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연구 내용

이 보고서는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본 장인 제1장에서는 연구 의 배경 및 필요성, 연구 목적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사 회적 소수자에 대한 정의 및 관련 기존 연구 동향을 검토하였다. 기존 연 구들의 사회적 소수자 개념 정의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의 사회적 소수자(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성소수자)를 개념적·조작적으 로 정의하였다. 또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 및 차별적 인식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접촉이론, 집단 위협이론, 사회정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국내 및 국외(유럽연합) 정책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국가통계인 한국행정연구원의 사회통 합실태조사(2013~2018)의 소수자에 대한 한국인의 포용 정도를 분석하 여, 집단 간 차이 및 연도별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 밖에도 국제 비 교 조사인 세계가치관조사(1~6차)를 분석하여 국제사회와 비교했을 때 한국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내국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조사’의 결과를 분석·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수자에 대한 편견 및 차별에 대한 정책 대응 방안을 도출하고 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가. 문헌 고찰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국내·외의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의 사회적 소수자를 정의하였다. 또한 문헌 고찰을 통해 소수자에 대한 인식 에 영향을 주는 이론적 배경 및 관련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고, 국 내·외(유럽연합)의 사회적 소수자 관련 법, 정책, 제도 등을 분석하였다.

나. 양적 조사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뿐 아니라 이 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요인을 함께 조사하여 사회적 소수자에 대 한 한국인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다. 양적 분석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관련 2차 자료(한국행정연구원의 2013~2018 사회통합실태조사, 세계가 치관조사 1~6차),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조사’

양적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라. 전문가 자문회의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조사’ 조사지 개발에 있어, 관련 소수자 연구 경험이 있고 조사지 및 척도 개발에 전문성을 가 지고 있는 전문가(심리학)에게 자문하여 도움을 받았다. 또한 소수자에 대한 정책 제언과 관련하여 인권 및 소수자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해 온 인권 관련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