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놀이‧여가는 건강, 교육 등과 더불어 아동발달의 필수요건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아동들은 놀이 시간 및 공간이 매우 부족하다고 진단되며, 이에 따라 아동들이 건 강하게 놀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강조된다(대한민국정부, 2016: 75-78).

1) 어린이놀이시설(놀이터)/공원/어린이 공원

어린이공원은 「도시공원 및 녹지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치된 공원 중에서 어린이 놀이기구가 설치된 공원으로 일반적으로 주택단지 내 놀이터를 말한다 (이윤진‧이정원‧구자연, 2013: 51). 또한 어린이놀이터는「주택법」제2조에 의거 한 주택단지 입주자 등의 생활복리를 위한 시설로서 명시된다(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law.go.kr, 검색일 2016년 6월 10일).

가) 어린이놀이시설/놀이터

「아동권리헌장」에 의하면, ‘아동은 휴식과 여가를 누리며 다양한 놀이와 오 락, 문화, 예술 활동에 자유롭고 즐겁게 참여할 권리’를 지닌다(보건복지부 홈페

시도 어린이 놀이시설/놀이터 공원/어린이공원 면적

총시설수 지자체 교육청 공원 면적 어린이공원 면적

서울 9,287 8,075 1,212 28,464,213 872,703 부산 3,654 2,986 668 20,334,403 346,157 대구 3,124 2,575 549 9,189,866 398,004 인천 3,508 2,894 614 7,851,756 413,278 광주 2,324 1,874 450 4,223,485 300,230 대전 1,994 1,599 395 11,540,545 377,573 울산 1,647 1,354 293 9,384,869 429,841 세종 475 391 84 76,162 12,248 경기 17,442 14,199 3,243 34,389,246 1,904,314 강원 2,615 1,848 767 8,970,752 531,773 충북 2,511 1,910 601 8,170,397 276,053 충남 3,224 2,316 908 7,907,240 537,314 전북 2,949 2,030 919 22,551,973 368,254 전남 2,873 1,927 946 7,020,962 312,201 경북 3,858 2,731 1,127 11,026,096 549,809 경남 4,657 3,629 1,028 19,308,787 568,360 제주 909 673 236 4,173,452 114,155 이지 http://www.mohw.go.kr, 검색일 2016년 5월 11일). 이에 따라 최근 아동 의 놀 권리 헌장을 제정하고 범부처에서 놀이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건강하게 놀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와 여건을 조성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를 위한 각 부처별 역할은 다음과 같다. 즉 보건복지부는 취약계층 아동에게 공평한 놀 이기회 제공, 문화관광체육부는 ‘다양한 놀이 여가시설 및 프로그램 제공’, 교육 부는 ‘놀이시간 확보’, 여성가족부는 ‘가족이 함께 놀이를 즐길 수 있는 환경 조 성’ 등이다(관계부처 합동, 2016: 76).

또한 주요 과제로서 문화체육시설 및 프로그램 확충도 제시된다. 이에 따라 2014년 기준 전국 놀이터 62,417개소를 아동친화적 형태로 개선하는 계획이 마 련되었다(대한민국정부, 2016: 76).

〈표 Ⅱ-2-13〉 어린이 놀이시설/놀이터 및 공원/어린이공원 면적

단위: 개/㎡

자료: 1) 국민안전처(2016). 내부자료. 전국 놀이시설 현황(2016년 5월 30일 기준).

2) 산림청(2014). 전국 도시림 현황통계(2014년 12월 기준). pp.80-81.

나) 공원/어린이공원

공원은「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제1조에 따라,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

성하여 건전하고 문화적인 도시 생활을 확보하고 공공의 복리를 증진시키는데 이 바지하려는 목적으로 조성된다(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http://www.law.go.kr, 검색일 2016년 5월 3일).

어린이 공원은 동법 제15조에 의거하여 어린이의 보건 및 정서생활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law.go.kr, 검색일 2016년 5월 3일).

