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 나라 조기 영어교육의 문제점

2. 문헌연구

2.4. 우리 나라 조기 영어교육의 문제점

우리 나라는 1971년 문교부에서 초등학교 영어 교육실시를 제기하 면서 시작되어 많은 학자들의 찬반론이 거듭되는 가운데 1982년부터 는 일부지역의 사립과 공립학교의 상급학년(4,5,6년)을 대상으로 특 활형태의 영어교육을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다 1997년부터는 영어를 정규과목으로 편성하고, 일주일에 2시간씩 3~6학년 학생들에게 가 르치고 있다.

조기영어교육실시에 있어서 선행되어야할 통일된 교재나 교수법의 개발, 교사의 체계적인 연수체제는 미비한 상태에서 일단 시작한 연 후에 생각해 보자는 식의 정책 때문에 조기 교육의 좋은 취지가 퇴 색되어버리는 듯 싶다.

박남식(1979)7)는 준비가 안된 조기 영어 교육은 시행착오의 연속으 로 실패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실, 조기 영어교육을 찬성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영어가 국어인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나라에서 영어 아닌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하 는 사람이 그 나라에 영주하면서 영어를 제2의 모국어로 배우는 경 우(ESL : English as a Second Language)를 다룬 것이다. 따라서

7) 박남식(1979).“국민학교 영어교육의 딜레마-문제와 대안” 『영어교육』 17호 참조

우리 나라와 같이 영어를 순전히 외국어로 배우는 우리의 경우(EFL :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에 직접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영어 또한 우리말과 같은 언어이기 때문에 그 언어 환경에 노출이 된다면 쉽게 습득되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고 영어환경에 노출시키지 않는다면 금방 잊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나이 어린 외국어 학 습자들은 인지능력 등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으므로 문제 해결 능 력이나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연령 이외에도 기억력, 지 능, 동기, 태도 및 소질이 외국어 학습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소이므 로 성인이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더 유리하다. 또한 발음에 있어서 유아가 성인보다 신체구조상 유리하겠으나 발음은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 그리 큰 문제는 아니다. 의사소통능력이 중시되는 요즘에 의미 만 전달하면 별 문제가 없지 않을까 싶다. 어릴 때부터 쭉 영어환경 에 노출된다면 어릴 때부터 영어를 익히고 습득하겠지만 언어라는 것이 쓰지 않으면 잊어버리는 것이므로 남보다 조금 더 빨리 영어를 접한다고 해서 끝에 가서도 잘 하는 것도 아니고 약간의 실력을 키 우기 위해 어릴 때부터 쏟아 부은 교육비에 비해 그 성과가 크게 만 족스러울지 의문이다. 또한 어린이는 아직 확고한 판단력이 없어서 너무 일찍 외국어를 가르치게 되면 모국어 습득에 혼란을 가져 올 수 있으므로 영어는 국어를 완전히 깨우치고 난 다음에 가르치는 것 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영어를 일찍 시작한 아이들은 초등학교 고학년 때나 중학교 에 가서 영어시간에 더 큰 흥미를 가지는 아이들도 있지만, 학교수 업은 중간 정도의 수준을 맞춰 수업을 하다보니, 이미 배웠던 내용 이 많아 수업시간에 더 소홀해지고, 자칫하면 어릴 때 배웠던 영어 가 스트레스가 되어 영어에 대한 흥미를 잃을 수도 있다.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나라의 아이들도 모국어(영어)를 이해하고 말하기까지는 엄청난 양의 자료와 영어환경에 노출된다. ‘mommy’라 는 말을 익히기 위해서도 수 백번 아니 수 천 번은 더 아이에게 들 려줬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상황을 보자. 첫째로 우리 나라 는 영어를 외국어로 배운다. 그만큼 영어를 접하는 기회가 적고, 지 속적으로 영어를 쓰는 환경을 접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외국에서 성 공한 조기 영어교육이라 할지라도 우리 나라 상황에서는 힘든 것이 다.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다는 경제성의 원리에 입각해 서도 조기 영어교육의 성과는 그다지 크게 효과를 봤다고는 할 수 없는 듯 하다. 물론 영어를 일찍 배우게 되면 더 늦게 배우는 학생 보다 처음에는 확연하게 실력 차이가 날 것이고, 영어를 구사하는 방법도 많이 세련될 지 모른다. 하지만, 성인이 되어서 조기 영어교 육을 배운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 사이에 그다지 큰 차이가 없다 면 굳이 시간과 돈을 들이면서까지 할 필요가 있는가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은 1000원을 가지고 장사를 시작해서 10000원 을 벌었고, B라는 사람은 300원을 가지고 7000원을 벌었다고 할 때, 경제성에 입각해서 생각해 본다면 누가 더 돈을 많이 번 것이 될까?

조기 외국어 교육의 교육 통계적 근거는 특정 연령군의 외국어 습 득 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이 조사에 의하면 조기에(5~10세) 외국어 를 배우기 시작한 집단이 늦게(12~15세) 배우기 시작한 집단보다 성적이 더 우수하다고 한다. 그러나 그런 연구 결과와 정반대로 늦 게 배우는 연령층이 더 우수한 결과를 보고한 조사도 많이 있고, 별 차이가 없다는 조사 결과들도 있다. 그래서 교육 조사 통계 결과만 가지고는 조기 영어 교육이 효과가 있다고도 말할 수 없고 효과가 없다고도 할 수 없는 형편이다.

외국어는 일찍 배운다고 꼭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늦게 배운다고 꼭 실패하는 것도 아니다. 외국어를 늦게 배워서 상당한 정도의 의 사 소통 능력을 발휘하는 사례도 얼마든지 있다. 우리 나라에 와서 각종 전문 영역에서 활동하는 외국 사람들의 경우를 보면,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대학에 들어가서야, 또는 대학을 졸업하고 나서, 비로 소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한 사람들이다. 고등 학교나 대학 때부터 영어를 열심히 공부하여 거의 원어민의 수준에까지 도달한 사례를 우리 주위에서도 종종 볼 수 있다. 개인별 지능지수와 노력에 따라 굳이 영어를 빨리 배우지 않아도 충분히 따라 갈 수 있다.

무조건 남들이 먼저 영어공부를 하니까 아무런 비판 없이 너도나도 한다는 식의 방법은 우리로 하여금 시행착오만을 겪게 할뿐이다. 외 국에서 성공했다 할지라도 우리 나라의 실정에 적합한가,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터를 닦기도 전에 건물을 세우려는 식의 사고방식은 버려야 할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