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표 Ⅳ-2-6>은 유아 자녀의 하루 신체활동 시간을 조사한 결과로, 조사대상에 게 3가지로 구분된 신체활동에 본인의 자녀가 어느 정도 시간을 보내는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우선 전체 조사 대상인 유아 2,000명의 다양한 신체활동을 하며 보낸 시간(활 동적인 놀이, 달리기, 공놀이, 음악율동/춤, 수영, 자전거, 줄넘기, 킥보드 타기 등)은 146.7분, 숨을 헐떡이거나 심박수가 증가한 활동적인 놀이 시간은 67.4분, 앉거나 누워서 전자 영상기기를 사용한 시간(스마트폰, 태블릿pc, 비디오게임, 텔 레비전, 영화시청, 인터넷 비디오 등)은 133.5분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평균 시 간은 115.9분으로 나타났다.

유아 연령에 따른 항목별 하루 신체활동 시간을 살펴보면, 만3세의 경우 각각 의 신체활동에 대해 144.4분, 66.4분, 126.5분, 만4세 142.8분, 61.1분, 131.6

전체 146.7 67.4 133.5 (2,000)

유아 연령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Ⅳ. 우리나라 유아의 신체건강 수준 및 신체활동 분석

90.9%, 9.1%로 조사되었다. 만4세가 1시간 이상 타는 비율이 59.1%, 한번에 30 분 이상 앉는 비율이 393명 중 87.3%, 만5세는 62.4%와 414명에 대한 91.1%

로 나타났다. 유아 성별에 따라서는 남아의 1시간 이상 탑승하는 비율은 62.5%, 한번에 30분 이상 앉아 있는 경우는 625명 중 89.6%로 나타났으며, 여아의 경우 57.9%, 579명 중 90.0%로 조사되었으며, 두 성별 간의 1시간 이상 탑승 여부에 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총 자녀수와 유아의 1시 간 이상 탑승여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자녀수가 적을 수록 1시간 이상 탑승하는 비율이 높았다.

거주 지역에 따라서는 서울특별시의 경우 1시간 이상 탑승하는 비율은 63.4%, 한번에 30분 이상 앉아 있는 경우는 260명 중 91.5%로 나타났으며, 4가지의 지 역구분 중 가장 긴 시간을 앉아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광역시 및 자치시에서는 57.6%와 343명 중 86.9%의 비율을 보였으며, 중소도시에서는 60.5%, 563명 중 91.3%로 나타났으며, 군(읍면지역)에서는 58.5%, 38명중 81.6%로 조사되었다.

특히, 거주 지역에 따라 유아가 한번에 30분 이상 앉은 경우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 서울특별시가 91.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군(읍면지 역)이 81.6%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가구소득의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200만원 미만일 때는 1시간 이상 탑승하는 비율은 47.2%, 한번에 30분 이상 앉아 있는 경우는 17명 중 82.4%로 조사되었 으며, 200~300만원 미만은 50.0%, 106명 중 90.6%로 300~400만원 미만의 경 우 58.4%와 296명 중 84.1%, 400~500만원 미만에서는 62.5%와 312명 중 91.7%를 보였으며, 500~600만원 미만은 61.5%, 209명 중 90.9%, 600~900만 원 미만에서는 66.4%, 211명 중 92.4%를 나타냈으며, 마지막으로 900만원 이상 의 소득에서는 62.5%, 50명 중 96.0%로 조사되었다. 또한 가구소득 수준 별로 유아 자녀가 1시간 이상 유모차, 자동차, 뒷자석, 스쿠터, 자전거에 탑승하였는가 에 대한 여부( )와 한번에 30분 이상 앉은 경우( )에는 유의 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Ⅳ. 우리나라 유아의 신체건강 수준 및 신체활동 분석

<표 Ⅳ-2-8>을 통해 유아 자녀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낮잠시간 포함)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유아 자녀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이 8시간 미만인 경우는 15.1%, 9시간 이상~10시간 미만은 26.8%, 10시간 이상~11시간 미만은 42.3%, 11시간 이상~12시간 미만은 8.6%, 12시간 이상은 7.4%로 나타났으며, 전체 유 아의 평균 수면시간은 581.0분을 보였다.

유아 연령에 따른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을 살펴보면, 만3세의 경우 각각 11.5%, 23.4%, 41.5%, 12.4%, 11.3%, 평균 597.2분으로 나타났다. 만4세 유아에서는 15.9%, 24.4%, 45.3%, 9.2%, 5.3%, 평균 573.9분의 수치를 보였으며, 만5세는 17.8%, 32.6%, 40.0%, 4.1%, 5.6%, 평균 571.7분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연령 이 높아질수록 10시간 이상 자는 경우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유아의 하 루 평균 수면 시간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또한 각 연령 별 총 평균 수면 시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 였으며(  ), 연령이 높아질수록 총 평균 수면 시간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아성별에 대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남아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8시간 미만 13.2%, 9시간 이상~10시간 미만 29.4%, 10시간 이상~11시간 미만은 42.0%, 11시간 이상~12시간 미만은 7.3%, 12시간 이상의 경우 8.1%로 나타났 으며, 여아의 경우 각각 16.9%, 24.1%, 42.5%, 9.8%, 6.7%를 보였다. 분석결과 유아의 성별에 따른 하루 평균 수면 시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 ). 총 자녀수와 관련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1명일 경우 586.3 분, 2명 580.0분, 3명 이상은 572.8분으로 자녀수가 많아질수록 유아의 총 평균 수면 시간은 줄어들었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분석되었다 (  ).

