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 관련영역에 관한 연수 요구도

문서에서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페이지 44-53)

전문대학 일반교수의 직무 관련영역은, 교수-학습활동영역, 직업교육과정 개발영역, 연구 및 개발활동영역, 학생 지도활동영역, 산학협동 및 현장실습 관련활동영역, 행정 및 사무 관련 영역 등 6개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분석 하였다.

한편 담당 보직교수의 직무 관련영역은, 교육과정 개발・운영 및 교수-학 습활동 지원영역, 학생 지도활동 지원영역, 산학협동 및 현장실습활동지원 영역, 행정 및 관리활동 영역 등 4개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분석하였다.3)

<표 Ⅲ-5>, <표 Ⅲ-6>는 각각 교수-학습 활동영역과 교육과정 개발・운영 및 교수-학습활동 지원에 관한 전문대학 일반교수와 담당 보직교수의 중요도 인식 수준과 수행 수준, 그리고 연수 요구도를 나타낸 것이다.

<표 Ⅲ-5>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직무 관련영역

중요도 수행도

연수 평균 표준 요구도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학습자에 대한 진단 4.36 .67 3.86 .78 0.50

실험・실습 준비 및 운영 4.43 .72 3.95 .83 0.48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활용 4.37 .72 3.82 .81 0.55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4.32 .71 3.77 .86 0.55 멀티미디어 학습기자재 활용 4.12 .77 3.50 .90 0.62 사이버 교육과정 운영 3.54 .83 2.79 1.76 0.75 학습자 평가 및 성적 관리 4.29 .69 4.05 .83 0.24 보충학습 및 개별지도 3.91 .82 3.45 .97 0.46

일반교수들은 교수-학습활동 영역의 직무 항목 중 실험・실습 준비 및 운 영 (4.43) 항목에 대해 중요도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다 음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활용 (4.37)과 학습자에 대한 진단 (4.36), 교 수-학습자료의 개발 (4.32) 등의 순으로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수 요구도를 보면, 사이버 교육과정 운영 (0.75)과 멀티미디어 학습 기자재 활용 (0.62) 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중요도 수준은 높지 않지만, 수행 수준이 낮아 상대적으로 연수 요구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표

Ⅲ-5> 참조). 또한, 사이버 교육과정 운영의 수행 수준에 있어 응답자의 편차 가 크게 나타나 현장에서 사이버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경우와 그렇지 3) 이 장에서의 조사 결과는 응답 보직교수의 보직 응답 결과를 교무 및 학사지 원, 산학협력 및 기술개발 관련, 학생처 및 입학관리, 사무행정 및 학과장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해당 직무 관련 영역에 대해 담당 보직별교수만을 분 석 대상으로 하여 분석・처리한 것이다.

34

-않은 경우간의 수행 수준차가 큼을 알 수 있다.

<표 Ⅲ-6> 교육과정 개발・운영 및 교수-학습활동 지원에 관한 담당 보직교 수의 연수 요구도

직무 관련영역

중요도 수행도

연수 평균 표준 요구도

편차 평균 표준 편차

직업교육과정 개발 전략 수립 지원 4.20 .87 3.65 .82 0.55 산업체 기술 변화 및 고용 동향 파악 4.07 .93 3.43 .75 0.64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지원 4.09 .85 3.59 .88 0.50 교수-학습방법 지원 및 우수 사례 발굴 4.00 .91 3.43 .84 0.57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지원 4.02 .88 3.51 .86 0.51 사이버 교육과정 운영 지원 3.78 .96 3.11 1.01 0.67 학습자 평가 및 성적 관리 지원 4.11 .89 3.87 .89 0.24

강의 평가 및 피드백 4.16 .91 3.88 .88 0.28

교수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3.95 .89 3.41 .81 0.54 교수 학술 진흥 및 연구활동 관리 3.87 .84 3.29 .82 0.58

한편, 학사지원 및 교무 관련 보직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 보직교수의 조사 결과를 보면, 중요도 인식 수준은 직업교육과정 개발 전략 수립 지원 (4.20) 의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강의 평가 및 피드백 (4.16), 학 습자 평가 및 성적 관리 지원 (4.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수 요구도는 사이버 교육과정 운영 지원 (0.67)과 산업체 기술 변화 및 고용 동향 파악 (0.64)등이 높은 항목으로 나타났다(<표 Ⅲ-6> 참조). 따라서, 이들 항목의 경 우, 중요도 수준은 높지 않지만 현장에서의 수행 정도는 매우 낮아 교육 요 구가 높은 항목임을 알 수 있다.

