제공 되는 서비스를 소비하는 공간(36.6%), 자산가치를 높여 여유로운 생활을 보장하는 수 단(33.2%)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래의 주거 기능에 대해서는 주거·업무 등 복합적 기 능이 가능한 공간(55.8%), 자연환경과 어우러진 친환경적 공간(41.0%), 교통·문화·

교육 등 주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소비하는 공간(34.6%)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료: 본 과제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의식 조사’ 결과

그림 4-13 | 가장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주거의 기능(1+2순위) : 현재와 미래

미래의 주거기능 중 자연환경과 어우러진 친환경적 공간(+13.2%p), 사회적 지위

표현의 수단(+4.1%p)는 현재보다 중요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이웃과 공 동체를 형성하고 더불어 사는 공간(-7.3%p), 주거·업무 등 복합적 기능이 가능한 공 간(-5.0%p) 등은 현재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의 가장 중요한 주거기능과 관련하여 생애단계별로는 청년의 경우 교통·문화·교 육 등 주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소비하는 공간(43.0%)의 응답비중이 높았고, 고령 층의 경우 자연환경과 어우러진 친환경적 공간(38.2%)에 대한 응답비중이 다른 연령 계층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미래의 가장 중요한 주거기능에 대해 고령층은 자연 환경과 어우러진 친환경적 공간(56.6%)이라고 생각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 여 다른 연령계층과 차이를 보였다. 반면, 청년층은 자산가치를 높여 여유로운 생활을 보장하는 수단(38.3%)과 사회적 지위 표현의 수단(30.2%)의 응답비중이 다른 연령 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위: %)

구 분 전체 청년 중장년 고령

현재 미래 현재 미래 현재 미래 현재 미래 주거·업무 등 복합적 기능이 가능한 공간 60.8 55.8 64.3 48.2 59.1 60.3 58.8 54.4 교통·문화·교육 등 주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소비하는 공간 36.6 34.6 43.0 38.0 32.8 32.6 37.5 34.6 자산가치를 높여 여유로운 생활을

보장하는 수단 33.2 30.5 32.3 38.3 35.1 28.2 25.7 19.9

이웃과 공동체를 형성하고 더불어

사는 공간 29.6 22.3 24.5 17.2 31.8 23.7 33.1 29.4

자연환경과 어우러진 친환경적 공간 27.8 41.0 19.3 28.1 30.4 45.1 38.2 56.6 사회적 지위 표현의 수단 11.7 15.8 16.7 30.2 9.9 9.7 6.6 5.1

기타 0.5 0.2 0.0 0.0 0.9 0.3 0.0 0.0

주: 굵은 글씨는 현재 보다 미래에서 증가한 경우 자료: 본 과제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의식 조사’ 결과

표 4-17 | 생애단계별 가장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주거의 기능(1+2순위) : 현재와 미래

미래를 현재와 비교하면 청년층의 경우 사회적 지위 표현의 수단(+13.7%p)이 가 장 크게 증가했으며, 중장년과 고령층은 자연환경이 어우러진 친환경적 공간(각각

14.7%p, 18.4%p)이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자산가치를 높여 여유로운 생활을 보장 하는 수단에 대해 청년층의 응답 비중이 증가(+6.0%p)하여 중장년 및 고령층에서 감 소한 것과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청년층의 경우 미래의 중요한 주거 기능으로 여유로 운 생활보장이나 사회적 지위 표현의 수단에 대한 응답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다른 연령층에 비해 자산으로서의 주거의 기능의 중요성이 더 증대될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 주거가치의 중요성 : 현재와 미래

현재 주거 선택시 고려하는 주거가치는 안전성, 건강성, 안정성의 순으로 중요성이 높았다. 청년층은 안전성, 건강성 및 안정성의 순이었으며, 중장년층은 건강성 및 안 전성, 안정성, 고령층은 건강성, 안전성, 편리성의 순으로 고령층이 다른 연령계층에 비해 편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미래 주거 선택시 고려하는 주거가치의 중요성은 건강성, 안전성, 쾌적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은 원하는 거주기간이 보장되는 주거의 안정성에 대해 중장년과 고령 층에 대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령층과 중장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쾌적성을 주거의 가치로 더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점)

