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5절 소결

문서에서 사회통합지수 개발 연구 (페이지 124-129)

3장은 전문가 조사 과정을 통해 수행한 사회통합의 각 영역 설정, 영역 별 지표 설정 및 가중치 설정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개 별 영역별로 확정된 지표를 사회통합의 맥락에서 설명하고, 그 자료의 출 처를 밝혔다. <표 3-15>는 개별 지표를 활용하는 다른 데이터베이스와 원자료 출처를 정리하고 있다.

사회적 포용 영역의 5개 지표는 상대빈곤율, 성별 격차, 비정규직 고용 보호, 비자발적 임시근로자 비율, 노인 사회지출로 결정되었다. 사회적 자본 영역의 5개 지표는 시민적 자유, 일반신뢰, 관용, 시민참여, 기관신 뢰로 결정되었다. 사회이동은 공교육지출, GDP 대비 적극적 노동시장 지출, 십분위분배율, 교육성취도, 학업중도탈락률로 결정되었다. 사회갈 등과 관리 영역은 자살률, 노사분규횟수, 민주주의지수, 비정규직/정규직 급여 격차, 노동소득분배율로 결정되었다.

34) 노동소득분배율의 측정 방법과 관련한 세부적인 내용은 홍장표(2014), 이병희(2015)를 참고하기 바란다.

지표는 전문가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각 영역의 개념을 수정·정의한 이 후, 이에 적합한 형태의 지표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이 러한 지표 체계는 정교한 이론적 체계에 바탕을 둔 결과물이 아니다. 사 회통합이라는 광범위한 정책 영역을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접근할 때 에는 무수히 많은 지표가 제안되고, 또 그 지표들의 비교 가능성을 확보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사회통합에 대한 체계적인 개념 정의와, 동시에 이러한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동시에 검토 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축된 사회통합지표 체계를 살펴보면, 사회적 격차와 관 련된 지표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성별 격차, 십분위분배율, 비정규직/정 규직 급여 격차가 대표적이다. 약간은 다른 맥락이지만 노동시장의 구조 및 분배와 관련되면서, 격차의 내용을 설명하는 지표도 있다. 비정규직의 고용보호, 노동소득분배율, 비자발적 임시근로자 비율이 이런 지표이다.

사회적 격차 축소를 위한 정부의 역할을 강조하는 지표도 있는데, GDP 대비 노인을 위한 사회지출, 공교육지출, GDP 대비 적극적 노동시장지 출이 이러한 지표이다. 사회적 격차에 대한 강조는 최근 계층 간 격차 확 대 및 격차의 고착화 상황에 대한 전문가들의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㹃⬋⑬シㅷ⊳ ㈃⼯ ㅷ⊳⪓ゐ 㝃㉬ ᗧ◟ ㅟᝓ⠫ㄏ2(&'6WDWLVWLFV 42*

2(&'  ,QFRPHGLVWULEXWLRQđ2(&'6RFLDODQG :HOIDUH6WDWLVWLFV GDWDEDVH /,6  /,6.H\)LJXUHV'DWDVHW ㅫ៯ᚐ㘏⬘ ᛇゐ⍇ᚐ㘏 

⬘⚫ㅫ៯ᚐ㘏2(&'*HQGHU 6WDWLVWLFV ⬘⚫ᛇゐ⍇ᚐ㘏 :RUOGGDWDEDQN:',,/2.H\ ,QGLFDWRUVRIWKH/DERXU 0DUNHWGDWDEDVH

⬘ㅫᚐ 2(&'  (DUQLQJV*URVVHDUQLQJVGHFLOHUDWLRVđ 2(&'(PSOR\PHQWDQG/DERXU0DUNHW6WDWLVWLFV GDWDEDVH ⬘⚫ᛇゐ⍇ ,/2  Đ(PSOR\PHQWWRSRSXODWLRQUDWLRE\VH[DQG DJH  đ,/267$7'DWDEDVH *'3᳧᭟ル ᛜ㇨⪓䁳㎧2(&'62&;6WDWLVWLFV2(&'  Đ6RFLDO([SHQGLWXUH$JJUHJDWHGGDWDđ2(&' 6RFLDO([SHQGLWXUH6WDWLVWLFV GDWDEDVH ⠫ㅷ☃㇨㳳㲟㪧ㅫ᷀ㅷᗧ ㇫㚛㳳㲟㪧ㅫ᭟᷀ㅷ㋸ 㘏㎧㼿ᱻ⠫ㄏ

2(&'/DERXU6WDWLVWLFV ,QFLGHQFHRILQYROXQWDU\SDUW WLPHZRUNHUV

2(&'윯  윯Đ/DERXU0DUNHW6WDWLVWLFV,QYROXQWDU\SDUW WLPHZRUNHUVLQFLGHQF윯2(&'(PSOR\PHQWDQG/DERXU 0DUNHW6WDWLVWLFV윯 GDWDEDVH ᛇゐ⛛䀟㎧⯿ㅫⳃᛇゐ2(&'(/066WULFWQHVVRI HPSOR\PHQWSURWHFWLRQ OHJLVODWLRQWHPSRUDU\HPSOR\PHQW