다) 어린이 놀이시설/어린이공원 공급 현황

어린이 놀이시설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것과 교육청에서 담당하는 기관의 두 유형이 있는데, <표 Ⅱ-2-13>을 보면 경기도가 17,442개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서울시가 9,287개로 그 다음 순이었다. 가장 적은 지역은 세종시로 475개였다.

전국의 공원과 어린이 공원의 면적을 살펴본 결과, 공원의 면적과 어린이 공 원 면적이 가장 넓은 곳은 경기도였다. 공원의 면적은 서울시와 전라북도, 경상 남도, 대전광역시, 경상북도 순으로 넓었으며, 어린이 공원의 면적은 서울시, 경 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인천광역시 순으로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어린이도서관/장난감도서관

어린이도서관은「도서관법」제2조에 따라 어린이를 대상으로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한다. 즉 도서관은 국민의 정보 접근권과 알 권리를 보 장하기 위해 육성되며, 사회 전반에 대한 자료의 효율적인 제공과 유통, 정보접 근 및 이용의 격차 해소 등에 이바지하고자 한다(도서관법 제1조)(국가법령정보 센터 홈페이지 http://www.law.go.kr, 검색일 2016년 5월 3일). 동 기관은 공공 도서관 중에서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 는 어린이 전용도서관을 말한다(이윤진‧이정원‧구자연, 2013: 43). 여기에는 국 공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 기적의 도서관 등이 포함된다.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과 유네스코(UNESCO)에서는 서비스 지침을 통해,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자료와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독서의 즐거 움과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 상상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이윤진·이정원·구자연, 2013: 42). IFCA는 특히 농어촌 지역 과 도서관이 없는 지역의 어린이에게 서비스 접근성 제고를 위한 특별한 관심 이 요구된다고 지적한다.

장난감도서관은 영유아들의 장난감 구입에 대한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 시키고, 영유아의 연령과 발달 수준, 특성에 적합한 장난감, 도서를 대여하여 취학 전(0-5세) 영유아들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중앙육아종합지원센 터 홈페이지 http://central.childcare.go.kr/ccef/main.jsp, 검색일 2016년 5월 10일).

지원대상은 해당 지역의 취학전 영유아이며, 지방육아종합지원센터의 영유아 보호 자에 대한 가정양육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다(보건복지부, 2016a: 393).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서는 아동이 행복한 사회를 조성하기 위하 여 “작은 도서관, 장난감도서관, 어린이 자료실 등 아동전용도서관을 확충”한다고 제시되며(대한민국정부, 2016: 76-77), ‘제1차 아동정책 기본계획’에서는 아동전용 공공도서관 지자체 1개소 이상 권고한다고 밝히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5: 41).

3) 박물관(어린이박물관)/미술관

박물관과 미술관은「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제1조에 따라, 문화·예술·학문 의 발전과 일반 공중의 문화 향유(文化享有) 및 평생교육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 적으로 육성된다(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law.go.kr, 검색일 2016년 5월 3일). ‘박물관’이란 문화·예술·학문의 발전과 일반 공중의 문화향유 및 평생교육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역사·고고(考古)·인류·민속·예술·동물·식 물·광물·과학·기술·산업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관리·보존·조사·연구·전시·교육하 는 시설을 말한다. 또한 ‘미술관’이란 문화·예술의 발전과 일반 공중의 문화향유 및 평생교육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박물관 중에서 특히 서화·조각·공예·건 축·사진 등 미술에 관한 자료를 수집·관리·보존·조사·연구·전시·교육하는 시설을 말한다(동법 제2조).

어린이박물관은 박물관의 교육적 역할과 함께 어린이와 가족 관람객에게 체 험적 전시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능이 강조된다(이윤진‧이정원‧구자연, 2013:

48). 즉 일반적인 박물관의 유물 전시가 전통문화를 알리는 것이라면, 어린이박 물관은 전통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즐기는 어린이를 기르는 데 목적을 둔다(이윤 진‧이정원‧구자연, 2013: 48). 박물관에서 어린이 대상 교육프로그램이 시작된 것은 1987년 국립중앙박물관의 어린이박물관 교실 개설에서 비롯되었다.