구 분 전체 청년 중장년 고령

현재 미래 현재 미래 현재 미래 현재 미래

1) 쾌적성 4.08 4.31 3.94 4.20 4.13 4.34 4.25 4.42

2) 경제성 4.02 4.10 3.99 4.16 4.05 4.09 3.99 4.01

3) 안정성 4.17 4.26 4.16 4.30 4.16 4.24 4.24 4.23

4) 편리성 4.13 4.26 4.09 4.24 4.13 4.26 4.26 4.28

5) 건강성 4.24 4.33 4.16 4.31 4.25 4.33 4.40 4.42

6) 안전성 4.25 4.32 4.20 4.29 4.25 4.32 4.38 4.39

7) 커뮤니티 3.43 3.59 3.17 3.31 3.53 3.70 3.68 3.78

8) 입지 4.00 4.05 4.01 4.11 3.99 4.03 4.00 4.04

주: 굵은 글씨는 증가폭이 큰 것을 의미함

자료: 본 과제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의식 조사’ 결과 표 4-18 | 주거가치의 중요성 : 현재와 미래

미래의 주거가치에 대한 중요성은 현재보다 모두 증가하였는데, 특히 쾌적성, 커뮤 니티, 편리성의 증가폭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청년층은 쾌적성, 경제성의 증가폭 이 크게 나타났으며, 중장년층은 쾌적성과 커뮤니티, 편리성의 증가폭이 컸다. 고령층 은 안정성은 현재 대비 미래에 중요성은 감소하였고, 쾌적성과 커뮤니티의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자료: 본 과제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의식 조사’ 결과 그림 4-14 | 주거가치의 중요성 : 현재와 미래

2) 주거규범

□ 적정 주택 규모

현재 가구원 수를 고려할 때, 거주하기에 적정한 주택규모는 중위값을 기준으로 1인 가구 20.0평, 2인 가구 25.5평, 3인 가구 30.0평, 4인 가구 34.0평, 5인 가구 35.0 평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가구원 수별 현재 거주면적은 1인 가구 17.0평, 2인 가구 25.5평, 3인 가구 25.5평, 4인 가구 31.0평, 5인 가구 30.0평으로 나타났다. 적정거 주면적을 현재 거주면적과 비교하면 2인 가구는 거의 차이가 없고, 1인 가구와 4인 가구는 약 3평 정도 크며, 3인 가구와 5인 가구는 5평 정도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적정 주택 규모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20평이 최저 수준이었고, 이후 가구 원 수가 1인씩 증가함에 따라 5평 정도씩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1: 가구원 수가 6인 이상인 경우에는 표본 수가 작아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우므로 제시하지 않음 주2: 주거면적의 경우 응답자들이 ‘제곱미터’ 보다는 ‘평’에 대해 더 익숙하므로, ‘평’을 기준으로 제시함 자료: 본 과제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의식 조사’ 결과

그림 4-15 | 가구원 수별 적정 주택 규모

□ 코로나 19 이후 희망 거주면적 변화

그리고,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생활 일상화 시 희망하는 거주 면적은 현재보다 넓은 주택면적(57.8%), 현재 크기의 주택면적(31.7%), 현재보다 좁은 주택면적(10.5%) 로 절반 이상이 현재보다 넓은 주택면적을 희망하고 있었다.