직업교육과정 개발영역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는 <표 Ⅲ-7>과 같

다. 이들 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연수 요구도는 대체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 며, 특히 직업교육과정 개발 (0.65) 항목이 가장 높은 연수 요구도를 보인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 수준은 산업체의 기술변화 및 고용동향 파 악 (4.23) 항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의 기술 변화에 따 른 직업교육과정 개발이 주요 과제임을 알 수 있다.

<표 Ⅲ-7> 직업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직무 관련 영역

중요도 수행도

연수 평균 표준 요구도

편차 평균 표준 편차

직업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및 동향 4.05 .71 3.46 .82 0.59 직업교육과정의 개념 및 원리 이해 3.91 .75 3.45 .84 0.46 산업체의 기술 변화 및 고용 동향 파

악 4.23 .73 3.64 .88 0.59

직무분석 4.03 .79 3.45 .88 0.58

직업 교육과정 개발 4.07 .78 3.42 .91 0.65

직업교육과정 교재 선정 및 개발 4.07 .76 3.48 .92 0.59

연구 및 개발활동영역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는 <표 Ⅲ-8>과 같 으며, 전체 항목에 걸쳐 연수 요구도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중 요도 수준은 전공 관련산업체 기술 동향 파악 (4.31) 항목이 가장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외 선진 사례 탐방 (1.15) 항목의 경우 중요도 인식 수준은 높지 않으나, 수행 수준이 현저히 낮아 연수 요구도가 매우 높은 항 목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 및 기관의 연구 지원활동 파악 (0.69)과 최신 학술 연구방법 습득 (0.67) 등의 항목이 중요도 인식 수준은 낮으나, 수행 수 준 역시 낮아 연수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36

-<표 Ⅲ-8> 연구 및 개발 활동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직무 관련영역

중요도 수행도

연수 평균 표준 요구도

편차 평균 표준 편차

전공학과 교수들과의 정보 공유 4.21 .73 3.56 .91 0.65 전공 관련산업체 기술 동향 파악 4.31 .68 3.66 .88 0.65 전공 관련학술 연구 동향 파악 4.21 .71 3.82 1.06 0.39 대학 및 기관의 연구 지원 활동 파악 3.94 .76 3.25 .84 0.69 최신 학술 연구방법의 습득 4.11 .80 3.44 .92 0.67 국내외 선진 사례 탐방 4.01 .84 2.86 1.07 1.15

학생 지도활동영역에 대한 전문대학 일반교수와 담당 보직교수의 중요도 인식 수준과 수행 수준, 그리고 연수 요구도는 각각 <표 Ⅲ-9>, <표 Ⅲ-10>

과 같다.

<표 Ⅲ-9> 학생 지도활동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직무 관련 영역

중요도 수행도

연수 평균 표준 요구도

편차 평균 표준 편차

전문대학 학생 자원의 특성 분석 4.24 .72 3.73 .88 0.51 학생의 취업 및 진학 실태 파악 4.40 .73 4.02 .86 0.38 학생의 퇴・휴・복학 관리 4.01 .77 3.72 .92 0.29 중도탈락생 방지 프로그램 개발・운영 3.92 .84 3.14 .91 0.78 전공 관련 국내외 자격제도 정보 파악 4.09 .81 3.63 .94 0.46 취업정보 안내 및 자격제도 정보 제공 4.22 .76 3.57 .90 0.65 상담 원리 및 다양한 상담 기법 활

용 3.87 .79 3.24 .85 0.63

진로지도를 위한 검사・분석 실시 3.89 .80 3.15 .91 0.74 학생 자치활동 및 봉사활동 지도 3.83 .78 3.40 .90 0.43

