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아교육·보육기관 평가의 방향 탐색

Ⅳ. 유아교육·보육기관 평가를 위한 정책 방안

1. 유아교육·보육기관 평가의 방향 탐색

국제비교를 통해 각 나라의 기관 대상 평가에 대한 정책을 검토한 후, 우리 나라의 기관 대상 평가·평가인증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도출 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영유아 기관 평가가 나아가야 할 정책 방향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학계전문가, 교사, 공무원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문항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 조사 분석을 통해 기관 평가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학계전문가, 교사, 공무원별 설문조사 결과는 <부록 2>에서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가. 기관 평가·평가인증의 운영

우선 기관 평가 운영 방향에 대한 것이다. 평가나 평가인증 과정에서 기관의 장점과 단점, 개선사항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려줄 필요가 있다는 문항에 대 해 응답자의 88%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교사의 동의 비율은 82.8% 정도이고 공 무원과 학계 전문가의 동의 정도가 각각 98%, 97.5%로 교사 집단에서 동의 정 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다음은 평가(인증) 의무화 필요성에 대한 동의 정도로 대체로 그렇다 35.4%, 매우 그렇다 32.4%로 65.8%가 의무화 필요성에 동의하고 나머지 32.2%는 반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무화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이 가장 많은 집단은 학계 전문가로 응답자의 89.3%가 동의하였고 학계 전문가 역시 87%가 찬성하였다.

현장 교사는 56.5%만이 동의하였고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 18%, 그렇지 않다 는 응답 25.5%로 많은 수의 교사가 의무화에 반대하고 있다.

기관평가 실시하기 이전에 사전 지원하는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개선안 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8% 정도가 동의하였고, 약 12%는 반대하였다. 교사의 동의 정도가 85%로 가장 적고, 공무원과 학계 전문가의 동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평가를 담당하는 별도의 독립적인 기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71%가 동의하였고, 동의 정도도 각 집단 간에 유사하였다. 그러나 평가를 담당

하는 전문평가위원이 필요한지에 대한 동의 정도에서는 전체의 77.5%가 동의하 였고 교사는 73.8%, 공무원 86.0%, 학계전문가 82.7%가 동의하였다.

나. 기관 평가·평가인증 지표

평가 기준이 되는 지표 개선안에 대한 동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우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치원 평가, 어린이집 평가인증 지표가 너무 상 세하여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5.7%가 동의하 였고 동의하지 않는 비율도 34.3% 응답되었다. 응답자 집단별로 보면 교사에게 서 동의 비율이 72.5%로 가장 높고 학계 전문가는 44.6%만이 동의하고 반대는 55.4%로 반대 비율이 더 높고 세 집단 중 동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기관의 유형과 특성에 따른 평가지표 차별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의 86%가 동의하였고 집단별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학계 전문가 집단의 동의 비율이 84.3%로 가장 낮고 교사가 8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가지표에서 교육과정 영역을 보다 더 강조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74.7%가 동의하였고 25.3%는 반대하였다. 집단별로 보면 교사는 67.8%만이 동의하여 동의 비율이 가장 낮았고 공무원 85.0%, 학계 전문가 89.3%가 동의하여 학계 전문가가 교육과정을 더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가에서 영유아 발달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 체 응답자의 74.9%가 동의하였고 25.2%는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공 무원, 학계 전문가 모두 동의 비율이 70%대로 유사하나, 학계전문가 동의 정도 는 71.9%로 세 집단 중 가장 낮다. 영유아 발달 결과 측정 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로 해석된다.

기관의 운영관리와 교육‧보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냐는 문항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84.7%가 동의하였다.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교 사의 82.3%가 동의하였고 학계 전문가는 88.5%, 공무원은 90%가 동의하였다.

기관의 환경과 특색을 살리는 고유한 교육‧보육과정 운영에 대한 지표가 필 요하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87%가 동의하였는데, 공무원의 96%, 학계 전문가 87.6%, 교사 84.5%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인증) 시 재정 회계 부분 강조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2.8%

가 동의하였고 약 37.2%는 반대하였다. 집단별로는 교사가 52.3%만이 동의하여 가장 낮고, 공무원은 86%로 나타나 집단별로 의견 차이가 있었다.

다. 기관 평가·평가인증 방법

평가의 구체적 시행방법 및 내용을 각 지자체의 자율성과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지자체에서 결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3.8%가 동의하였고 약 36.2%는 반대하였다. 교사와 공무원은 77% 정도가 찬성하였으나, 학계 전문 가는 단 56.2%에 동의하였다.