자료: 본 과제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의식 조사’ 결과 그림 4-16 | 코로나 19 이후 희망 거주면적 변화

그리고,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생활 일상화 시 희망하는 거주 면적을 소득수준별로 보면, 모든 소득계층에서 현재보다 넓은 주택면적을 선호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생 애단계별로는 청년(67.4%), 중장년(55.9%)의 경우 현재보다 넓은 주택면적을 선호 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고령층의 경우 현재 크기의 주택면적을 선호하는 비율 (43.4%)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비대면 생활의 일상화가 주택 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수 있는 결과로 주택 내 업무공간의 필요성 등이 증가함에 따라 주거면 적의 증가 또는 공간활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위: %)

구 분 전체

소득 수준 생애단계

저 소득층

중저 소득층

중고 소득층

소득층 청년 중장년 고령 비대면 생활

일상화 시 희망 거주면적

현재보다 넓은 주택면적 57.8 53.4 56.2 60.6 60.3 67.4 55.9 40.4 현재 크기 주택면적 31.7 31.5 33.3 31.8 24.1 23.4 34.0 43.4 현재보다 좁은 주택면적 10.5 15.1 10.5 7.5 15.5 9.1 10.1 16.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본 과제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의식 조사’ 결과

표 4-19 | 코로나 19 이후 희망 거주면적 변화

□ 적정 욕실(화장실) 개수

현재 가구원 수를 고려할 때, 욕실(화장실)의 적정 개수에 대해 1인 가구는 1개라고 응답한 가구의 비율이 65.1%로 가장 많았고, 2인 이상부터는 2개라고 응답한 가구의 비율(2인 가구 68.6%, 3인 가구 88.2%, 4인 가구 89.6%, 5인 가구 68.7%)이 가 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인 가구의 경우에는 욕실(화장실)의 적정 개수가 3개라 고 응답한 가구의 비율도 20.9%로 나타났다.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에 따르면 욕실(화 장실)이용과 관련이 있는 개인위생 시간이 1999년 평균 39분에서 2019년 1시간 4분 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 그러므로, 주택이나 공유주거공간을 공급하거 나 주거기준을 설정할 때, 이와 같은 사람들의 행동과 인식의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단위: %)

구 분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가구원수별 적정 욕실 개수

1개 65.1 29.8 8.3 4.4 7.5

2개 34.3 68.6 88.2 89.6 68.7

3개 0.6 1.6 3.6 5.4 20.9

4개 0.0 0.0 0.0 0.7 1.5

5개 0.0 0.0 0.0 0.0 1.5

합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본 과제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의식 조사’ 결과 표 4-20 | 가구원 수별 적정 욕실(화장실) 개수

□ 침실 사용 형태 : 침대 구비 여부

침실로 사용하고 있는 방에 침대가 구비되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9.8%로 대부분 을 차지하고 있다. 생애단계별로는 청년층 78.9%, 중장년층 81.0%, 고령층 75.7%

2)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평균시간(10세이상).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TS202001&conn_path=I3 (2021년 11월 26일 검색).

로, 고령층의 경우에도 대부분 침실 내 침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 로, 침실에 대한 면적기준을 설정함에 있어서 침대 사용을 전제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위: %)

구 분 전 체 생애단계

청년 중장년 고령

침실 내 침대구비 여부

그렇다 79.8 78.9 81.0 75.7

아니다 20.3 21.1 19.0 24.3

힙 계 100.0 100.0 100.0 100.0

자료: 본 과제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의식 조사’ 결과 표 4-21 | 침실 내 침대 구비 여부

□ 최대 수용 가능 통근·통학 시간 : 대중교통 기준

대중교통(버스 또는 지하철)을 기준으로 통근 또는 통학시 최대 수용 가능한 시간 (편도기준)은 약 40분이었으며,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경우 최 대 수용 가능 시간이 약 46.1분으로 가장 길었으며, 광역시 등과 도지역은 각각 36.0 분과 33.1분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별로는 소득수준이 증가할 수록 최대 수용 가능시 간이 더 길게 나타났다. 생애단계별로는 청년층의 최대 수용 가능시간이 가장 길었으 며, 중장년층과 고령층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위: 분)