2(&' 윯Đ(PSOR\PHQW3URWHFWLRQ/HJLVODWLRQ6WULFWQHVVRI HPSOR\PHQWSURWHFWLRQOHJLVODWLRQWHPSRUDU\HPSOR\PHQWđ윯G 2(&'(PSOR\PHQWDQG/DERXU0DUNHW6WDWLVWLFVGDWDEDVH ㄿ⪓㹃㿫ㄿㅷㄇ≇ㅷㄇ ㉬᜷ㅷㄇ㎸䁳ᚗ⪓ㄿㅷㄇ ㇨♼㇯㘏ㄿ㇨ゐㄿ42*FLYLOOLEHUWLHV)UHHGRP+RXVH  )UHHGRPLQWKHZRUOG ZZZIUHHGRPKRXVHRUJ ㇼ㠿㇨᷀⿓❧ㄿ㽐 ⛛ⳃ :RUOG9DOXHV6XUYH\,6'&LYLF$FWLYLVP ZZZLQGVRFGHYRUJ ᳧ㅟⳇ⊗:RUOG9DOXHV6XUYH\,6',QWHUSHUVRQDOVDIHW\DQGWUXVW ZZZLQGVRFGHYRUJ

ȼ㹃Ƚ㎧㹃᪛ゐほ⽤

㎧㹃⬋⑬シㅷ⊳ ㈃⼯ ㅷ⊳⪓ゐ 㝃㉬ ᠗ᛧ⚫⊗ㄿ㽐:RUOG9DOXHV6XUYH\ :RUOG9DOXHV6XUYH\  (XURSHDQ9DOXHV6XUYH\ ㅛオㄣ≃⬃ㄿ⯿ゐ❧ㄿ:RUOG9DOXHV6XUYH\,6',QFOXVLRQRI0LQRULWLHV ZZZLQGVRFGHYRUJ ᗧ㙿❫⭳Ễ᠗㋧㼿ル ⭳Ễ᳧⠫⪨ル⭳Ễ⠫ㄏ2(&'6WDWLVWLFV 42*2(&'  (DUQLQJV*URVVHDUQLQJVGHFLOHUDWLR 2(&'(PSOR\PHQWDQG/DERXU0DUNHW6WDWLVWLFV GDWDEDVH *'3᳧⠫ᛜ᜷ㄈ㎧㞃81(6&2*RYHUQPHQWH[SHQGLWXUH RQHGXFDWLRQDVRI*'381(6&2  (GXFDWLRQ([SHQGLWXUHRQHGXFDWLRQDV RI*'3đ IURPJRYHUQPHQWVRXUFHV 3,6$㶰⯿3,6$2(&'6WDWLVWLFV3,6$DQQXDOUHSRUW *'3᳧⠫㇨០㇨᷀ⳃㆌ ㇼ㘬㻫≃៟↏㎧㞃⠫ㄏ2(&'62&;6WDWLVWLFV2(&'  Đ6RFLDO([SHQGLWXUH$JJUHJDWHGGDWDđ2(&' 6RFLDO([SHQGLWXUH6WDWLVWLFV GDWDEDVH a⬟1((72(&' 1((7 LQGLFDWRUV

2(&'윯  윯Đ(GXFDWLRQDWDJODQFH*UDGXDWLRQDQG HQWU\UDWHVđ윯2(&'(GXFDWLRQ6WDWLVWLFVGDWDEDVH ,/2  6KDUHRI\RXWKQRWLQHPSOR\PHQWDQGQRWLQ HGXFDWLRQE\VH[  ,/267$7'DWDEDVH ⎳᳠⪛ㅷ⯿2(&'+HDWK6WDWLVWLFV2(&'  Đ+HDOWKVWDWX2(&'+HDOWK6WDWLVWLFV GDWDEDVH ᭟⪓❫ៃ䂆⯿&RPSDUDWLYH3ROLWLFDO'DWD 6HW &3'6 ,/2  Đ'D\VQRWZRUNHGSHUZRUNHUVGXHWR VWULNHVDQGORFNRXWVE\HFRQRPLFDFWLYLW\đ,/267$7 GDWDEDVH ◣㋣㋣ㄿ㎧⯿6*,7KH:RUOG%DQN  Đ7KH:RUOGZLGH*RYHUQDQFH ,QGLFDWRUVđ ZZZJRYLQGLFDWRUVRUJ  ㇧ㅫ៯㾿ᶫ2(&'6WDWLVWLFV2(&'  Đ(DUQLQJV*URVVHDUQLQJVGHFLOHUDWLRVđ 2(&'(PSOR\PHQWDQG/DERXU0DUNHW6WDWLVWLFV GDWDEDVH *'3᳧⠫᭟᷀⭳Ễ⠫ㄏ2(&'6WDWLVWLFV2(&'  Đ8QLW/DERXU&RVWV$QQXDO,QGLFDWRUVđ 2(&'6WDW

문서에서 사회통합지수 개발 연구 (페이지 124-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