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신뢰(Trust)

이 연구에서는 신뢰(trust)를 우리 사회 전반에 대한 일반적인 신뢰도 와 대인 신뢰, 두 가지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대인 신뢰에는 가족(친척 포함),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는 사람(친구, 직장 동료 등), 이웃, 처음 만 난 낯선 사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회적 거리 관계에 있는 집단을 포함 하고 있다.

먼저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와 이에 따른 편견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는 0점(전혀 믿을 수 없다)에서부터 10점(매우 믿을 수 있다)까지 측정하였고, 높은 점수가 높은 신뢰도를 나 타낸다. 아래 <표 5-2-17>을 보면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와 이주노동 자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명시적 편견 사이에는 부적(-)인 관계가 있음 을 볼 수 있다. 즉 사회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사람은 이주노동자와 북한 이탈주민에 대한 명시적 편견 태도가 낮았다. 사회에 대한 신뢰도와 성소 수자에 대한 명시적 편견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이에 반해, 암묵적 편견은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차이가 크 게 발견되지 않았다. 북한이탈주민의 경우에만,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 가 높은 사람일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암묵적 편견 또한 높았다 (r=.13, p<.001).

구분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성소수자 명시적 편견 암묵적 편견 명시적 편견 암묵적 편견 명시적 편견 암묵적 편견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 -.12*** -.05 -.20*** .13*** -.04 .03

<표 5-2-17>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에 따른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상관계수) (단위: 상관계수)

자료: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조사, 원자료(2019).

다음으로 대인 신뢰에 따른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 수준을 살펴보 았다. 이 연구에서는 가족(친척 포함)과 같은 매우 가까운 관계에서부터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는 사람(친구, 직장 동료 등), 이웃, 처음 만난 낯선 사람에 이르기까지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집단부터 먼 집단까지 이들에 대한 신뢰를 4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가족(친척 포함)과 개인적으로 친분 이 있는 사람(친구, 직장 동료 등), 이웃을 ‘내집단(in-group)’으로, 처음 만난 낯선 사람을 ‘외집단(out-group)’으로 나누고, 이를 기반으로 다시 다음과 같이 네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내집단과 외집단에 대한 신 뢰도가 모두 낮은 그룹(낮은 신뢰). 둘째, 내집단에 대한 신뢰도는 높지만 외집단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 그룹(결속적 신뢰). 셋째, 외집단에 대한 신 뢰도가 높은 그룹(교량적 신뢰). 넷째, 내집단과 외집단에 대한 신뢰도가 모두 높은 그룹(높은 신뢰). 교량적 신뢰는 13.70%로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내집단/외집단에 대한 신뢰가 모두 높은 그룹이 52.10%로 가장 높았다(<표 5-2-18> 참조).

구분 %

구분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성소수자 명시적 편견 암묵적 편견 명시적 편견 암묵적 편견 명시적 편견 암묵적 편견 낮은 신뢰 3.06(.77) 3.35(.57) 3.03(.56) 3.00(.48) 3.15(1.03) 3.11(.51) 결속적(bonding) 신뢰 3.08(.66) 3.34(.48) 3.04(.59) 3.00(.48) 3.22(.95) 3.07(.49) 교량적(bridging) 신뢰 3.05(.61) 3.23(.45) 2.90(.39) 3.05(.44) 3.19(.84) 3.10(.55) 높은 신뢰 2.91(.63) 3.27(.45) 2.80(.50) 3.16(.45) 3.28(.83) 3.18(.48) F statistic 4.69** 2.75* 13.95*** 9.19*** 1.00 2.61

<표 5-2-19> 대인 신뢰에 따른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

구분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성소수자 명시적 편견 암묵적 편견 명시적 편견 암묵적 편견 명시적 편견 암묵적 편견 동네가 안전하다 2.93(.02) 3.28(.02) 2.87(.02) 3.12(.02) 3.25(.03) 3.16(.02) 동네가 안전하지

않다 3.15(.04) 3.32(.03) 2.99(.03) 3.02(.03) 3.20(.06) 3.09(.03) t statistic -4.67*** -1.08 -3.36*** 2.91** .85 2.08*

<표 5-2-20> 지역사회 안전 인식에 따른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

(단위: 점)

주: 1) * p<.05, ** p<.01, ***p<.001.

2) 평균(표준편차)

자료: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조사, 원자료(2019).

다. 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한국의 경제 상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사람 은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명시적 편견이 낮았고, 한국의 경제 상황에 불만족하는 사람은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성소수자 모두에 대해 명시적 편견이 높았다. 성소수자에 대한 명시적 편견의 경우, 경제 상황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인 사람이 가장 낮았다.

암묵적 편견의 경우 이주노동자와 성소수자는 경제에 대한 만족도와 크게 관련이 없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에 대해서는 한국 경제에 만족 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높은 수준의 암묵적 편견을 보였다.

구분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성소수자 명시적 편견 암묵적 편견 명시적 편견 암묵적 편견 명시적 편견 암묵적 편견 경제에 불만족 3.02(.63) 3.29(.48) 2.95(.53) 3.08(.46) 3.29(.91) 3.14(.50)

보통 2.99(.66) 3.29(.47) 2.89(.46) 3.07(.43) 3.14(.82) 3.14(.47) 경제에 만족 2.83(.76) 3.26(.48) 2.71(.56) 3.19(.52) 3.16(.88) 3.14(.53)

F statistic 5.35** .33 13.43*** 3.82* 3.17* .00

<표 5-2-21> 한국의 경제 상황에 대한 만족도에 따른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