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

문서에서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페이지 135-143)

【부록 4】 전문대학 교원 대상 시범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표 2> 연수 교원들의 근무 학교 설립 유형

구 분 빈도(명) 백분율(%)

국・공립 0 0.0

사립 30 100.0

계 30 100.0

<표 3> 연수 교원들의 교직 경력

구 분 빈도(명) 백분율(%)

5년 이하 16 53.3

6~10년 9 30.0

11~20년 2 6.7

20년 이상 3 10.0

계 30 100.0

응답 교원의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동기는 학교의 권유가 23명(76.7%), 개인적 관심이 7명(23.3%)였으며, 교육비 부담은 학교 부담이 27명(90.0%), 자 비 부담이 3명(10.0%)이었다. 이에 개인적 관심에 의해 참여한 교수의 반수 정도가 학교에서 연수비를 지원한 것으로, 바람직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표 4> 연수 교원들의 연수 참여 동기

구 분 빈도(명) 백분율(%)

개인적 관심 7 23.3

학교의 권유 23 76.7

계 30 100.0

<표 5> 연수 교원들의 연수 교육비 부담

구 분 빈도(명) 백분율(%)

자비 부담 3 10.0

학교 부담 27 90.0

계 30 100.0

2. 연수 프로그램의 목적에 대한 만족도

본 연수 프로그램을 이수한 연수생들이 설정된 세부 연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했는가를 5점 리커트 척도로 조사한 결과는 <표 6>와 같다.

응답 교원들은 교육환경과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교수-학습방 법과 교수 매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탐색할 수 있다(4.07).

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직업교육과정 개발의 절차와 방법을 이 해하고, 직업교육의 요구에 따라 이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4.00). , 직업세계의 변화 요인과 전문대학의 환경 변화 동향을 이해함으로써 전문대 학 교육의 성격과 역할, 목표를 정립한다(3.67). , 직업교육과정의 개념과 중 요성을 이해하고, 전공과 관련 산업분야의 특성에 따라 직업교육과정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3.53). , 교수-학습방법의 이론에 근거하여 전문대학 에 적합한 실제를 적용할 수 있다(3.50). 의 순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연수 프로그램 주요 목적에 대한 만족 정도

(n =30)

성 취 목 표 평균 표준편차

1. 직업세계의 변화 요인과 전문대학의 환경 변화 동향을 이해

함으로써 전문대학 교육의 성격과 역할, 목표를 정립한다. 3.67 0.92 2. 직업교육과정의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전공과 관련 산

업 분야의 특성에 따라 직업교육과정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3.53 1.01

3. 직업교육과정 개발의 절차와 방법을 이해하고 직업교육의

요구에 따라 이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4.00 0.83 4. 교육환경과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교수-학습 방법과

교수 매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탐색할 수 있 다.

4.07 0.83

5.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에 근거하여 전문대학에 적합한 실제

를 적용할 수 있다. 3.50 1.01

126

-위의 내용 이외에 연수생들은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추가로 성취할 수 있 었으며, 앞으로 관련 연수 프로그램에 반영해야 할 목적을 제시하고 있다.

□ 추가로 성취한 내용

・전문대학이 처한 현재 상황 전반적 이해, 타 대학 교수님들과의 다양한 정 보 교류(2명)

・직무 분석의 흐름 이해, 교과목 프로파일 작성과정을 통한 교수 내용 및 목적 파악, 교과목 평가 및 개발, 다양한 수업방법에 대한 지식(6명)

□ 앞으로 반영 할 연수 내용

・실제적인 수업의 운영(예: 프로젝트식 수업, 모듈식 수업 등)

・전공의 교과 분석, 교과 개편, 교과과정 개발 등의 사항에 실제적 적용(4 명)

・교수-매체 개발에 대한 실제 사례

・전문분야별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소개 필요

・정부-학교행정-교수간 토의(2명)

・실례를 들어 구체적인 각론을 통해 문제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는 과정

・인성교육의 필요성 부각

・해외 우수 사례 연구를 기반으로 한 발전 방향 정립

・전문대학의 현장성 및 산업체 요구사항(관련사항)

3. 연수 주제별 내용 구성에 대한 만족도

본 연수 프로그램은 1개의 사례 발표를 포함하여 10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수의 주제가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학습방법 개선 에 초점 을 두고 있어 전체 시간의 많은 부분을 사례 발표를 포함하여 교수-학습방법 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었다.

