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

10%

20%

30%40%

50%

60%

70%

80%

90%

100%

0.25 0.5 0.75 1

〔그림 Ⅳ-2-6〕안전관리‧보호 영역(1)의 요소별 평가점수 분포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어린이급식관리 지원센터 공급수준

아동보호전문기관 공급수준

학대피해아동쉼터 공급수준

0 1 2

〔그림 Ⅳ-2-7〕안전관리‧보호 영역(2)의 요소별 평가점수 분포

1) 보행자전용도로 면적

먼저 시‧군‧구별 보행자전용(우선)도로의 전국 현황은 [부록 그림 Ⅴ-31]과 같 다. 보행자전용도로 상위 20개 지역은 <표 Ⅳ-2-32>와 같다. 전체도로면적 중 보 행자전용(우선)도로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세종시가 38.798로 두드러지게 높았 으며 다음으로 대전시 서구(5.806), 대전시 유성구(5.645), 경기도 광명시(4.588), 경기도 용인시(3.531) 순으로 나타났다. 이 때 경기도 용인시의 경우 자료가 구 단위로 나누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면적은 다른 시‧군‧구 지역보다 적

순 위

상위 하위

지역명 면적 평가

점수

영유아

비율 지역명 면적 평가

점수

영유아 비율 1 세종시 38.798 1.00 0.085 경기 화성시 0.000 0.25 0.084 2 대전 서구 5.806 0.75 0.054 경남 거제시 0.000 0.25 0.082 3 대전 유성구 5.645 0.75 0.072 강원 인제군 0.000 0.25 0.057 4 경기 광명시 4.588 0.75 0.059 충북 진천군 0.000 0.25 0.056 5 경기 용인시 수지구 3.531 0.75 0.065 강원 양구군 0.000 0.25 0.054 6 경기 용인시 기흥구 3.531 0.75 0.073 서울 서초구 0.000 0.25 0.054 7 경기 용인시 처인구 3.531 0.75 0.054 서울 송파구 0.000 0.25 0.051 8 경기 성남시 중원구 3.244 0.75 0.048 인천 부평구 0.000 0.25 0.051 9 경기 성남시 수정구 3.244 0.75 0.045 강원 춘천시 0.000 0.25 0.050 10 경기 성남시 분당구 3.244 0.75 0.056 광주 서구 0.000 0.25 0.050 11 전남 목포시 2.913 0.75 0.057 서울 영등포구 0.000 0.25 0.049 12 대구 북구 2.870 0.75 0.054 서울 성북구 0.000 0.25 0.047 13 경기 고양시 덕양구 2.554 0.75 0.056 서울 은평구 0.000 0.25 0.047 14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2.554 0.75 0.052 부산 연제구 0.000 0.25 0.046 15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2.554 0.75 0.047 서울 노원구 0.000 0.25 0.046 16 울산 중구 2.519 0.75 0.055 대구 중구 0.000 0.25 0.045 17 경기 부천시 오정구 2.449 0.75 0.044 서울 양천구 0.000 0.25 0.045 18 경기 부천시 소사구 2.449 0.75 0.049 서울 서대문구 0.000 0.25 0.044 19 경기 부천시 원미구 2.449 0.75 0.052 강원 태백시 0.000 0.25 0.044 20 경기 하남시 2.205 0.50 0.061 경기 포천시 0.000 0.25 0.044 을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경기 지역이 14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의 지역이 영유아의 비율도 평균(0.048)보다 높아 보행자전용(우선)도로의 면적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표 Ⅳ-2-32〉시‧군‧구별 보행자전용(우선)도로의 면적 상·하위 지역

주: 1) 도에 속한 시의 경우, 해당 구의 데이터가 없어 각 구는 시와 동일하다고 가정함.

2) {보행자전용+우선도로의 면적)/(지역)도로 전체면적}×100 자료: 1) 한국토지주택공사(2015). 도시계획현황(2014년 기준).

KOSIS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검색일 2016년 4월 11일) 2) 행정자치부(2016). 주민등록인구현황

KOSIS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검색일 2016년 6월 7일).

시‧군‧구에 보행자전용(우선)도로가 없는 곳은 총 49개 지역이며, 보행자전용 (우선)도로 면적 하위 지역 중 영유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20개 지역을 살 펴보면 <표 Ⅲ-2-32>과 같다. 경기도 화성시의 영유아 비율이 0.084로 가장 높았 고 경상남도 거제시(0.082), 강원도 인제군(0.057), 충청북도 진천군(0.056), 강원

