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유아건강검진은 4~6개월, 9~12개월 18~24개월 30~36개월 42~48개월, 54~60개월, 66~71개월 시기에 실시되며, 본 연구에서는 신체건강 및 신체활동 과 관련하여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등에 대한 신체계측 결과, 한국 영유아 발달 선별검사(K-DST)를 통한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평가결과, 일부 영양문진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영유아검진코호트DB의 연도별, 연령별 현 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Ⅳ-1-1 영유아검진코호트DB 연도별, 연령별 영유아수 현황

단위 : 명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전체

전체 14,456 29,484 46,501 64,393 83,969 83,949 83,930 83,920 남자 7,475 15,200 24,024 33,275 43,357 43,347 43,333 43,327 여자 6,981 14,284 22,477 31,118 40,612 40,602 40,597 40,593 0세 전체 14,456 15,028 17,024 17,904 19,593 - -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 Education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남자 7,475 7,725 8,825 9,259 10,091 - - -여자 6,981 7,303 8,199 8,645 9,502 - -

-1세

전체   14,456 15,024 17,022 17,903 19,588 남자   7,475 7,724 8,824 9,258 10,089

전체 14,447 15,008 17,004 17,894

남자 7,472 7,715 8,811 9,251

여자 6,975 7,293 8,193 8,643

5세

전체 14,445 15,007 17,002

남자 7,471 7,715 8,809

Ⅳ. 우리나라 유아의 신체건강 수준 및 신체활동 분석

에서 남아의 신장평균이 더 컸다. 체중 평균의 경우, 1차수(4~6개월) 남아는 8.4㎏, 여아는 7.8㎏, 2차수(9~12개월) 남아는 10.1㎏, 여아는 9.5㎏, 3차수(18~24개 월) 남아는 12.2㎏, 여아는 11.6㎏, 4차수(30~36개월) 남아는 14.4㎏, 여아는 13.8㎏, 5차수(42~48개월) 남아는 16.4㎏, 여아는 15.9㎏, 6차수(54~60개월) 남아는 18.7㎏, 여아는 18.2㎏, 7차수(66~71개월) 남아는 21.3㎏ 여아는 20.7㎏

로 체중 평균은 남아가 여아보다 더 컸고, 성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체질량지수의 경우에도 남아가 더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1-2유아검진코호트DB 신장,, BMI 평균 : ㎝, ㎏, 구분 1차 (4-6개월)2차 (9-12개월)3차 (18-24)4차 (30-36개)5차 (42-48)6차 (54-60개)7차 (66-71)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신장

67.33.117,81875.43.222,32885.43.721,99993.53.621,577100.43.920,788107.34.319,9151144.518,101 68.12.99,19476.13.111,50186.13.711,28594.13.511,124100.93.910,659107.84.310,266114.54.59,245 66.438,62474.63.110,827 84.73.710,71492.93.510,453 99.83.810,129106.84.19,649 113.54.48,856 t-value38.47***36.62***27.07***24.90***21.02***16.56***15.37*** 체중

8.11.217,8189.81.322,330 11.91.422,00214.11.721,585 16.2220,79018.52.519,915213.318,101 8.419,19410.11.111,502 12.21.411,28714.41.711,130 16.4210,66018.72.610,266 21.33.59,245 7.81.38,6249.51.310,82811.61.310,71513.81.710,45515.91.910,13018.22.49,64920.73.18,856 t-value35413***40.75***36.67***25.64***20.04***16.00***13.94*** BMI

---------16.11.421,584161.420,790161.519,91516.11.818,101 ---------16.21.411,12916.11.310,66016.11.610,26616.21.99,245 ---------161.410,45515.91.410,13015.91.59,649161.88,856 t-value---13.49***9.81***8.80***8.43*** *** p < .001

Ⅳ. 우리나라 유아의 신체건강 수준 및 신체활동 분석

<표 Ⅳ-1-3>은 영유아검진코호트DB 영유아의 성별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BMI)에 대한 판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신장을 보면, 1차수(4~6개월) 영 유아의 경우 98.3%가 양호하였고, 1.7%가 정밀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수(9~12개월)는 양호가 98.0%, 정밀평가필요가 2.0%였으며, 남아는 정밀평 가필요가 1.8%, 여아는 2.2%로 성별 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차 수(18~24개월)는 양호가 98.3%, 정밀평가필요가 1.7%, 4차수(30~36개월)는 양 호가 98.9%, 정밀평가필요가 1.1%, 5차수(42~48개월)는 양호가 97.2%, 정밀평 가필요가 2.8%, 6차수(54~60개월)는 양호가 94.7%, 정밀평가필요가 5.3%, 7차 수(66~71개월)는 양호가 93.2%, 정밀평가필요가 6.8%로 나타났다.