구 분 전체

소득 수준 생애단계

저 소득층

중저 소득층

중고 소득층

소득층 청년 중장년 고령

수도권 46.1 38.1 43.6 48.3 53.9 48.3 45.2 44.0

광역시등 36.0 34.2 36.0 36.2 38.0 38.7 34.3 37.1

도지역 33.1 31.6 34.0 31.2 38.7 35.9 32.1 32.1

전체 40.2 34.5 39.0 41.6 47.7 43.2 38.9 38.7

자료: 본 과제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의식 조사’ 결과

표 4-22 | 대중교통 이용 기준 최대 수용 가능 통근·통학시간

□ 주택 인근 500m 이내 필수시설

주택 인근 500m(도보 5분 거리)에 있어야 하는 필수 시설로는 의료시설(81.2%), 쇼핑시설(58.8%), 공원시설(39.1%), 공공기관(32.6%) 등의 순으로, 의료시설의 비 율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소득수준별로 의료시설에 대한 응답비율이 모든 소득계층에서 가장 높으며, 저소득 층은 공공기관(40.4%)이 상대적으로 높고, 고소득층은 공원시설(44.8%)의 응답비 중이 다른 소득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생애단계별로도 의료시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청년층의 경우 쇼핑시설 (63.3%)로 다른 연령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청년층은 교 육시설(28.6%), 문화시설(18.2%), 생활서비스 시설(16.4%), 여가시설(10.9%)을 필수시설이라고 응답한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고령층은 공공기관 (38.2%), 금융시설(23.5%), 복지시설(19.9%), 종교시설(5.1%)이 상대적으로 높 게 나타났다.

자료: 본 과제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의식 조사’ 결과

그림 4-17 | 주택 인근 500m(도보 5분 거리)이내 필수 시설(1+2+3순위)

(단위: %)

구 분 전체

소득 수준 생애단계

저 소득층

중저 소득층

중고 소득층

소득층 청년 중장년 고령

의료시설 81.2 81.5 81.9 82.1 74.1 72.4 84.4 89.7

쇼핑시설 58.8 56.8 62.8 55.0 57.8 63.3 55.7 61.8

공원시설 39.1 30.1 37.4 42.7 44.8 29.9 43.8 41.2

공공기관 32.6 40.4 33.1 30.9 26.7 28.1 34.0 38.2

교육시설 20.0 8.9 16.7 25.5 28.4 28.6 17.6 7.4

금융시설 17.4 22.6 16.7 16.3 18.1 18.8 15.4 23.5

복지시설 13.2 21.2 14.0 10.1 10.3 8.6 14.4 19.9

생활서비스 시설 13.2 17.1 13.0 12.0 12.9 16.4 12.4 8.1

문화시설 12.3 10.3 11.9 12.7 14.7 18.2 10.9 2.2

여가시설 7.8 5.5 7.2 9.2 8.6 10.9 7.1 2.9

종교시설 3.9 4.8 5.1 2.6 2.6 3.9 3.7 5.1

기타 0.6 0.7 0.2 0.9 0.9 0.8 0.6 0.0

자료: 본 과제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의식 조사’ 결과

표 4-23 | 주택 인근 500m(도보 5분 거리)이내 필수 시설(1+2+3순위)

주택인근의 필수 시설은 소득계층이나 생애단계와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저 소득층의 경우 공공기관에 대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공공기관의 이용빈도나 공공서비스의 필요가 높은 저소득층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정책수립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3) 주거선호

□ 주거에 대한 상대적 선호

주거선호와 관련해서는 ‘임차로 집은 얻는다면 월세보다 전세가 더 좋다’, ‘집의 크 기보다는 내부구조나 기능적 편리성이 더 중요하다’, ‘도심의 좁은 집에서 사는 것보 다는 교외의 넓은 집에서 살고 싶다’, ‘주택가격이 비싸더라도 보안시설이 잘 갖추어 진 주택에서 살고 싶다’ 등에서 긍정적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