순 위

상위 하위

지역명 사망

자율 평가 점수

영유아

비율 지역명 사망

자율 평가 점수

영유아 비율 1 충북 괴산군 0.113 1.00 0.023 부산 강서구 0.000 0.25 0.094 2 인천 강화군 0.051 1.00 0.029 세종시 0.000 0.25 0.085 3 충남 금산군 0.049 1.00 0.037 부산 기장군 0.000 0.25 0.084 4 경남 고성군 0.046 1.00 0.040 경남 거제시 0.000 0.25 0.082 5 전남 장성군 0.045 1.00 0.048 경기 오산시 0.000 0.25 0.080 6 강원 동해시 0.022 0.75 0.049 충북 청주시 청원구 0.000 0.25 0.075 7 부산 수영구 0.014 0.75 0.041 울산 북구 0.000 0.25 0.074 8 충남 당진시 0.009 0.50 0.069 경기 김포시 0.000 0.25 0.074 9 울산 울주군 0.008 0.50 0.058 대전 유성구 0.000 0.25 0.072 10 강원 원주시 0.006 0.50 0.053 울산 동구 0.000 0.25 0.071 11 경남 양산시 0.005 0.50 0.066 광주 광산구 0.000 0.25 0.071 12 경기 광명시 0.005 0.50 0.059 대구 달성군 0.000 0.25 0.069 13 경기 의정부시 0.005 0.50 0.050 경북 구미시 0.000 0.25 0.069 도 양구군(0.054) 순으로 나타났다. 아래 지역들은 영유아의 비율이 높은 만큼 보행자전용(우선)도로 면적을 우선적으로 개선하여 영유아를 위한 안전한 환경 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2) 영유아 교통사고 사망자 및 부상자 비율

시‧군‧구별 전체 영유아 교통사고 사망자율을 살펴보면 [부록 그림 Ⅴ-32]와 같 다. 영유아 교통사고 사망자율 상위 지역은 <표 Ⅳ-2-33>과 같다. 만 0~5세의 인구 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살펴본 결과 충청북도 괴산군이 0.113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인천시 강화군(0.051), 충청남도 금산군(0.049) 순으로 나 타났다. 단, 괴산군과 강화군은 영유아 비율이 각각 0.023, 0.029로 낮기 때문에 사망률이 다소 높게 측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경상남도 고성군과 전라남도 장 성군은 영유아 비율이 낮지 않은데도 사망자율이 상위에 있기 때문에 영유아의 교통사고에 좀 더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영유아 교통사고 사망자가 없는 곳은 총 213개 지역이었으며, 이중 영유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20개 지역을 살펴보면 <표 Ⅳ-2-33>과 같다. 아래 지역 들은 영유아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므로 현재 사망률은 낮지만 우선적으로 영유 아 교통사고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하는 지역으로 볼 수 있다.

〈표 Ⅳ-2-33〉시‧군‧구별 영유아 교통사고 사망자율 상·하위 지역

순위 시도 시‧군‧구 개수

순위 지역명 영유아 비율 순위 지역명 영유아 비율

1 충북 청주시 청원구 0.075 11 경기 성남시 분당구 0.056

2 경기 용인시 기흥구 0.073 12 경북 포항시 남구 0.054

3 경남 창원시 진해구 0.073 13 경남 창원시 성산구 0.054

4 경기 수원시 영통구 0.072 14 경남 사천시 0.054

5 충남 천안시 서북구 0.068 15 경남 진주시 0.053

6 충북 증평군 0.066 16 경기 안양시 동안구 0.052

7 경기 용인시 수지구 0.065 17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0.052

8 경기 수원시 권선구 0.063 18 경기 안산시 상록구 0.051

9 경기 남양주시 0.063 19 대전 동구 0.051

10 경기 광명시 0.059 20 충북 청주시 상당구 0.051

순위 지역명 시‧군‧구 개수

1 서울 강남구 2

2 서울(7) 강서구, 동대문구, 마포구, 성북구, 송파구, 영등포구, 은평구 1

부산(3) 북구, 서구, 해운대구 1

어린이급식관리 지원센터가 없는 곳은 총 65개 지역이며, 그중 영유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20개 지역을 살펴보면 다음 <표 Ⅳ-2-37>과 같다. 영유아 비율 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0.075),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0.073), 경상남도 창원 시 진해구(0.073),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0.072),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0.068) 순으로 높았다. 아래 지역들은 영유아의 비율이 높은 만큼 어린이 급식관리 지 원센터를 우선적으로 설치하여 영유아 급식을 안전하게 제공하고 관리할 필요 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Ⅳ-2-37〉시‧군‧구별 어린이급식관리 지원센터 공급수준 하위 지역

주: 어린이급식관리 지원센터 수

자료: 1) 어린이급식관리 지원센터 홈페이지(http://ccfsm.foodnara.go.kr, 검색일 2016년 5월 2일).

2) 행정자치부(2016). 주민등록인구현황

KOSIS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검색일 2016년 6월 7일).

