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림환경교육의 개념과 교육과정

Ⅱ. 이론적 배경

4. 산림환경교육의 개념과 교육과정

⑴ 산림의 의미와 유래

산림법 제2조에서는 농지․주택지․도로, 과수원․다포․양수포, 하천․제 방․구거(溝渠:개골창)․유휴지(遊休地) 등에 생육하고 있는 입목․죽(竹)을 제 외하고, 집단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입목․죽과 그 토지 및 그 토지 내의 암석 지(岩石地)와 소택지(沼澤地), 임도(林道)까지 포함하여 산림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임목과 임지를 합하여 산림이라고 한다.

국어사전(이희승 감수)에 의하면 「숲」과 「삼림(森林)」은 산림(山林)과 같은 개념으로 쓰이고 있으나 지리적인 조건 등의 차이로 구분되어 진다. 숲 은 나무가 무성한 곳, 또는 풀, 나무, 덩굴이 한데 엉킨 곳을 말하며 산림은 산에 있는 숲, 그리고 삼림은 나무가 많이 우거진 수풀을 뜻한다.

숲이 일반적으로는 쓰이는 용어인 반면에 행정, 기술 용어로는 산림과 삼림 이 함께 쓰여지고 있다. 숲을 나타내는 산림은 삼국유사와 조선왕조실록에 사 용된 예를 찾을 수 있으나 삼림이라는 용어는 나타나 있지 않다. 다만 삼림이 라는 용어는 일본의 식민지 산림정책을 위해 만들어진 삼림령이란 법에서 유 래된 것으로 보아 일제강점기 때부터 쓰여진 것으로 보여진다.

학술적으로 숲을 나타내는 용어는 산림이라는 용어가 삼림이라는 용어보다 더 적합하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는 평지에 숲이 많지 않고 대부분이 산지에 있고 남북한에서 산림이라는 용어를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주체적인 용어이기 때문이다.

⑵ 산림환경교육과 유사한 용어들

산림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개발되면서 프로그램을 지칭 하는 여러 가지 용어들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산림교육, 산림문화 교 육, 자연환경교육, 산림환경 교육, 환경교육 등이 그것이다.

산림교육이란 “산림자원이 문화적 정보의 발신원임을 충분히 인식하며 산림 이 갖는 다양한 기능들을 일반국민에게 해설하는 교육으로서 산림과 임업이 어떠한 형태로 관련되어 있는가를 산림체험과 임업 체험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알기 쉽게 전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산림교육은 “산림안에서의 교육(숲체 험과 임업체험), 산림에 관한 교육(산림에 대한 지식이해), 산림에 의한 교육 (기능), 산림을 위한 교육(산림윤리)”을 말한다(全國林業改良普及會, 1994).

산림문화교육에 대해 쯔쯔이는 “산림과 산림문화를 주축으로 하는 환경교육 으로 산림,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에 관한 교육”으로 보고 있다. 이것이 산림교 육과 다른점은 역사적, 문화적인 내용을 중시한다는데 있다. 산림문화교육의 목적은 숲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판단을 배양함으로서 양자 간의 적절하고 조화로운 관계 즉 산림문화를 창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 다(林業文化敎育硏究會, 1992). 산림문화교육은 산림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습 득하여 자연환경과 관련한 제반 문제 해결 능력 및 의사결정 능력을 배양하고 자연과 문명의 공존에 필요한 새로운 의식과 가치관을 함양하는 교육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일본의 자연교육연구센터에서는 자연 교육의 목적을 환경의 요소인 생활환 경보다는 “자연환경을 이해, 공감하고 자연자원을 소중히 생각하며 행동할 수 있는 사람을 길러내는 교육”이라고 보고 있다(자연교육연구센터, 1995).

환경교육에 대해서 William(1978)은 “환경교육이란 생물․물리적 환경과 이 에 연관된 문제들을 알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깨닫고 이의 해결을 위해 실천하도록 동기화된 시민을 육성하는 것” 이라 정의하였다. 환 경교육은 “자연환경과 인공환경간의 상호 관련성을 이해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능력과 태도를 가지며 스스로 책임있는 행동을 하게 하는 일련의 교육 과정”

(國吉辰後, 1991)이다.

산림환경교육은 “나무와 숲을 통하여 자연생태계의 질서, 자연계 순환의 원

로 구체적인 목표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인식(awareness) : 산림의 중요성과 그와 관련된 여러 환경문제에 대하여 인식하고 감수성을 갖도록 돕는다.

●지식(knowledge) : 산림에 대해 다양한 경험을 하고 그와 관련된 환경문제 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태도(attitudes) : 산림의 가치를 스스로 터득하고 산림을 아끼는 마음을 갖 게 함으로써 환경보호와 개선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돕는다.

●기능(skills) : 산림과 관련한 환경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능 을 익히도록 돕는다.

●참여(participation) : 산림과 관련한 환경문제의 해결과정에 능동적이며 책 임감있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World Commission on Forests and Sustatinable Development(2000)는 지속 가능한 산림을 위하여 해야 할 일 10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산림 감소의 문제에 대하여 근원적이고 즉각적인 관심이 갖는다.

