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산림환경 교육의 접근 가능성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의 산림환경 관련 주제 수를 비교한 분석한 결과 산림환경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 교과는 통합교과의 경우 슬기로운 생활 교과, 단일 교과의 경우 사회, 과학, 실과, 도덕 순이며 학년은 5학년이 가장 접근 가능성이 높은 학년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어 교과의 경우 국어 교육의 목적인 언어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산림환경과 관련한 자료를 많 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림환경 관련 내용의 교과간, 학 년간의 수준이 고려되지 않았고 내용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편중되어 다루 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교과별 산림환경 관련 내용 분석

(가) 통합 교과

바른 생활 교과는 주변 자연 환경의 변화를 학습의 중요한 요소로 끌어 들 여서 능동적인 체험학습이 되도록 산림환경 관련 내용이 구성되어 있으며 우 리나라를 상징하는 무궁화를 학습 중심 주제로 활용하여 어릴 때부터 자연스 럽게 나무와 숲의 소중함을 알게 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환경교육의 중심 소재 중에서 쓰레기 문제와 관련된 것이 중복되어 있어 잘못하면 학생들에게 지루하고 따분하다는 느낌을 갖게 할 우려가 있다.

슬기로운 생활 교과는 통합교과 중에서 산림환경 관련 내용이 가장 많이 반 영되어 있다. 운동장과 화단, 교실을 오가며 학교 뜰에서 볼 수 있는 동식물을 관찰하고 분류하여 풀과 나무의 특징을 발표하며, 이를 몸으로 직접 표현하게

함으로써 체험하게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기로운 생활 교과에서 가 을을 통해 나무의 종류, 나무의 모습, 나무의 생태를 배우게 되므로 산림환경 과 가장 관계 깊은 계절이다.

즐거운 생활 교과는 동․식물에 대한 어린이들의 관심과 흥미는 매우 크므 로 동․식물을 소재로 하여 숲 속의 소리를 들어보고 관련된 동․식물의 움직 임을 흉내내어 보게 하여 동․식물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구 성되었다.

통합 교과에서 산림환경 관련 내용의 목표는 인식과 지식 영역이 태도, 기 능, 참여 보다 많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다른 교과에 비해 슬기로운 생활 교과는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통합 교과의 산림환경 관련 내용 은 영역별로 비교적 고르게 반영되어 있다.

(나) 국어과

나무와 숲에 관한 시, 동화 등 이야기 형식의 자료를 이용하여 국어과 본래 의 목표인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신장시킬 수가 있도록 다양하게 제시되 어 있다. 마을의 정자나무와 관련된 이야기 등 신격화된 나무 문화에 대한 소 개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 생명의 소중함, 공존의 문화를 추구하는 조상들의 자연관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산림환경 관련 내용의 목표는 전체적으로 인식과 지식 영역이 태도, 기능, 참여 영역보다 많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국어과의 성격과 관련된 것이다. 산림환경 관련 내용 영역에서 ‘산림문화’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내용이 가장 많은데 그 이유는 국어의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배경지식 으로 가장 적절한 것으로 시와 동화와 같은 문학적인 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이 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어과의 산림환경 관련 자료를 충분히 제공하기 위 해서는 산림환경과 관련한 시, 동화, 위인들의 이야기, 역사적 사실들의 기록 등 많은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다) 도덕과

도덕 교과는 인간의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자연환경과의 올바른 관계를 잘 이해하는데 있다. 산림환경과 관련한 내용으로는 생명의 소중함, 나무와 숲의 파괴는 문명의 파괴를 가져오게 됨을 알게 하는 내용이 있다.

산림환경 관련 목표는 태도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 다. 이것은 도덕과의 교과특성이 인간과 자연과의 공존을 강조하고 가치와 실 천을 중요시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산림환경 관련 내용은 산림환경, 산 림문화, 산림윤리 영역에 고른 빈도 수를 보이고 있으나 모든 영역의 빈도 수 가 낮게 나타났다. 도덕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환경교육 내용이 더 많이 반영 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라) 사회과

산림환경 관련 내용의 목표는 인식과 지식 영역이 태도, 기능, 참여 영역보 다 높은 빈도 수를 보였다. 산림환경 관련 내용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영 역은 ‘산림자원’이며, 그 다음으로 산림환경, 산림문화, 산림윤리 순이다. 이것 은 사회 교과에서 산림환경 관련 내용을 주요 내용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 다.

전체적으로 사회 교과는 산림환경 관련 내용을 영역별로 고르게 다루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5학년은 다른 학년에 비해 산림환경 관련 영역 빈 도수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6학년은 산림환경 교육 관련 내용의 빈도 수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사회 교과가 역사와 일반사회 영역을 주 내용 으로 하기 때문이다.

(마) 과학과

산림환경 관련 내용의 목표는 지식과 기능 영역의 목표가 대부분이다. 이것 은 과학 교과가 산림환경의 내용을 지도하는 교과이기 때문이다. 산림환경 관

련 목표가 지식과 기능 영역에 치우쳐 있으므로 태도와 참여 범주의 환경 교 육적 요소를 많이 포함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산림환경 관련 내용은 산림이해와 산림생태 영역이 가장 많으며 산림환경 관련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는 학년은 5학년으로 나타났으나 4학년은 상대적으로 빈도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학년간 산림환경 관련 내용이 고르게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바) 실과

실과 교과는 생활 경험과 직접 체험을 중요시하는 교과라 할 수 있다. 따라 서 산림환경 관련 내용도 꽃과 채소 가꾸기, 나무심기, 나무로 쓸모 있는 도구 만들기와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림환경 관련 내용의 목표는 기능 영역의 빈도수가 가장 높았고 내용은 산 림 자원 영역이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실과 교과가 실천적 기능과 활용을 중요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사) 음악과

직접적으로 산림환경과 관련된 주제는 없지만 3학년의 「숲」, 5학년의

「숲 속을 걸어요」, 「봄이 가고 여름 오면」, 「나뭇잎」, 6학년의 「금강 산」, 「과수원길」, 「겨울나무」는 자연 속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며 자 연의 소중함을 인식시켜 줌으로서 환경에 대한 감수성을 높일 수 있다.

(아) 미술과

산림환경 관련 내용의 목표는 인식 영역이 비교적 높은 빈도 수를 보였고, 내용에서 산림문화영역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산림은 문화적 자원으 로서 미적 인식의 대상이며 동시에 표현의 주제가 되므로 미술 교과에서 산림

문화영역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