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 서론

4. 용어의 정의

가. 취업행동

취업행동(job search behavior)은 취업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희망 직업세계에 종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준비의 과정이며, 당면한 취업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행동을 의미한다(어윤경 외, 2010; 이 영민, 이수영, 2010; 이제경, 이승구, 2007; Barber, Daly, Giannantonio, &

Philips, 1994; Kanfer, Wanberg, & Kantrowitz, 2001; Staffy, Shaw, &

Noe, 1989; Webel, 2000). 이 연구에서는 대학 졸업 후 자신이 원하는 회사나

분야에 취업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로로 직업 정보를 탐색하고 수집하는 활동뿐 아니라 필요한 능력을 갖추기 위한 구체적인 준비 및 직접적인 구직과정에서 이 루어지는 현실적인 행위을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자가 개발한 취업행동 척 도에 전문대학 졸업예정자가 응답한 점수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나. 전공선택동기

개인이 진로목표, 자기이해, 환경,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대학전공에 대한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의사결정 과정인 전공선택 과정에서 특정 전공을 선택 하게 된 원인이나 계기를 의미한다(이건남, 정철영, 2009; 임언, 2008; 정보연, 2010; 한예정, 2014; Berger, 1988; Bers & Galowish, 2002). 이 연구에서는 정보연(2010)의 측정 도구에 전문대학 졸업예정자가 응답한 점수의 평균값을 의 미한다.

다. 직업가치관

자신이 종사하는 직업에 대해 가치를 부여하고, 일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 표와 결과에 대해 개인 부여하는 중요성 정도를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Kilpatrick(1968)의 직업가치척도(Occupational Value Scale)를 토대로 이기학 (1997)과 정동열(2014)이 재구성하고 수정한 측정도구에 전문대학 졸업예정자 가 응답한 점수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라. 진로결정수준

자신의 전공선택 및 직업선택 등 향후 자신의 진로에 대한 결정과정에 나타내 는 진행수준과 확신의 정도(Harren, 1984)를 의미하며, 미래 자신의 진로에 대 해서 어느 정도 확고하게 결정했는지의 정도를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Osipow, Carnery, Winer, Yanico, & Koschier(1976)가 개발한 진로결정검사

(CDS)를 고향자(1992)가 번안한 척도에 전문대학 졸업예정자가 응답한 점수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마.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취업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에 학생들의 참 여 수준을 말한다. 취업지원서비스나 프로그램으로는 직업·진로교육 교과목, 취 업특강, 취업행사(채용박람회, Job Festival 등), 취업전산망(채용정보제공), 취업 준비 프로그램(이력서/면접클리닉 등), 취업 동아리 및 커뮤니티, 취업 관련 심리 검사(인적성검사 등), 취업지원센터의 취업상담, 교수와의 진로 및 취업 상담, 취 업캠프, 직장체험프로그램(인턴포함), 현장실습, (취업)멘토링 등이 있다.

바. 전공만족도

자신이 현재 소속된 전공학과와 자신 생애의 이상이나 진로 또는 직업에 대한 기준을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전공을 평가하는 판단 과정의 산물의 수준 을 의미한다(하혜숙, 2000). 본 연구에서 전공만족도는 하혜숙(2000)과 김혜주 (2007)의 도구를 수정 보완한 측정 도구에 전문대학 졸업예정자가 응답한 점수 를 전문대학별로 평균한 값을 의미한다.

사. 학과교수 만족도

학과교수 만족도는 학생이 인식하는 전공수업, 교수-학생관계, 학생생활지도 영역에서의 학과(전공) 교수에 대한 만족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김선연과 신효진(2012)이 개발한 학과교수 만족도 척도에 전문대학 졸업예정자가 응답한 점수를 전문대학별로 평균한 값을 의미한다.

아. 대학취업지원역량

학생이 전 생애에 걸쳐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과 직업세계를 이행할 수 있도록 대학에서 정서적으로 지원해주고 정보나 구체적인 능력을 습득하도록 도와주는 제반 활동, 취업관련 제반 여건, 관계자 인식을 의미한다(고재성 외, 2013; 성희 진, 2012). 고재성 외(2013)의 측정도구를 연구자가 일부 수정한 도구에 전문대 학 취업지원조직의 교직원이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자. 취업지원 만족도

진로 및 취업과 관련하여 취업지원부서로부터 받는 도움과 지원에 대한 학생들 의 만족도를 의미하며, 취업지원부서의 서비스 및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취업지원인력(상담사)의 전문성 및 인원수의 적절성 여부 등을 포함한다. 이 연구 에서 연구자가 개발한 측정도구에 전문대학 졸업예정자가 응답한 점수를 전문대 학별로 평균한 값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