체중의 경우, 1차수(4~6개월) 영유아 중 양호는 96.6%, 정밀평가필요는 3.4%

였고, 남아 중 정밀평가필요는 3.6%, 여아는 3.1%였다. 2차수(9~12개월)는 양호 가 96.9%, 정밀평가필요가 3.1, 3차수(18~24개월)는 양호가 96.7%, 정밀평가필 요가 3.3%, 4차수(30~36개월)는 양호가 97.0%, 정밀평가필요가 3.0%, 5차수 (42~48개월)는 양호가 95.0%, 정밀평가필요가 5.0%, 6차수(54~60개월)는 양호 가 92.0%, 정밀평가필요가 8.0%, 7차수(66~71개월)는 양호가 91.0%, 정밀평가 필요가 9.0%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의 경우, 4차수(30~36개월)부터 자료가 있다. 4차수에 양호는 97.2%, 정밀평가필요는 2.8%, 5차수(42~48개월)는 양호가 95.0%, 정밀평가필 요가 5.0%, 6차수(54~60개월)는 양호가 92.5%, 정밀평가필요가 7.5%, 7차수 (66~71개월)는 양호가 90.9%, 정밀평가필요가 9.1%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 판 정 비율에 대한 성별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월령이 높아짐에 따라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의 정밀평가필요 판 정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66~71개월 7차수의 유아 경우 정밀평가 필요 비율이 거의 1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신체활동의 필요성이 상 당함을 알 수 있다.

-1-3유아검진코호트DB 신장,, BMI 판정 단위 : %(명) 구분 1차 (4-6개월)2차 (9-12개월)3차 (18-24개)4차 (30-36개)5차 (42-48)6차 (54-60개)7차 (66-71개) 양호

정밀 평가 필요

양호

정밀 평가 필요

양호

정밀 평가 필요

양호

정밀 평가 필요

양호

정밀 평가 필요

양호

정밀 평가 필요

양호

정밀 평가 필요

신장

98.3 1.7100.0 (17,798)98.0 2.0 100.0 (22,326)98.3 1.7 100.0 (22,001)98.9 1.1 100.0 (21,581)97.2 2.8 100.0 (20,790)94.7 5.3 100.0 (19,915)93.2 6.8 100.0 (18,101) 98.2 1.8100.0 (9,188)98.2 1.8 100.0 (11,500)98.5 1.5 100.0 (11,287)98.9 1.1 100.0 (11,127)97.3 2.7 100.0 (10,660)94.7 5.3 100.0 (10,266)93.4 6.6 100.0 (9,245) 98.3 1.7100.0 (8,610)97.8 2.2 100.0 (10,826)98.2 1.8 100.0 (10,714)98.9 1.1 100.0 (10,454)97.0 3.0 100.0 (10,130)94.7 5.3 100.0 (9,649)93.0 7.0 100.0 (8,856) 

0.21(1)3.93(1)*2.93(1)0.01(1)1.01(1)0.05(1)1.29(1) 체중 96.6 3.4100.0 (17,808)96.9 3.1 100.0 (22,322)96.7 3.3 100.0 (22,001)97.0 3.0 100.0 (21,582)95.0 5.0 100.0 (20,790)92.0 8.0 100.0 (19,915)91.0 9.0 100.0 (18,101) 96.4 3.6100.0 (9,186)97 3.2 100.0 (11,497)96.6 3.4 100.0 (11,287)96.8 3.2 100.0 (11,128)95.1 4.9 100.0 (10,660)92.3 7.7 100.0 (10,266)91.1 8.9 100.0 (9,245) 96.9 3.1100.0 (8,622)97.0 3.0 100.0 (10,825)96.7 3.3 100.0 (10,714)97.1 2.9 100.0 (10,454)94.8 5.2 100.0 (10,130)91.7 8.3 100.0 (9,649)90.9 9.1 100.0 (8,856) 

