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조사 개요

2021년 국민 주거 및 주거복지 의식 조사는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① 메가트렌드 및 주거부문의 변화, ② 주거의식, ③ 주거복지의식, ④ 주거 복지정책 방향, ⑤ 미래 주거변화 대응을 주제로 2021년 9월 24일부터 2021년 9월 30일까지 컴퓨터를 활용한 웹/모바일 조사로 실시하였다.

조사문항은 선행연구 및 기존 조사를 검토하여 설문의 주제와 관련 조사문항을 참고 했다. 메가트렌드 및 주거부문의 변화에 관한 문항은 메가트렌드 분야별 주요 항목을 추출한 후 대국민 종합 요구조사(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와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문화체육관광부 2019)에서의 설문문항을 참조하여 작성하였다. 주 거의식과 주거복지의식에 관한 문항과 미래 주거정책 및 주거복지정책에 관한 문항은

기존 주거(주택)종합계획 및 주거정책 수립을 위한 주거의식 조사 뿐만 아니라 사회보 장 기본계획 및 사회보장 정책 수립을 위한 복지인식(사회보장인식)조사, 부동산 트렌 드 보고서 등을 참고1)하였다. 또한, 제로에너지 건축과 그린리모델링, 스마트홈, 프 롭테크 등 미래 주거변화에 관한 문항들을 추가했으며, 이후 연구진 내부회의, 외부 전문가 자문회의, 외부 전문기관(리서치 업체)와의 협의를 통해 최종 설문 조사 문항 을 결정하였다.

1) 이수욱 외(2011); 국토교통부(2013);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8); 여유진 외 (2019);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0); 김태완 외(2020); 건설교통부(2006); 박은선 외(2018) 박규용 외(2021)를 참고함

설문 주제 주요 내용

① 메가트렌드 및 주거부문의 변화

[메가트렌드 변화 인식]

- 경제 분야의 변화 중 생활에 가장 밀접한 변화 - 환경·자원 분야의 변화 중 생활에 가장 밀접한 변화 [현재와 미래 생활수준 변화와 걱정거리]

- 향후 10년간 생활수준 변화 예상 - 현재와 미래의 걱정거리

[코로나 19 이후 일상생활의 변화 및 주거생활의 어려움 - 코로나 19 이후 일생생활 변화

- 코로나 19 이후 주거생활의 어려움 [미래 사회 변화에 따른 주거부문 변화]

- 주택수요 부문 변화 예상 - 주택성능 및 환경 부문 변화 예상 - 주거복지 수요 부문 변화 예상

② 주거의식

[주거기능과 주거가치]

- 가장 중요한 주거기능 : 현재와 미래 - 주거가치의 중요성 : 현재와 미래 [주거규범]

- 적정 주택 규모

- 코로나 19 이후 희망 거주면적 변화 - 적정 욕실(화장실) 개수

- 침실 사용 형태 : 침대 구비 여부

- 최대 수용 가능 통근․통학시간 : 대중교통 기준 - 주택 인근 500m 이내 필수시설

[주거선호]

- 주거에 대한 상대적 선호 - 미래 선호 거주 지역

- 코로나 19 이후 희망 거주지역 변화 [주거보유의식과 세대간 이전]

표 4-1 | 주거의식 조사 설문 주요 내용

2) 조사 방법과 표본 할당

본 연구에서 진행한 설문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컴퓨터를 활용 한 웹/모바일 조사(CAWI/CAMI: Computer Aided Web/Mobile Interview)로 조사대

설문 주제 주요 내용

- 주거보유의식과 이유

- 주거보유 관련 여건 변화 인식 - 예상 자가주택 마련 소요기간 - 주택 마련시 지원기대 및 지원의향

③ 주거복지의식

[주거복지수준과 대상]

- 전반적인 사회복지 수준 평가 - 주거복지 수준 평가

- 주거복지 대상 : 소득 기준 [주거복지 확대여부와 확대 방안]

- 주거복지 확대에 대한 의견 - 주거복지 확대 시 중점 고려 대상 - 주거복지 확대 시 재원 조달 방안 - 주거복지 확대 시 바람직한 증세 방안 [주거복지의식 변화]

- 주거복지정책 인식 변화 - 주거복지정책 이용 의향 변화

④ 주거복지정책 방향

[주거복지 강화 방향]

- 향후 10년 간 주거정책 수립시 중요한 고려사항 - 주거복지 강화 관련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정책대상별 주거복지 고려사항]

- 수요자 맞춤형 주택 선택시 우선적으로 고려할 입지 조건 - 생활편의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한 공동체 공간 및 프로그램 - 이웃 연령대 구성 선호 : 생애단계별 소셜 믹스

- 청년 주거지원시 부모 경제 수준 고려 필요성 - 주택연금 이용 의향 및 비희망 이유

- 외국인 가구 주거복지 지원에 대한 의견

⑤ 미래 주거변화 대응

[미래 특화주택]

- 미래 특화주택 유형 선호 [탄소중립과 신재생에너지 전환]

- 신재생에너지 장치 설치 주택 거주 이유

- 에너지 성능 향상 공사(그린리모델링) 이용 의향 및 비희망 이유 - 제로에너지 인증 주택 구입의향 가격 조건

[스마트 홈과 프롭테크 서비스]