전국 어린이 문화시설을 보면 어린이 도서관은 경기도가 65개로 가장 많으며, 서울시에는 64개 설치되어 있다. 인천(24개), 대전(23개), 대구(14개), 부산(7개) 의 순서로 도서관이 설치되어 있다.

시도 어린이 도서관ⁱ⁾

장난감도 서관²⁾

공공 도서관³⁾

어린이박물관,

미술관 및 관련기관4⁾ 미술관5⁾ 박물관6⁾

서울 64 37 132 7 38 122

부산 7 3 32 1 5 16

대구 14 1 30 1 4 13

인천 24 8 42 2 4 25

광주 8 1 20 2 7 10

대전 23 1 23 - 5 15

울산 2 4 17 1 - 9

세종 0 0 3 - - 5

경기 65 35 217 4 44 143

강원 7 1 50 1 10 91

충북 5 1 41 1 8 44

충남 7 1 57 2 8 44

전북 2 0 55 1 11 40

전남 3 1 63 2 22 46

경북 3 2 64 1 9 64

경남 7 4 63 2 8 60

제주 3 1 21 1 19 62

어린이 박물관, 미술관 및 관련기관은 서울(7개), 경기도(4개)에 설치되어 있 고, 각 시와 도에 1~2개 정도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대전광역 시와 세종시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표 Ⅱ-2-14〉시도별 어린이 문화시설

자료: 1) 문화체육관광부(2016).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http://www.libsta.go.kr, 검색일 5월 30일).

2)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2016). 내부자료. 장난감‧도서 사업운영 안내(2015년 4월 기준).

4) 국립민속박물관(2015). 내부자료. 한국 어린이박물관, 미술관 및 기관 현황(2015년 10 월 15일 기준).

3), 5), 6) 문화체육관광부(2015). 2015 전국문화기반시설 총람(2015년 1월 1일 기준). p.9

4) 사회복지관

사회복지관은 사회적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여 모든 연령과 계층이 편 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사업을 갖추고, 특히 저소득층 및 지역사회 주민의 복지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한국사회복지관협회 홈페이지 http://kaswc.or.kr, 검색일 2016년 5월 3일).

사회복지관은「사회복지사업법」제34조5에 의거하여 지역사회의 특성과 지역 주민의 복지 욕구를 고려하여 서비스 제공 등 지역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을 실

시도 사회복지관 임대지역 일반지역

서울 98 30 68

부산 53 18 35

대구 26 13 13

인천 20 6 14

광주 18 10 9

대전 21 8 13

울산 8 2 6

경기 76 23 50

강원 18 7 11

충북 13 4 9

충남 21 6 15

전북 17 9 8

전남 15 6 9

경북 16 11 5

경남 30 7 23

제주 9 2 7

계 459 162 295

시할 수 있다(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law.go.kr, 검색일 2016년 5월 3일). 동 기관은 모든 지역주민을 서비스 대상으로 하되,「국민기초생활 보 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노인, 한부모가족 및 다문화가족, 장애인, 직업 및 취업 알선이 필요한 사람 보호와 교육이 필요한 유아·아동 및 청소년 등에 우선 제공한다. 또한 현재 분절되고 파편화된 지역사회 복지서비스의 제한 점을 극복하고 좀 더 통합적인 서비스 전달을 위해 지역사회 내 민·관을 아우 르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양한 지역주민의 복지욕구를 연결시킴으로 써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강조된다. 또한 가족 기능 강화, 지역사회 보호, 교육 문화, 자활지원 등의 전문서비스를 제공한다(한국사회복지관협회 홈페이지 http://kaswc.or.kr, 검색일 2016년 5월 3일). 사회복지관은 전국 459개소에 설치 되어 있으며,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은 서울(98)과 경기도(76)이다.

〈표 Ⅱ-2-15〉시도별 사회복지관 현황

자료: 한국사회복지관협회 홈페이지(http://kaswc.or.kr/centerlist 검색일 2016년 6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