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림환경교육이 슬기로운 생활이나 과학, 사회와 같은 일부 교과뿐만 아니 라 모든 교과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므로 모든 교과에서 산림환경 교육이 가능 하다. 이를 위하여서는 여러 교과에 걸쳐 분산적으로 다뤄지는 산림환경과 관 련 내용을 교사와 학생들이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서나 부교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초등학교의 경우 환경 교육 방식이 독립교과가 아닌 분산 접근 방식으로 구 성되어 있어 뚜렷한 목표가 없을 뿐만 아니라 체계적이지 못해 환경교육이 제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저학년 통합 교과로 생활과 환경이라는 환경 교과를 두고 있는 일본의 경우처럼 우리나라 도 1학년과 2학년의 슬기로운 생활을 환경을 핵심으로 하는 교과로 개발할 필 요가 있다. 그리고 산림환경 교육이 학년간, 교과간 편중되어 있거나 중복되 어 다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개발할 때 적정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산림환경 교육과정이 개발되어 제시되어야 한 다.

교과용 도서의 산림환경 관련 내용은 대부분 체험학습위주로 되어있으나 이 를 뒷받침할 만한 시설이나 안내, 사회적 인프라 구축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 므로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학교 교정을 체험학습장이 될 수 있 도록 장․단기 계획을 가지고 숲을 조성하거나 나무를 이용하여 생활에 필요 한 쓸모 있는 도구를 만들 수 있도록 목공실과 같은 작업장을 갖춰야 하며 주 변의 공원이나 산을 행정구청과 함께 산림교육장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산림환경 교육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산림환경교육을 담당 할 전문 교사가 필요한데 연수 기회가 거의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를 활성 화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관, 산림행정기관, 시민단체 등이 함께 협력하여 제도 적 장치를 마련하여 한다.

<참 고 문 헌>

1. 고관. 2000. 도시 숲 자원을 활용한 생태체험형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성남시 분당구 맹산 지역을 대상으로. 경원대 환경정보대학원 석사논문 2. 김강렬. 2000. 초등학교 환경 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3. 김연정. 1999. 캠프형 자연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실태와 교육효과에 관한 연 구. 건국대 농축대학원 석사논문

4. 김인호․남상준․이영. 1999. 학교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현장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 연구. 『환경교육』12(1), 환경교육학회 . 5. 남상준. 1994. 중학교 환경교과의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연구. 한국교육개발

원 연구보고서. p33

6. 배상원편. 2000. 숲과 임업. 숲과 문화연구회. 수문출판사

7. 서난희. 1999. 한국 환경교육의 동향과 발전 방안.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9-59.

8. 서우석. 2000.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 한국농업교육학회 지, 제31권, 제 3호

9. 윤여창. 2000. 나무와 숲을 통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교사들을 위한 나무와 숲에 관한 환경교육 연수. 환경운동연합 환경교육센터

10. 윤여창. 1999. 나무와 숲에 관한 지도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 석. ‘나무와 숲에 관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서 #1. 서울대학 교․UNEP․유한킴벌리

11. 윤여창. 2000. 산림환경교육의 효율적 추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농업생 명과학대학․산림청

12. 이병철. 2001. 초등학생들의 산림 체험학습 활동이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 향.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3. 이선경. 2000. 한국의 환경교육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한국호주 환경교육 국제 세미나에서

14. 이선경. 2001. 초․중등학교에서의 교과교육을 통한 환경교육 실태. 환경교 육 제14권 제1호. 한국환경교육학회

15. 이영, 2000,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환경부

16. 전영우, 1999, 숲이 울창해질 우리의 학교환경을 기대하며. 숲환경조성 및 그 교육적 활용을 위한 한일국제심포지엄. 생명의 숲가꾸기 국민운동본부,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

17. 전영우. 1997. 산림문화론. 국민대출판부

18. 전영우. 1999. 산림안내인 양성을 위한 산림문화교육. 산림과학 제11집. 국 민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19. 전영우․김영무 등. 1996. 새로운 산림문화 창달을 위한 정책 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산림청

20. 전영우․탁광일 등. 1997. 산림문화의 범위와 창달방안에 대한 고찰. 산림 과학 제9집. 국민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1. 전영우 등. 1998. 산림체험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 학․유한킴벌리

22. 전영우․신만용․김기원 등. 1999. 숲이 있는 학교. 이채

23. 정향. 2001. 초등학교 교육과정 분석에 의한 환경교육의 방향 정립. 여수대 학교 산업대학원 석사논문

24. 조광형. 1997.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관동대 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25. 최돈형. 2000. 한국의 교과교육에서의 환경교육 강화 방안. 한국․호주 국 제 환경교육세미나 보고서

26. 최석진. 2000. 우리나라의 새로운 환경교육이 발전방향. 환경교육학회 27. 탁광일편. 1998. 숲과 자연교육. 숲과문화연구회. 수문출판사

28. 한경환. 2001.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환경교육 내용 분석,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9. 한상훈. 2000. 학교 환경 교육체제의 혁신, 환경교육학회

30. 한상훈. 1999. 학교에서의 체험 환경교육. 전국 환경교육 지도자 워크샵 자 료집. 환경부

31. D. Pepper /이명우 역 현대환경론 (The Roots of Modern Environmentalism) 서울 한길사 1989 pp 355-356

32. Prof. Osamu Abe, 20001, 일본에서의 환경교육 경향과 발전 노력, 환경교육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의 개선(2001년 8월)을 위한 국제세미나 자료집

33. UNESCO / 김귀곤 역 , 환경교육의 세계적 동향(The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서울 배영사 1980 p29

34. American Forest Foundation. 1998. Project Learning Tree: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y Guide for Pre K - 8. American Forest Foundation. Washington, D.C.