거주 지역에 따른 하루 평균 수면 시간에 대해서는 서울특별시의 경우 16.8%, 25.6%, 41.2%, 9.3%, 7.1%로 나타났다. 광역시 및 자치시는 15.6%, 25.7%, 41.2%, 9.4%, 8.1%, 중소도시 13.1%, 28.5%, 43.2%, 8.1%, 7.1%, 군(읍면지 역)은 26.2%, 18.5%, 44.6%, 3.1%, 7.7%로 나타났다. 부모의 맞벌이 유무에 따 라서도 유아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 ), 부모가 맞벌이일 경우 자녀의 수면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부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Ⅳ. 우리나라 유아의 신체건강 수준 및 신체활동 분석

<표 Ⅳ-2-10>은 지난 일주일 동안 유아 자녀의 기상 시간을 조사한 결과로, 조 사대상에게 새벽5시 이전부터 아침8시 이후까지의 시간을 한 시간 간격으로 나누 어 자녀의 기상 시간에 대해 질문하였다.

우선 전체 조사 대상인 유아 2,000명의 기상 시간 비율을 살펴보면, 새벽5시 이전 0.1%, 아침5시 이후~아침6시 이전 0.6%, 아침6시 이후~아침7시 이전 13.6%, 아침7시 이후~아침8시 이전 59.3%, 아침8시 이후는 26.5%로 나타났으 며, 아침7시 이후~아침8시 이전의 기상 시간 비율이 가장 높았다.

유아 연령과 기상 시간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 모든 연령에서 아침7시 이전 기상하는 비율보다 아침7시 이후 기상하는 비율이 더 크 게 나타났으며, 유아 성별에 따라서는 남아의 경우 각 시간대 별로 0.0%, 0.9%, 14.5%, 58.9%, 25.7%를 여아는 0.1%, 0.2%, 12.7%, 59.7%, 27.3%로 나타났 다. 거주 지역에 따라서 살펴보면, 모든 지역에서 유아 자녀의 기상 시간의 비율 이 전체 유아의 기상 시간 비율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지역에서 아침7시 이후~아침8시 이전에 기상하는 유아가 가장 많았으며, 군(읍면지역)을 제외하고 는 아침8시 이후가 그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부모의 맞벌이 유무에 따라 유아 자녀의 기상 시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 석되었으며( ), 맞벌이가 아닐 경우 유아의 기상 시간이 더 늦춰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구소득에 따라 유아 자녀의 기상 시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 ), 다른 구간에 비해 가구소득이 200만원 미 만 일 때와 900만원 이상일 때의 응답비율 분포가 상당히 유사한 것이 주목할 점 이다.

표 Ⅳ-2-10 지난 일주일 동안 유아 자녀의 기상 시간

단위 : %(명) 구분 새벽5시 이전 아침5시 이후~아침6시 이전 아침6시 이후~

아침7시 이전 아침7시 이후~

아침8시 이전 아침8시 이후 계(수)

전체 0.1 0.6 13.6 59.3 26.5 (2,000)

유아 연령

만3세 0.0 0.3 14.3 54.9 30.5 (672)

만4세 0.2 1.1 14.3 59.7 24.8 (665)

만5세 0.0 0.3 12.2 63.3 24.1 (663)

X2(df) 18.20(8)*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표 Ⅳ-2-22>는 유아 자녀의 규칙적인 취침시간 및 기상시간 여부에 대한 조 사결과를 나타낸다. 전체적으로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이 30분 이상 차이 나지 않 는 비율은 각각 82.7%, 89.3%이다.

유아 연령의 경우를 살펴보면, 연령 별로 취침시간의 규칙성에 유의미한 차이 를 보였는데( ), 만5세에서 취침시간이 30분 이상 차이가 나지 않는 비 율이 8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상시간의 차이여부에도 연령 별로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 취침시간과 마찬가지로 만5세에서 기상시 간이 30분 이상 차이가 나지 않는 비율이 91.3%로 가장 높았다. 유아 성별의 조 사결과를 살펴보면, 여아의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의 규칙성의 비율이 각각 83.1%

와 89.8%로 남아보다 더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에 따른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거주 지역에서의 규칙정도는 유 사하게 나타났으며, 서울특별시에서 취침시간의 규칙정도가 82.9%로, 중소도시 에서 기상시간의 규칙정도가 90.0%로 각 항목에서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나타냈 다. 가구소득에 따라 기상시간의 규칙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 ), 500~600만원 미만에서 91.5%로 규칙성이 가장 높게, 200만원 미만에서 80.6%로 규칙성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다.

구분 전혀

사용 안함

주1회미만 주1회 주3~4회 매일

주1회미만 주1회 주3~4회 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