일반교수의 경우, 학생의 취업 및 진학 실태 파악 (4.40) 항목의 중요도 인

식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학생 자원의 특성 분 석 (4.24)과 취업 정보 안내 및 자격제도 정보 제공 (4.22) 항목이 비교적 높 은 중요도 인식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요구도는 중도탈락생 방지 프로그램 개발・운영 (0.78)과 진로지도를 위한 검사 및 분석 실 시 (0.74) 항목 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요도 수준은 높지 않지만 수행 수준이 현저히 낮아 매우 높은 연수 요구도를 보임을 알 수 있 다(<표 Ⅲ-9> 참조).

학생 지도 관련 보직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 보직교수의 경우, 학생 지도활 동 지원영역에 대해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중요도 인식 수준을 보이고 있으 며, 연수 요구도 역시 전체 직무 관련영역의 담당 보직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10> 학생 지도활동 지원에 관한 담당 보직교수의 연수 요구도 직무 관련 영역

중요도 수행도

연수 평균 표준 요구도

편차 평균 표준 편차

전문대학 학생 자원의 특성 분석 4.35 .71 3.87 .96 0.48

신입생 선발 관리 4.42 .67 3.71 .86 0.71

졸업생의 진학 및 취업 실태 파악 4.52 .63 3.77 .88 0.75 중도탈락생 방지 프로그램 개발 운영 4.19 .65 3.29 .86 0.90 취업 준비 프로그램의 개발 4.42 .67 3.45 1.06 0.97

상담실 운영 지원 4.26 .77 3.32 1.14 0.94

진로지도를 위한 검사/ 분석 지원 4.23 .67 3.35 1.08 0.88 학생 자치 및 봉사활동의 지원 4.19 .75 3.77 .99 0.42

특히, 중요도 인식 수준이 높은 항목은 졸업생의 진학 및 취업 실태 파 악 (4.52)과 신입생 선발 관리 (4.42), 취업 준비 프로그램의 개발 (4.42), 전문 대학 학생 자원의 특성 파악 (4.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수 요구도는 취 업 준비 프로그램의 개발 (0.97)과 상담실 운영 지원 (0.94), 중도탈락생 방지

38

-프로그램 개발 운영 (0.90), 진로지도를 위한 검사 및 분석 지원 (0.88) 등 대 부분의 항목에서 매우 높은 교육 요구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전문대학이 직면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반영한 것으로서, 중도탈락 방지 와 취업 준비 등 학생 지도활동과 관련한 보직교수들의 직무 내용 부담 정 도가 일반교수들보다 훨씬 높음을 알 수 있다(<표 Ⅲ-10> 참조). 또한, 학생 지도 활동과 관련된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 영역 중 신입생 선발과 졸업생 취업이 가장 중요한 직무영역의 하나이며 더불어 취업과 중도탈락 방지에 대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당면한 주요 과제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산학협동 및 현장실습 관련영역에 대한 전문대학 일반교수와 담당 보직교 수의 중요도 인식 수준과 수행 수준, 그리고 연수 요구도는 각 각 <표 Ⅲ -11>, <표 Ⅲ-12>와 같다.

일반교수의 경우, 산학협동을 위한 산업체 발굴 (4.28) 항목의 중요도 인식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수 요구도는 산업체와의 기술 개발 협력 (0.71)과 학교기업 및 창업보육센터 운영 (0.70)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 다. 이것은 중요도 인식 수준이 비교적 낮은 편이지만, 수행 수준 역시 현저 히 낮아 연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일정 수준의 수행 능력 제고를 위해서 는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표 Ⅲ-11> 참조).

