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사회통합지수 개발 과정

문서에서 사회통합지수 개발 연구 (페이지 82-85)

1. 사회통합지수 개발 개요

앞서 본 연구는 사회통합에 대한 보다 합의된 개념 정의와 지표 체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진과 전문가 집단 간의 상호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연구를 설계하였음을 밝힌 바 있다. 전체적인 사회통합지수 개발 과정을 정리하면 아래 [그림 3-5]와 같다.

〔그림 3-5〕 사회통합지수 개발 과정

먼저 연구진은 기존의 사회통합 관련 문헌을 검토하여 기존의 지표 체 계들을 비교하고, 사회통합과 연관성이 높은 지표들을 다양한 출처를 통 해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앞서 [그림 3-4]와 같은 잠정적인 사회통합

개념 및 <표 3-2>와 같은 지표 체계를 구성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2회에 걸쳐 실시 하였다. 델파이 기법은 다수의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합의된 내용을 얻 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되어 온 기법이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앞서 구 성한 사회통합지표 체계에서 선정된 사회통합의 정의, 하위 영역 구성, 영역의 개념 정의 등을 제시한 후, 이의 적절성을 확인하고 제시된 영역 과 지표 이외에 추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영역과 지표에 대한 의견 을 수렴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수렴된 추가 제안 영역과 지표들 에 근거하여 연구진이 구성했던 초안의 영역과 지표 체계를 조정 및 정비 하고 수정된 안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영역별로 할 당된 지표 중에서 5개를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회통합 지표 체계에 반드시 포함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지표들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 번째 단계로 합의된 사회통합 하위 영역과 추출된 5개의 영역별 지 표들의 상대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계층화분석(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AHP)을 실시하였다. AHP는 다수의 속성들을 계층적으로 분류 하여 각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하는 기법으로, 평가기준의 속성이 다양할 때 이를 어떻게 조합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많 이 활용되는 기법이다. AHP는 각 요소별, 대안별 선호도의 차이를 반영 할 수 있고,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에 대한 판단을 일관성 있고 명 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해 준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네 번째 단계에서 연구진은 AHP를 통해 도출된 상대가중치를 적용하 여 한국의 사회통합지수를 산출하였다. 이하에서는 각 조사 단계 과정에 서 도출된 결과를 개략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2. 사회통합지수 개발을 위한 조사

지표 체계 조정 및 가중치 산출을 위한 조사는 다음 <표 3-3>과 같은 일정으로 진행하였다.

〈표 3-3〉 사회통합지수 개발을 위한 조사 일정

구분 조사 목적 조사 방법 시기

1차 사회통합 영역 및 지표 제안 델파이 조사 6월 중순

2차 사회통합 영역 및 지표 확정 델파이 조사 7월 초순

3차 사회통합 영역 및 영역별 지표의 상대중요도 파악 AHP 7월 말

델파이 조사 실시에서 전문가 선정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왜냐하면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의 전문성이나 직관, 경험 등을 체계적이고 객관화 된 자료로 수집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문가 리스트 를 기초로 하여 사회통합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한 경험이 있는 연구자나 공공기관 근무자, 또는 지수 작성 경험이 있는 연구자나 공공기관 근무자 약 300여 명의 전문가 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이때 전공 및 관심 분야의 편향이 나타나지 않도록 가능한 한 다양한 전공 분야와 소속 기관이 포함 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조사 설계 시 최종 목표 표본은 50명으로 정하 였으며, 앞서 구축한 사회통합지수 전문가 리스트에서 사회통합 및 지수 구성에 대한 전문성을 고려하여 유의할당 후 무작위 추출하여 선정하였 다. 최종적으로 1차부터 3차 조사까지를 완료한 응답자는 52명이다. 1차 부터 3차까지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부록>에 첨부하였다.

각 차수별로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특성 및 조사 내용은 다음 〈표 3-4〉

와 〈표 3-5〉와 같다.

〈표 3-4〉 조사 차수별 전문가 특성

문서에서 사회통합지수 개발 연구 (페이지 8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