4.12(1)*0.5(1)0.14(1)2.09(1)0.83(1)2.74(1)0.22(1) BMI---------97.22.8100.0 (21,566)95.0 5.0 100.0 (20,789)92.5 7.5 100.0 (19,914)90.9 9.1 100.0 (18,101) ---------97.22.8100.0 (11,122)95.1 4.9 100.0 (10,660)92.2 7.8 100.0 (10,266)91.2 8.8 100.0 (9,245) ---------97.12.9100.0 (10,444)94.9 5.1 100.0 (10,129)92.8 7.2 100.0 (9,648)90.7 9.3 100.0 (8,856) 

---0.44(1)0.24(1)2.5(1)1.5(1) * p < .05

Ⅳ. 우리나라 유아의 신체건강 수준 및 신체활동 분석

<표 Ⅳ-1-4>는 영유아검진코호트DB 차수별로 성별, 연도별 체질량지수 판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영유아검진코호트DB의 신체계측판단 기준은 2007 성장도표에 기초하여 신체계측의 “정상”을 5~95백분위수로 규정하 고 있으며, 이에 벗어나는 것을 “비정상”으로 규정하고 있다(질병관리본부 외, 2007: 64). 여기에서 정상, 비정상의 구분은 임상적 의미가 아닌 보건통계적 의 미로, 신체 계측치 그 자체가 개별 수검자의 건강 상태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질병관리본부 외, 2007: 64). 같은 연령 군에서 과체중(overweight)의 기준은 85백분위수 이상에서 95백분위수 미만을 의미하고, 2007년 성장도표 산출 근거 로 사용된 2005년 측정 자료가 인구 집단의 비만 급증 현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 로 판단되므로, 과체중 집단도 건강관리가 필요하다(질병관리본부 외, 2007: 64).

질병관리본부 외(2007: 64)에 의하면 영유아기 연령에서는 체질량지수 및 체지 방량의 임상적 또는 역학적 의미가 아직 불명확하기 때문에 비만이라는 용어는 잘 사용되지 않고, 과체중 개념만 사용하며 체질량지수 95백분위수 이상으로 정의하 고 건강관리와 영양지침 등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는 국민건강보험 보도자료(2017. 11. 22.)의 영유아검진 빅데이터분석 자료의 기 준을 그대로 적용하여 일반적 성장도표의 판정기준에 따라 저체중, 비만, 과체중을 구분하였고, 체질량지수가 5~95백분위수인 경우를 ‘정상’으로 규정하였다.

표본전체를 대상으로 BMI 판정결과를 보면, 4차수(30~36개월)는 연도별로 저 체중과 비만분율은 감소하였다, 저체중의 경우 남자는 2010년 6.2%에서 2012년 4.1%로, 여자는 같은 기간 6.8%에서 5.4%로 감소하였다. 비만인 경우는 남자는 2010년 6.6%에서 2012년 3.8%로, 여자는 같은 기간 5.3%에서 3.3%로 감소하 였다. 그러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보이는 과체중분율도 남자는 평균 7.8%, 여자는 8.1%로 다소 높고 여자는 2010년 6.3%에서 8.3%로 과체중 분율이 증가 하였다.

5차수(42~48개월)는 전체적으로 저체중분율은 약간 증가, 비만분율은 약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체중의 경우 남자는 평균 3.8%로 연도별로 별 차이가 없었고, 여자는 2011년 3.4%에서 2013년 3.9%로 증가하였다. 비만의 경우 남자 는 2011년 6.0%에서 2013년 5.1%로 감소한 반면, 여자는 같은 기간 5.6%에서 5.5%로 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과체중분율이 남자는 평균 12.0%, 여자는

유아기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Ⅲ): 유아기 신체 건강 수준 측정 및 국제 비교

12.7%로 4차수에 비해 높고, 남녀모두 연도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6차수(54~60개월)는 전체 저체중분율은 연도별로 별 차이가 없고, 비만분율은 감소하였다. 저체중분율의 경우 남자는 2012년 3.4%에서 2014년 4.1%로 증가 한 반면, 여자는 같은 기간 4.2%에서 3.2%로 감소하였다. 비만분율의 경우 남자 는 2012년 5.6%에서 2014년 6.1%로 다소 증가하였고, 여자는 같은 기간 9.2%