<표 Ⅲ-11> 산학협동 및 현장실습 관련영역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직무 관련영역

중요도 수행도

연수 평균 표준 요구도

편차 평균 표준 편차

산학협동을 위한 산업체 발굴 4.28 .75 3.78 .91 0.50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개발 4.19 .78 3.53 .90 0.66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운영 및 평가 4.08 .82 3.50 .92 0.58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4.08 .84 3.44 .95 0.64 산업체와의 기술 개발 협력 3.99 .88 3.28 1.00 0.71 학교기업 및 창업보육센터 운영 3.73 .96 3.03 1.12 0.70

산학협력 관련보직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 보직교수의 경우, 일반교수들에 비해 산학협동 관련영역의 전체 항목에 걸쳐 중요도 인식 수준과 수행 수준 모두가 비교적 높아 연수 요구도는 다른 영역에 비해 그다지 높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중 산학협동을 위한 산업체 발굴 (4.49) 항목이 가장 높은 중요 도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수 요구도는 산학협력 프로그램 개 발 및 보급 (0.69) 항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Ⅲ-12> 참조).

<표 Ⅲ-12> 산학협동 및 현장실습영역에 관한 담당 보직교수의 연수 요구도

직무 관련영역

중요도 수행도

연수 평균 표준 요구도

편차 평균 표준 편차

산학협동을 위한 산업체 발굴 4.49 .75 4.02 .94 0.47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개발 4.33 .78 3.73 .90 0.60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운영 및 평가 4.23 .80 3.73 .88 0.50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4.30 .86 3.61 1.01 0.69 산업체와의 기술 개발 협력 4.39 .81 3.89 1.01 0.50 학교기업 및 창업보육센터 운영 지원 4.11 .86 3.48 1.10 0.63

행정 및 관리활동영역에 대한 전문대학 일반교수와 담당 보직교수의 중요 도 인식 수준과 수행 수준, 그리고 연수 요구도는 각 각 <표 Ⅲ-13>, <표 Ⅲ -14>와 같다.

일반교수의 경우, 이들 영역에 관한 중요도 인식 수준은 비교적 중간 정도 의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수행 수준 역시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이 중 학교 및 학과의 홍보활동 (4.30) 항목이 가장 높은 중요도 인 식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요구도는 정부의 교육행정 지원 및 협조 (0.83) 항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요도 인식 수준에 비해 수행 수준이 현저히 낮아 연수 요구도가 높은 것임을 알 수 있

40

-다(<표 Ⅲ-13> 참조).

<표 Ⅲ-13> 행정 및 관리활동에 관한 일반교수의 연수 요구도

직무 관련영역

중요도 수행도

연수 평균 표준 요구도

편차 평균 표준 편차

공문서 및 학사문서의 관리 3.76 .84 3.60 .85 0.16 학교 및 학과의 홍보활동 4.30 .74 3.89 .90 0.41 실험・실습실의 유지 관리 4.26 .74 3.91 .83 0.35 기자재의 구입 및 관리 4.28 .74 3.80 .89 0.48

학과 운영 기획 4.26 .74 3.79 .89 0.47

학교정책 제안 및 참여 4.03 .77 3.39 .90 0.64 정부의 교육행정 지원 및 협조 4.02 .87 3.19 .93 0.83

<표 Ⅲ-14> 행정 및 관리활동에 관한 담당 보직교수의 연수 요구도

직무 관련영역

중요도 수행도

연수 평균 표준 요구도

편차 평균 표준 편차

공문서 및 학사문서의 관리 4.05 .78 3.80 .79 0.25 보직업무의 기획 및 운영 4.30 .65 4.00 .72 0.30

학교 홍보활동 4.50 .68 4.08 .83 0.42

기자재의 구입 및 관리 4.20 .79 3.90 .78 0.30

학교 시설물 관리 4.05 .85 3.82 .93 0.23

교수 및 행정사무직 인사 관리 4.30 .69 3.87 .79 0.43 학교 예산 기획 및 재정 관리 4.35 .77 3.80 .91 0.55

정부기관과의 협조 4.05 .68 3.77 .73 0.28

타 대학과의 협력관계 유지 3.90 .78 3.40 .87 0.5 동창회 및 학부모 조직과의 유대 3.75 .74 3.18 .98 0.57 대학 내부 갈등의 중재 및 해결 4.15 .66 3.68 1.03 0.47 지역사회와의 협력 관계 유지 4.15 .66 3.82 .84 0.33

문서에서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페이지 4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