현장 관찰기간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의 76%가 동의하였는데, 집단별로 보면 교사 71.6%, 공무원 87%, 학계 전문가 91.8%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집단에서 동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기관 평가(인증) 시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 한지에 대해서는 전체의 73.4%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사는 63.8%만 이 동의하였고, 공무원의 91%, 학계전문가의 91.9%가 동의한다고 응답하였다.

라. 기관 평가·평가인증 결과

평가가 끝난 후 결과 제시 및 활용에 있어 개선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유 치원 평가와 어린이집 평가인증의 결과 내용에 대한 신뢰도를 더 높일 필요가 있 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83%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교사가 78.8%만이 동의하고 공무원 92%, 학계전문가 90.5%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인증) 결과가 현저히 저조한 경우, 컨설팅이나 장학, 조력 등의 사후관리 를 의무적으로 받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항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83.9%

가 동의하였다. 집단별로는 교사는 76.5%만이 동의하였고 공무원과 학계 전문가 는 각각 96.8%, 98.3%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공개 시 점수를 범주화해서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59.7%만이 동의하였다. 집단별로 보면 교사는 49.3%만이 동의하 였고, 공무원은 77%, 학계 전문가는 80.2%가 동의하였는데 특히 교사의 경우 강력한 부정인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25.5%, 그렇지 않다 25.3%로 반대의 의견이 좀 더 강함을 알 수 있었다.

평가 결과를 부모에게 서술 형태로 정리하여 공개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49.3%가 동의, 50.8%가 반대하여 반대 의견이 더 많다. 교사의 반대 비율이 특히 높은데 61.8%가 반대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공무원이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되었는데 대체로 그렇다 32.0%, 매우 그렇다 40.0%로 72%

가 동의하였고, 학계 전문가는 대체로 그렇다 40.5%, 매우 그렇다 26.4%로 전체 의 66.9%가 동의하였다.

평가(인증) 결과에 따라 다음 평가 시기를 달리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8.0%가 동의하였으며 32%는 반대하였다. 집단별로 보면 교사의 동의 비율은 58.5%, 공무원 78.0%, 학계 전문가 81%가 동의하여, 교사에게서 동의비 율이 가장 낮고, 학계 전문가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국제비교 결과를 토대로 평가(인증)을 개선할 수 있는 대부분의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교수, 공무원, 교사 순으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공무원 집단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문항은 조력, 컨설팅 등을 통한 사후관리 의무였으며 평가(인증) 의 의무화와 평가(인증)을 위한 사전지원 강화가 필요하다는 데서 유사한 의견 을 보였다. 한편 교사의 경우, 기관 특성에 따라 지표를 차별화해야 한다는 데 가장 적극적으로 동의하였으나 평가(인증)을 의무화하거나 기관에 대한 서술식 내용을 공개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른 집단에 비해서 필요성을 인식하는 수준이 매우 낮았다.

주: A 평가(인증)을 통해 기관의 장점, 단점, 개선사항을 구체적으로 알려줌, B 평가(인증) 의 무화, C 평가(인증)을 위한 사전 지원 강화, D 평가(인증) 담당 독립적 기관 필요, E 독립 적인 전문평가 위원 필요, F 현 평가(인증) 지표가 필요이상으로 자세하여 수정이 필요함, G 기관 특성에 따라 지표를 차별화, H 평가(인증) 지표에서 교육과정 영역 강조, I 평가 에서 영유아 발달에 관련된 자료수집, J 운영 관리와 교육·보육과정에 대한 평가 구분

〔그림 Ⅳ-1-1〕 기관대상 평가 정책방안의 기본 방향에 대한 동의 정도(1)

주: K 기관 특색을 살린 지표 필요, L 재정 회계 부분 강조 필요, M 평가(인증) 내용 및 방 법을 시·도 수준에서 결정, N 현장 관찰기간 다양화, O 평가(인증) 과정에서 원장 및 교 사 심층 면접 수행, P 평가(인증) 결과 내용 신뢰도 강화, Q 컨설팅이나 장학, 조력 등의 사후관리 의무화, R 평가(인증) 결과 점수 범주화 공개, S 평가(인증) 결과의 서술식 내용 을 부모에게 공개, T 평가(인증) 결과에 따른 다음 평가 시기 결정

〔그림 Ⅳ-1-2〕 기관대상 평가 정책방안의 기본 방향에 대한 동의 정도(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