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간발달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본 Bronfenbrenner(Sandtrock, 2012:

29-30에서 재인용)는 영유아를 중심으로 하여 가장 근접한 체계부터 광역의 체 계에 이르기까지 다섯 가지 환경 체계를 규정하고 이 체계들이 아동의 발달에

6) 다자녀 우대혜택 서비스는 공공기관 시설이용 비용 감면 혜택, 소득공제, 전기료 감면, 무주택 세대주 주택 특별공금급, 셋째이상 유아학비 지원, 자동차세 경감 등(심미승‧설선미, 2014: 398) 7) 임산부들을 위한 서비스로 고운맘카드, 임산부 전용주차 구역, 철분제 및 엽산제 지원,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의료비 지원 등으로 대표적인 고운맘카드는 지원 금액 50만원이며, 쌍둥이는 70 만원 지원됨. 그러나 의료비용 지원금이 조기 소진되어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함(심미승

설선미, 2014: 398)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체계로는 아동과 가족에 가장 근접한 환경인 미시체계(microsystem), 미시체계들 간의 상호관계 를 의미하는 중간체계(mesosystem), 아동이 직접 참여하지는 않으나 영향을 받 는 사회적 환경으로서 외체계(exosystem), 마지막으로 아동이 속한 사회의 신념, 태도, 전통 등 문화적 환경을 포함하는 거시체계(macrosytem), 사회역사적 환경 과 생애사적 사건이나 전이 등이 포함된 시간체계(chronosystem)가 있다.

생태학적 체계 분석을 통해 장애아 가정의 양육 성공과 실패요인을 살펴본 Algood, Harris, & Hong(2013: 128-131)은 미시체계 요인으로 양육 실제 (parenting practices)와 부모-자녀 관계, 중간체계 요인으로 양육자의 부부관계 와 사회적 지원으로서의 종교, 마지막으로 거시체계 요인으로 문화적 다양성과 인종과 민족 차이, 보건의료서비스 전달체계를 살펴보았다. 유대인과 인디언의 양육법을 비교한 김일부(2009: 105)는 미시체계와 중간체계를 비교하기 위한 기 준으로 가정을, 외체계는 교육제도를, 거시체계는 양국의 종교, 시간체계는 역사 적 사건을 비교하였다. 배광일(2011: 38)도 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자녀출산에 대 한 의도와 행동의 영향 변인을 살펴보았는데, 미시체계로 자녀수, 월평균소득, 맞벌이 여부, 가족관계 만족도를 보았고, 외체계로 보육비 부담감, 보육시설 접 근성, 보육 장소, 거시체계로서 가족가치관과 출산지원정책을 제시하였다.

영유아의 양육을 위한 환경을 고려함에 있어서도 생태학적 체계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양육에 대한 논의는 주로 어머니의 연령, 양육스트레스 등의 개 인변인과 더불어 사회적지지(권정윤‧정미라‧박수경‧이방실, 2013; 류기자‧김영주

‧송연숙, 2009; 박희진‧문혁준, 2013; 이승미‧김희진, 2005)와 같은 미시체계와 중간체계 차원의 연구, 각국의 양육 문화 비교(김일부, 2009)와 같은 거시체계를 살펴본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양육지원정책(가족친화정책 모범 기업에 인센 티브 제공, 가족친화 문화 확산, 가족친화 지역선정, 맞춤형 보육시설 등)이 출 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한윤옥(2012)의 연구는 거시체계를 고려한 연구 라고 볼 수 있다.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서 다양한 환경과 정책이 필요한데 이를 생태학적 체계모델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 들어 ‘아이 키우기 좋은 사회’, ‘육아여건 개선을 통해 부모와 아이가 행 복한 육아시스템구축’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각 가정의 환경뿐만 아니라 전체 지역사회의 환경이 육아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주택과 도 시환경에서의 출산과 양육 지원 정책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천현숙

외, 2013: 3-4). 빈곤층이 밀집된 지역이거나 사회적 자본이 부족한 이웃환경은 부모의 양육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부모로서의 긍정 적 역할 모델, 상호지지 또는 지도, 제도적 자원 등을 경험하기 어려운 환경이 기 때문이다(김광혁·김정석, 2012: 48).

〔그림 Ⅱ-1-1〕생태학적 체계 이론을 통해 본 육아지원환경

[그림 Ⅱ-1-1]에서 보듯이 지역사회는 영유아에게 있어 가족 다음으로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임과 동시에 가족의 양육과도 관련이 있으므로 양육지원환 경으로서 지역사회를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사회(community)란 라틴어 인 ‘commuins’에서 유래한 용어로 ‘친목, 인간관계나 정서적 지역사회’를 의미 하며, 중세 라틴어에서는 동료나 성곽 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총체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NASW, 1999; 배은석, 2013: 39에서 재인용). 지역사회는 지리 적 영역(생활권역, 물리적 자원), 사회적 상호작용(사회관계), 공동의 연대감을

공통요소로 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의 연대감을 갖추고 있는 인간 집단”으로 정의된다(배은석, 2013: 40). 노병일(2015:

92-93)은 생태학적 관점에 따라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8)에 도 주목 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사회자본은 부모의 재정적, 인적, 사회적 자본을 포함 하는 가족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으로 구분되는데, 부모역할을 교육하는 데 있어 아동 개인, 부모‧가족, 그리고 이웃과 지역사회 요인과 같은 지역사회의 사회적지지 네트워크도 중요하기 때문이다(노병일, 2015: 95).

최근 다양한 특성을 지닌 가족들에게 자녀 양육과 보호를 위한 지원과 환경 을 제공하는 양육친화적 환경의 고려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정민 자 외, 2008: 23). 정민자 외(2008: 207-208)는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동반한 양육친화적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현재 가족과 기관중심으로 이루어지 고 있는 양육을 지역사회로 확장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양육 네트 워크는 주민의 편의성을 고려해 생활지역단위여야 하고, 양육친화 네트워크 전 담 코디네이터 기관을 통한 정보 전달의 용이성, 주민들의 자치적이고 주도적인 참여와 활동을 이끌기 위한 정부의 개입, 지역의 특성과 주민 요구 파악을 기초 로 한 다양한 형태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현재 지역 내에 존재하는 여러 돌봄과 양육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