5) 보호 및 학대 관련 기관

아동보호전문기관 공급수준의 전국 현황은 [부록 그림 Ⅴ-36]과 같다. 아동보 호전문기관의 수로 공급수준을 살펴본 결과 서울시 강남구가 2개로 가장 많았 고, 서울 7개 지역, 부산 3개 지역, 경기 11개 지역, 강원 4개 지역 등의 지역에 아동보호전문기관이 1개씩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2-38〉시‧군‧구별 아동보호전문기관 공급수준 상위 지역

순위 지역명 영유아 비율 순위 지역명 영유아 비율

1 부산 강서구 0.094 11 경기 수원시 영통구 0.072

2 세종시 0.085 12 대전 유성구 0.072

3 부산 기장군 0.084 13 울산 동구 0.071

4 경남 거제시 0.082 14 광주 광산구 0.071

5 경기 오산시 0.080 15 대구 달성군 0.069

6 충남 아산시 0.079 16 경북 구미시 0.069

7 충북 청주시 청원구 0.075 17 충남 당진시 0.069

8 울산 북구 0.074 18 경기 파주시 0.066

9 경기 김포시 0.074 19 충북 증평군 0.066

10 경남 창원시 진해구 0.073 20 경기 광주시 0.066

순위 지역명 시‧군‧구 개수

대구(3) 달서구, 북구, 중구 1

인천(3) 남구, 남동구, 부평구 1

대전(1) 중구 1

울산(1) 중구 1

광주(1) 서구 1

경기(11) 고양시 덕양구, 남양주시, 부천시 원미구, 성남시 수정구, 수원시 장안구, 시흥시, 안산시 단원구, 용인시 기흥구, 의정부시, 평택시, 화성시 1

강원(4) 강릉시, 동해시, 원주시, 춘천시 1

충북(3) 옥천군, 제천시, 청주시 흥덕구 1

충남(3) 논산시, 천안시 서북구, 홍성군 1

전북(3) 남원시, 익산시, 전주시 완산구 1

전남(3) 나주시, 목포시, 순천시 1

제주도(2) 제주시, 서귀포시 1

(표 Ⅳ-2-38 계속)

주: 아동보호전문기관 수

자료: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6a). 내부자료. 전국 아동보호전문기관 현황(2016. 1. 12. 기준).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없는 곳은 총 203개 지역이며, 공급수준 하위 지역 중 영 유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20개 지역을 살펴보면 다음 <표 Ⅳ-2-39>와 같다.

부산시 강서구가 0.09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세종시(0.085), 부산시 기장군 (0.084), 경상남도 거제시(0.082), 경기도 오산시(0.080) 순으로 나타났다. 아래 지 역들은 영유아의 비율이 높은 만큼 아동보호전문기관을 우선적으로 설치하여 영유아에게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고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Ⅳ-2-39〉시‧군‧구별 아동보호전문기관 공급수준 하위 지역

주: 아동보호전문기관 수

자료: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6a). 내부자료. 전국 아동보호전문기관 현황(2016. 1. 12. 기준).

순위 시도 시‧군‧구 개수

1

충북(2) 옥천군, 청주시 청원구 2

광주(1) 서구 2

전남(1) 목포시 2

경기(1) 수원시 장안구 2

2

부산(3) 금정구, 사하구, 연제구 1

대구(3) 서구, 중구, 유성구 1

인천(1) 계양구 1

대전(1) 중구 1

울산(2) 울주군, 중구 1

경기(7) 고양시 덕양구, 광주시, 남양주시, 성남시 분당구,

안산시 단원구, 의정부시, 화성시 1

강원(4) 동해시, 속초시, 원주시, 춘천시 1

충북(1) 청주시 상당구 1

충남(2) 아산시, 천안시 서북구 1

전북(3) 남원시, 익산시, 전주시 완산구 1

전남(3) 나주시, 순천시, 해남군 1

경북(2) 안동시, 포항시 남구 1

경남(2) 진주시, 창원시 마산회원구 1

제주도(2) 서귀포시, 제주시 1

6) 학대피해아동쉼터

다음으로 시‧군‧구별 학대피해아동쉼터 공급수준의 전국 현황은 [부록 그림 Ⅴ -37]과 같다. 학대피해아동쉼터의 수로 공급수준을 살펴본 결과 충청북도 옥천 군,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광주시 서구, 전라남도 목포시, 경기도 수원시 장 안구가 각각 2개로 가장 많았고 그 밖에 경기도 7개구, 강원도 4개구, 부산시 3 개구 등 지역에 한 개의 학대피해아동쉼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2-40〉시‧군‧구별 학대피해아동쉼터 공급수준 상위 지역

주: 학대피해아동쉼터 수

자료: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6b). 내부자료. 전국 학대피해아동쉼터 현황(2016. 5. 2. 기준).

시‧군‧구별 학대피해아동쉼터가 없는 곳은 총 211개 지역이며, 공급수준 하위 지역 중 영유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20개 지역을 살펴보면 다음 <표 Ⅳ -2-41>과 같다. 부산시 강서구(0.094), 세종시(0.085), 부산시 기장군(0.084), 경상 남도 거제시(0.082), 경기도 오산시(0.080) 순으로 높았다. 따라서 아래 지역은 학 대피해아동쉼터를 우선적으로 설치하여 학대피해 영유아를 보호할 필요성이 있 다고 할 수 있다.

상위 하위 순

위 지역명 공급

수준 평가 점수

영유아

비율 지역명 공급

수준 평가 점수

영유아 비율 1 경북 울릉군 3.944 1 0.031 충북 증평군 0.000 0.25 0.066

영유아 비율 1 경북 울릉군 3.944 1 0.031 충북 증평군 0.000 0.25 0.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