- 스마트 홈 서비스 필요성 및 이용의향 서비스 - 부동산 프롭테크 이용 서비스 및 이용 희망 서비스 자료: 연구진 작성

상 표본은 1,200명이다. 2021년 8월 기준 주민등록인구 현황을 고려하여 지역별, 성 별, 연령별 인구구성비에 맞게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는 2021년 9월 24일부터 2021년 9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구 분 내용

조사 대상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표본 크기 총 1,200명

표본 추출 2021년 8월 기준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라 성별·연령별․지역별 인구구성비에 맞게 추출

조사 방법 CAWI/CAMI (Computer Aided Web/Mobile Interview) : 컴퓨터를 활용한 웹/모바일 조사

표 4-2 | 국민 주거의식 조사 개요

표본배분은 지역별, 연령별, 성별로 표본을 할당하고, 추가적으로 가구소득, 점유형 태, 주택유형 등의 경우에는 인구주택총조사 및 가계금융복지조사의 집단간 비율을 고 려하여 편중되지 않도록 진행하였다. 세부적으로 연령은 19~29세, 30대, 40대, 50 대, 60대 이상으로 구분하였으며, 지역은 주택가격을 고려한 광역 행정단위로 수도권, 광역시 등(세종시 포함), 도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지역별, 연령별 모집단 현황 및 조 사대상 규모는 다음의 표와 같다(표 4-3 참조).

(단위: 명)

구 분 연령별

19~29세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3,901,809 (8.9%)

3,745,557 (8.6%)

4,268,597 (9.8%)

4,268,706 (9.8%)

5,800,146 (13.3%) 광역시 등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1,432,861 (3.3%)

1,276,507 (2.9%)

1,605,009 (3.7%)

1,703,115 (3.9%)

2,523,812 (5.8%) 도 지역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902,128 (4.4%)

1,731,125 (4.0%)

2,319,187 (5.3%)

2,626,747 (6.0%)

4,518,918 (10.4%) 자료: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s://jumin.mois.go.kr/# (2021년 9월 20일 검색)

표 4-3 | 주민등록인구현황(2021년 8월 기준)

구 분 연령별

19~29세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107명 (8.9%)

103명 (8.6%)

117명 (9.8%)

117명 (9.8%)

160명 (13.3%) 광역시 등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39명 (3.3%)

36명 (3.0%)

43명 (3.6%)

47명 (3.9%)

70명 (5.8%) 도 지역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52명 (4.3%)

47명 (3.9%)

65명 (5.4%)

74명 (6.2%)

123명 (10.3%) 표 4-4 | 표본배분시 연령 및 지역 기준

본 연구에서 조사결과는 소득수준(저소득층, 중저소득층, 중고소득층, 고소득층), 연령(청년, 중장년, 고령), 점유형태(자가, 임차 및 무상), 지역(수도권, 광역시, 도 지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가구소득은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가구소득(전년도)의 분위별 경계값을 월 평균 소득액으로 환산하여 구분하며, 주거복지 대상기준을 고려하여 저소득층(소득1-2분 위), 중저소득층(소득3-5분위), 중고소득층(소득 6-8분위), 고소득층(소득 9-10분 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표 4-5 참조).

구분 가계금융복지조사(2020) 실제 조사 적용

연 소득 구분(만원) 월 소득 구분(만원) 월소득(만원) 응답분포

1분위 ~1,153만원 이하 ~96만원 이하 ~96만원 이하 저소득층

146명 (12.2%) 2분위 ~1,915만원 이하 ~160만원 이하 ~160만원 이하

3분위 ~2,746만원 이하 ~229만원 이하 ~229만원 이하

중저소득층 514명 (42.8%) 4분위 ~3,666만원 이하 ~306만원 이하 ~306만원 이하

5분위 ~4,652만원 이하 ~388만원 이하 ~388만원 이하 6분위 ~5,757만원 이하 ~480만원 이하 ~480만원 이하

중고스득층 424명 (35.3%) 7분위 ~7,045만원 이하 ~587만원 이하 ~587만원 이하

8분위 ~8,793만원 이하 ~733만원 이하 ~733만원 이하

9분위 ~11,819만원 이하 ~985만원 이히 ~985만원 이히 고소득층

116명 (9.7%) 10분위 ~11,819만원 초과 ~986만원 이상 ~986만원 이상

자료: 통계청.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순자산, 가구소득의 분위별 평균, 점유율 및 경계값.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HDAA21&conn_path=I3 (2021년 10월 17일 검색)

표 4-5 | 표본 배분시 가구소득 기준

점유형태의 경우에는 자가와 임차 및 무상을 구분하고, 임차 및 무상 내에서는 전세 와 월세의 비율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였다(표 4-6 참조).

구분 인구주택총조사(2015)

실제 조사 적용 가구수(가구) 비율(%)

자가 10,849,993 56.8 자가

762명 (63.5%)

전세 2,960,679 15.5

임차/무상 438명 (36.5%)

보증금 있는 월세 3,878,055 20.3

보증금 없는 월세 489,701 3.4

무상 160,787 4.0

자료 : 국가통계포털.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PE 1502&vw_cd=MT_ZTITLE&list_id=A12_2015_1_20_10&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

&itm_id=&conn_path=MT_ZTITLE&path=%252FstatisticsList%252FstatisticsListIndex.do (2021년 9월 20일 검색)

표 4-6 | 표본배분시 점유형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