35. Stapp, William B. 1969. The defin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Vol. 1, No. 1, pp. 30-31.

36. The World Commission on Forest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2000.

Our Forests Our Fu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UNESCO. 1978. "Framework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inal Report, Interngovernment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Education.

Paris, France: UNESCO ED/MD/49, pp.23-29.

<Abstract>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ee-sae Kim

Forest Environment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eong-woo Jeon)

Since the mid 1970s, discussions and studies on school environment education have been made constantly, and exterior aspects were significantly developed. However, it was biased to knowledge and the functionality on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pollution. Therefore, there were still many problems to change the sense of values and attitudes to make fundamental solutions on environmental problems.

Forest and plants are fields of empirical learning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and easily accessible. They make a good textbook from which we can learn environmental ethics, because the consciousness of our ancestors is embedded there. In foreign countries, there are various programs to educate about forests and plants, ecology of pla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sts and human beings are developed and utilized for nature friendly education.

Textbooks developed in the 7th Curriculum, amended in 1999, came to

apply to elementary school education only in 20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and how much forest education related content was reflect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 integrated subject that contained forest environment education related content the most was 'Seulgirowun SaenghwalWise Life'. Single subjects that had contained forest environment education related content were Social Studies, Science, Actual Studies and Moral Studies. Korean Language subject used forest environment materials as background knowledge. In particular, the 5th grade was the best grade to teach forest environment related content with integration that was distributed to many subjects.

When looking at the contents by area, Forest Understanding and Forests Ecology were dealt with in 'Wise Life' and Science, Forest Resource was in Social Studies and Actual Studies, Forest Culture was in Korean Language, Art and Music, and Forest Ethics was in Moral Studies. It implied that the forest related content was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lthough forest related content was reflected in various ways, the utilization of the content is solely up to teac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xplanatory guides or manuals so that teachers can understand forest environment systematically related content dispersed in many subjects.

<부 록>

교과용 도서

단원 주제(제재) 나무와숲과의 관련성

목표영역 내용영역

4. 아껴 쓰는 생활 (44-47) 지식 및 태도

산림자원의 이용, 산림 윤리

분석 내용

내용

①주변에서 오래 쓴 물건 찾아보기

②내가 책상이 되어 말하기

③그림을 보고 나무가 종이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말하기

학습자료 삽화와 사진 교수법 토의법, 표현활동

분석 결과

․나무를 원료로 하여 우리들이 쓰는 가구와 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산림자원을 지속가능하도록 이용하는 태도를 갖게 한다.

교과명 바른생활 2학년 2학기

교과용 도서

단원 주제(제재) 나무와숲과의 관련성

목표영역 내용영역

2. 깨끗한 환경 (18-31) 태도와 참여 산림과 환 경

분석 내용

내용

①환경 보호의 필요성 알기(아름다운 자연과 그렇지 못한 곳과 비 교)

②환경 보호 활동

③올바른 쓰레기 처리의 필요성 알기

④재활용하기

학습자료 삽화와 사진 교수법 실습, 현장체험학습

분석

결과 ․쓰레기 양을 줄이고 쓰레기를 바르게 처리할 수 있다.

교과용

교과용

교과

교과용

교과용

교과용

교과용

교과용

교과명 즐거운생활 2학년 2학기

교과용

교과용

교과용

교과용

교과명 읽기 1학년 2학기

교과용

교과용

교과용

교과용

교과명 말하기․듣기․쓰기 5학년 1학기

교과용 도서

단원 주제(제재) 나무와숲과의 관련성

목표영역 내용영역

2. 사실과 발견 ꊲ알리고 싶은 내용 지식 산림자원의이 용 분석

내용

내용 ①정리한 내용을 말할 때 나무제품에 대한 소개 안내 학습

자료 삽화 교수법

분석 결과 교과용

도서

단원 주제(제재) 나무와숲과의 관련성

목표영역 내용영역

2. 사실과 발견 ꊳ한걸음더 지식 산림의 이해

분석 내용

내용 ①제주도의 옛날대문 소개글을 듣고 분석내용정리 학습

자료 녹음자료 교수법

분석 결과

교과용 도서

단원 주제(제재) 나무와숲과의 관련성

목표영역 내용영역

4.이리보고 저리

보고 ꊱ분명하고 적절하게 지식 산림의 이해

분석 내용

내용 ①우리는 숲이 좋아 녹음 자료 듣기

②자료를 듣고 숲의 좋은 점을 근거를 들어 말하기 학습

자료 녹음자료 교수법

분석 결과

교과명 읽기 5학년 1학기

교과용

교과용

교과용

교과용

교과용 도서

단원 주제(제재) 나무와숲과의 관련성

목표영역 내용영역

4. 문제와 해결 ꊳ한걸음더 - 더 나아가기

(170-177) 기능 산림환경

분석 내용

내용 ①물 문제 해결의 대책으로 몇 가지 대안중 녹색댐을 만들자고 주장

내용 ①물 문제 해결의 대책으로 몇 가지 대안중 녹색댐을 만들자고 주장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