연수 내용에 대한 만족 정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주제별 만족도 는 전문대학 교수-학습방법의 실제 적용(4.13) 으로 가장 높았으며, 교육의

본질과 리더십 프로그램(4.00) , 전문대학 교수-학습방법의 탐색(4.00) 의 순서 로 높게 나타났다.

이들 주제의 만족 정도와 관련하여 제시된 개선사항은 전문대학 교육의 다양화 방안 , 전문대학의 경영 전략과 발전 방향 에서 시간의 부족과 함께 내용의 구체화를 요구하였으며, 직무분석과 직업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Ⅰ,

Ⅱ 의 경우에는 시간 부족과 함께 산업체 강사의 선정과 활용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직업교육과정의 개발 사례 의 경우 전공에 따른 개발 사례의 다양화 를 요구하였다.

<표 7> 연수 주제별 내용 구성에 대한 만족도

(n =30)

성 취 목 표 평균 표준편차

1. 전문대학 교육의 다양화 방안 3.57 0.73

2. 전문대학의 경영 전략과 발전 방향 3.57 0.82

3. 교육의 본질과 리더십 프로그램 4.00 0.74

4. 직업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접근 3.77 0.77

5. 직업교육과정의 개발방법 및 절차 3.90 0.71

6. 직무분석과 직업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Ⅰ, Ⅱ 3.87 0.78

7. 직업교육과정의 개발 사례 3.87 0.82

8. 전문대학 교수-학습방법의 탐색 4.00 0.69

9. 전문대학 교수-학습방법의 실제 적용 4.13 0.68

10. 전문대학 교수-매체 개발의 이론과 실제 3.97 0.76

다음은 강사진에 대한 만족 정도를 분석한 것으로 비교적 높은 만족도 를 보였다. 특히, 연수 주제별 내용 구성 만족이 두 번째로 높았던 교육의 본질과 리더십 프로그램(4.27) 이 강사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전문 대학 교수-학습 방법의 탐색 , 전문대학 교수-학습방법의 실제 적용 , 전문대 학 교수-매체 개발의 이론과 실제 등의 주제(4.23)를 다룬 강사진에 대한 만 족도가 그 다음으로 높았다.

128

-연수 참여 교원들은 -연수 내용과 강사진에 대하여 대부분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내용과 강사진에 대한 만족도는 두드러지게 정적 관계를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교육의 본질과 리더십 프로그램 주제는 현장 전문 가에 의한 학생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연수 주제이므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직업교육과정의 개발 방법 및 절차 , 직무분석과 직업교육과정 개 발의 실제 Ⅰ, Ⅱ , 전문대학 교수-학습방법의 탐색 , 전문대학 교수-학습방 법의 실제 적용 , 전문대학 교수-매체 개발의 이론과 실제 등의 주제는 원내 의 전문가에 의한 활동 중심의 주제였기에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이 밖에 추천하고 싶은 연수 주제를 살펴보면,

・학생 진로지도

・산학협동방안, 주제별(교육과정, 교수-학습 등)/ 교육경력별/ 보직별로 주제 만 바뀔 수 있도록 한 교수-학습방법 및 실제 사례

・전문대학 교육행정가 혹은 재단 관계자 연수

・교육인적자원부의 전문대학 지원 방향 및 생각

・교육자의 역할

・외국 전문대학의 교과과정 연수 및 우수 사례, 교육정책, 발전 경향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4. 연수 운영 전반에 대한 만족도

연수 프로그램 운영 전반에 대하여 7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만족 정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제시한 7가지 항목 중 가장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1일 출퇴근 방식(3.67) 였으며, 연수 교수 방 법의 다양성(3.63) , 연수 규모(3.55) , 강사진의 활용(3.43) 의 순으로 만족도 가 높았다.