● 숲에 의존하여 사는 지역사회와 가난한 사람을 도와야 한다.

● 산림의 이용과 관리에 관한 정책결정과정에서 환경보전이란 공중의 이해가 반영되도록 한다.

● 산림의 여러 가지 가치와 용도가 제대로 반영되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 산림관리에 시민이 참여하고 환경적․경제적․정치적․사회적 관점에서 평 가한다.

● 산림자본가치를 계량화하여 산림의 생태적 서비스에 대하여 보상한다.

● 생태권역(landscape)의 이용계획과정에 시민참여가 보장되는 제도가 마련 되어야 한다.

● 산림정책의 수립과 대중산림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산림에 관한 정보기반 을 확충한다.

● 새로운 산림관리의 책임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와 훈련을 강화한다.

● 산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치적, 정책적 리더쉽을 육성한다.

따라서 산림환경교육의 목표도 지속 가능한 산림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두어야 하며, 또한 학생들에게 숲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산림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산림정책수립에 참여하도록 도와야 한다.

⑷ 산림환경 교육의 내용

나무와 숲은 인간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국토의 2/3가 숲으로 덮여있는 우리나라에서 나무와 숲을 통하여 환경 교육을 하는 것은 지속 가능 한 사회를 위하여 매우 적절하다. 따라서 나무와 숲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높 이고, 숲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과 태도를 습득하며 나무와 숲을 지속 가능 하게 이용하면서 자연환경을 보전하는데 필요한 생태적 지식과 기능, 그리고 직접 산림관리에 참여하고자 하는 마음가짐 등에 관한 것이 나무와 숲에 관한 환경교육에 포함되어야 한다.

나무와 숲을 통한 환경교육의 내용은 우선 생태계의 원리(변화, 복잡성, 관 련성, 에너지 및 물질 순환 등)에 대한 이해와 현장에서의 관찰이 중요하다.

그리고 생태계와 우리의 생활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현실세계에 나타나고 있 는 산림파괴의 문제에 대한 이해와 이의 해결을 위한 기술과 기능을 배울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피교육자 스스로 나무와 숲의 실 상을 직접 체험하고 이들과 관련된 현실의 문제를 직접 해결할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산림환경 교육의 주요 내용을 영역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산림의 이해

- 산림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 - 우리나라와 세계의 산림 모습 이해

- 우리나라와 세계 산림 자원의 현황과 변화 추이

● 산림의 생태

- 숲을 이루고 있는 구성원들과 이들간의 상호관계 이해 - 숲의 생태적 기능

● 산림자원의 이용

- 목재의 성질과 가공, 이용

- 나무에서 얻는 생산물, 종이, 버섯, 약용식물 - 산림자원의 가치

● 산림과 환경

- 산림이 인간에게 베푸는 다양한 혜택

-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해 관계가 충돌하는 문제의 토론 및 해결 방법

- 산림의 환경적 기능

- 산림의 보전 대책 및 지속 가능한 개발

● 산림과 문화

- 자연과 조화로운 공존 문화를 이루기 위한 방안 탐색 - 역사 속에서의 산림의 역할

- 정보화시대와 세계화 시대의 산림의 역할

- 문명병을 치유할 수 있는 산림욕, 산림체험 등 산림휴양에 대한 인식 - 문학과 예술에 깃든 산림 정서

- 인류문명의 발달과 목재 또는 산림의 역할

● 산림과 환경 윤리

- 지속 가능한 개발의 의미와 산림보전 윤리

- 산림과 산림을 구성하는 구성 인자들에 대한 존중심 - 과학 기술과 산림의 역할

-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의 연 구

(5) 산림 환경 교육의 방법

교수․학습은 실제 교육과정과 교과성에 제시된 교육내용을 구현시키는 과 정이다. 메이(2000)는 환경교육의 성공을 위한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교수상 황, 교사의 능력, 교수의 실제등의 3가지로 범주화 시켰다. <표 Ⅱ-8>에서 보 는 바와 같이 환경교육의 성공요소는 대부분 교수(teaching)와 관련된 것으로 환경교육에서 교수․학습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표 Ⅱ-8> 환경교육의 성공을 위한 요소

최근 논의되고 있는 구성주의 이론에 의하면 지식은 환경으로부터 수동적으 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에 의해 활동적으로 창출되며, 학생들은 육 체적․정신적 활동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게 된다. 학생들의 생각은 그 들의 지식 체계에 통합할 때 구성되고 유의미하게 되므로 단순히 설명하는 것 은 사실성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환경교육을 위한 수행과제는 도전을 자극 하는 과제, 풍부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과제, 활동적인 참여가 가능한 과제 가 가능한 과제이면서 근본적인 것을 다루는 과제여야 할 것이다. 이를 좀더 자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 추상적이거나 거리가 있는 문제보다는 실제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조사, 그리고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을 강조하기

◦ 추상적이거나 거리가 있는 문제보다는 실제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조사, 그리고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을 강조하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