에서 6.2%로 크게 감소하였다. 과체중분율의 경우 남자는 평균 12.1%, 여자는 12.4%로 5차수와 비슷하였고 연도별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7차수(66~71개월)는 전체 저체중 비만분율 모두 연도별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 였다. 저체중분율의 경우 남자는 2013년 4.5%에서 2015년 3.9%로, 여자는 4.7%에서 3.8%로 감소하였다. 비만분율의 경우 남자는 2013년 8.1%에서 2015 년 7.3%로 감소하였고, 여자는 같은 기간 7.3%에서 7.6%로 다소 증가하였다. 과 체중분율의 경우 남자는 평균 10.6%, 여자는 평균 11.2%였고 연도별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월령이 높아짐에 따라 저체중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 나, 월령 증가에 따라 비만과 과체중분율도 다소 증가하다 7차수(66-71개월)에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 -1-1 영유아검진코호트DB 차수별, 연도별 저체중 분율 4차수(30~36개월)5차수(42~48개월)6차수(54~60개월)7차수(66~71개월) 그림 -1-2 영유아검진코호트DB 차수별, 연도별 정상 분율 4차수(30~36개월)5차수(42~48개월)6차수(54~60개월)7차수(66~71개월)

-1-4유아검진코호트DB , 연도별 BMI 판정결과 추이 단위 : %(명) 구분4차수(30-36개월)5차수(42-48개월)6차수(54-60개월)7차수(66-71개월) 201020112012201120122013201220132014201320142015 (1,471)(9,422)(10,677)(21,570)(1,411)(8,740)(10,626)(20,777)(1,232)(8,251)(10,429)(19,912)(1,094)(8,647)(8,360)(18,101) 6.5 5.1 4.7 5.0 3.6 3.7 3.83.8 3.8 3.8 3.73.7 4.6 3.8 3.9 3.9 87.5 91.1 91.9 91.3 90.6 90.4 90.990.7 88.8 89.9 90.290.0 87.8 89.0 88.7 88.8 6.0 3.8 3.4 3.7 5.8 5.8 5.35.5 7.4 6.3 6.16.3 7.7 7.3 7.4 7.3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100.0 100.0 100.0 100.0100.0 100.0 100.0 100.0 100.0 7.0 8.2 7.9 8.0 11.1 12.4 12.512.3 13.7 12.4 11.912.2 12.2 10.6 11.0 10.9 +비13.0 11.9 11.3 11.7 16.9 18.2 17.717.9 21.1 18.7 18.118.5 19.9 17.9 18.4 18.2 (753)(4,868)(5,502)(11,123)(736)(4,420)(5,495)(10,651)(620)(4,231)(5,413)(10,264)(558)(4,375)(4,312)(9,245) 6.2 4.5 4.1 4.4 3.8 3.9 3.83.8 3.4 4.1 4.14.0 4.5 3.9 3.9 3.9 87.1 91.8 92.4 91.8 90.2 90.1 91.190.6 91.0 89.6 89.889.8 87.5 89.4 88.8 89.0 6.6 3.7 3.5 3.8 6.0 6.0 5.15.5 5.6 6.3 6.16.2 8.1 6.8 7.3 7.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100.0 100.0 100.0 100.0100.0 100.0 100.0 100.0 100.0 7.7 8.1 7.5 7.8 11.7 11.9 12.212.0 13.5 11.8 12.012.1 11.8 10.4 10.6 10.6 +비14.3 11.8 11.0 11.6 17.7 18.0 17.317.6 19.2 18.2 18.218.2 19.9 17.2 17.9 17.7 (718)(4,554)(5,175)(10,447)(675)(4,320)(5,131)(10,126)(612)(4,020)(5,016)(9,648)(536)(4,272)(4,048)(8,856) 6.8 5.8 5.4 5.7 3.4 3.5 3.93.7 4.2 3.5 3.23.4 4.7 3.7 3.8 3.8 87.9 90.3 91.4 90.7 91.0 90.8 90.790.8 86.6 90.1 90.690.2 88.1 88.6 88.6 88.6 5.3 3.9 3.3 3.7 5.6 5.6 5.55.6 9.2 6.3 6.26.4 7.3 7.7 7.6 7.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100.0 100.0 100.0 100.0100.0 100.0 100.0 100.0 100.0 6.3 8.2 8.3 8.1 10.4 12.8 12.812.7 13.9 13.0 11.812.4 12.7 10.8 11.3 11.2 +비11.6 12.1 11.6 11.8 16.0 18.4 18.318.2 23.0 19.3 17.918.8 20.0 18.6 18.8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