이에 반해, 연수 규모를 20명으로 희망한다는 의견, 연속강의가 비능률적 이라는 의견, 합숙을 제안하는 연수자도 있었다.

<표 9> 연수 운영 전반에 대한 만족도

(n=30)

성 취 목 표 평균 표준편차

1. 연수 기간(총 이수시간) 3.50 0.73

2. 2~3시간 연속 강의 2.86 1.09

3. 연수 규모(연수 인원) 3.55 1.12

4. 연수 교수 방법의 다양성(실습, 발표, 토론 등) 3.63 0.81 5. 강사진의 활용(현장 교수, 관련 연구진, 산업체 인사 등) 3.43 0.90

6. 일일 출퇴근 방식(비합숙) 3.67 1.21

7. 연수 시설 및 지원 서비스

(강의실, 식당, 연수 운영진의 지원 활동 등) 3.23 1.10

아울러 연수 프로그램 운영 전반에 대한 개선 요구사항을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 향후 첨가할 운영방안 또는 전반적인 개선 사항

・다양한 현장의 사례 발표 내용 구성 및 관련 산업체 인사의 현실적 강의

・유사 전공 혹은 계열별 집중 연수

・현장의 교수님들(즉, 연수자들)의 경험이나, 의견을 듣는 발표나 토론 시간 마련

・관련 산업체 인사의 선정, group별 연수 주제를 가지고 구체적으로

・교육교재 현대화-동영상(Multimedia etc. 시청각 교육 강화)

・일정에 여유를 느낄 수 있도록 형식과 절차에 융통성을 부여

・연수기간 조정

・연수장소의 환경 개선(연수 시설 부족함, 분과별 토론 장소 확보, 강의실 개선, 식당, 인터넷 서비스 개선)

이외에도 다른 연수와 비교했을 때, 본 연수 프로그램은 전문대학 교원에 게 실질적인 내용의 연수였고, 다양한 각도의 수업이 특히 좋았다며, 유용한

130

-연수였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이후 많은 교수들이 본 연수에 참가 할 수 있 도록 권장하겠다와 함께, 특히 신규 교원들에게 추천하고 싶다는 반응이 많 이 나타났다.

5. 향후 운영방안

앞에서 제시한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와 연수생들이 제시한 기타 요 구를 반영해 볼 때, 앞으로 본원에서 실시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몇 가지 방안을 간략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1) 전문대학 교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현장감을 강화하는 연수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현장에 계신 연수자들 간의 경험이나 의견을 서로 공유하고, 관련 산업체 인사와 정책가들의 동참 속에 서 현실적인 강의 주제를 다루어 이론에서 끝나는 교육이 아닌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에 대 한 성공 사례, 산업체 인사의 현장 현황 및 개선방안 등의 강의 내용을 포함 시키고, 전공별 혹은 계열별 집중 연수 등을 개발・운영해야 한다.

특히, 원내 강사진에 대한 만족도가 원외 강사진 보다 다소 높은 것을 고 려하여 이들 강사진의 강의능력 함양을 위한 전문성 및 현장성 강화가 이루 어져 할 것이며, 본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사업과 원내 전문가 풀(pool)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도 필요하다.

2) 연수 프로그램을 계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연수 시설과 연수 일정 및 시기에 융통성이 필요함이 지적되었다. 연수 시설에 대해 연수 강의실 및 식 당의 환경 개선, 분과별 토론 장소 확보 등이 시급하며, 동영상, 멀티미디어 등 시청각 교육, 교재 현대화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개선 등의 대안을 적극적 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 학교 일정 상 가장 바쁜 학기 말에 실시된 연수 에 대해, 연수 시기는 학교의 교과 운영기간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문서에서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페이지 135-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