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3 연세대학교 수시

문서에서 차 례 (페이지 163-167)

제 시 문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함수  는 실수의 집합 ℝ 을 정의역과 공역으로 갖는 연속함수이다. 집합 는 주 어진 함수  에 의하여 결정되며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어떤 실수  가 존재하여 부등식  ≤   이 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성립한다. 

 ∈ℝ  어떤 실수 ∈  가 존재하여 모든 실수 ∈  가 부등식

 ≤     을 만족한다. 

논제Ⅰ-1

함수    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을 때 집합 를 구하여라.

논제Ⅰ-2

함수  가  ≤  이거나  ≥  일 때    이라고 하자. 또한 주어진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을 만족하는 점   ⋯ 에서 얻어지는 닫힌구간

  

   ․ ․ ․   각각에서 함수  의 그래프는 선분이라고 가정하자. 이러한 성질을 만 족하고 집합 의 길이가  이며,    인 경우의 모든 함수  에 대하여 이들 함수의 최댓 값 중에서 가장 큰 값 를 구하시오. 그리고 그 최댓값 를 갖는 함수  에 의하여 결정되 는 모든 집합 를 구하시오.

논제Ⅰ-3

함수  의 도함수  ′  가 모든 실수에서 존재하고 연속이라고 하자. 이 함수  에 의하여 결정되는 집합 가 닫힌구간



 

 

일 때, 집합 를 구하시오.

논제Ⅰ-4

함수  의 도함수  ′ 와 이계도함수  ″ 가 모든 실수에서 존재하고 연속이라고 하자. 또 한 함수  에 의하여 결정되는 집합 가 열린구간   이고

 ″  

 이며,

     이라고 하자. 이러한 성질을 만족하는 모든 함수  의 닫힌구간    에서 최 댓값의 집합을 라고 할 때, 집합 ∈ℝ 모든 ∈에 대하여  ≤ 의 최솟값 를 구하시오.

제 시 문 분 석

연속함수  와 서로 다른 두 집합  가 주어져 있다. [논제 1-1]부터 [논제 1-4]까지 전 문항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집합  의 정의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관건이다.

논 제 분 석

논제 Ⅰ-1

주어진 집합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이다. 또한 이어지는 문제 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의도를 포함하고 있다.

논제 Ⅰ-2

[논제 Ⅰ-1]을 확장하여 제시문에서 정의한 집합과 새로운 개념의 함수의 그래프 사이의 이 해력, 분석력, 적응력을 측정하는 문제이다.

논제 Ⅰ-3

함수가 최댓값을 가지는 점에서의 도함수의 값이  이라는 것을 응용하여 제시문에서 주어 진 집합과의 관계를 유추하는 문제이다.

논제 Ⅰ-4

함수의 미분에서 등장하는 여러 가지 개념을 주어진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문 제이다. 즉, 도함수의 연속성, 정적분, 함수의 최댓값의 범위 등의 복합적인 문제를 미적분의 기 본적인 정리에 대한 개념 이해와 창의적인 사고력으로 해결해야하는 문제이다.

배 경 지 식 쌓 기

1. 최대최소의 정리

함수    가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면  는 이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 을 갖는다.

2. 평균값의 정리

  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면

  

 

  ′

인  가  와 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3. 곡선의 오목과 볼록

함수    가 어떤 구간에서

①  ″  이면 곡선    는 이 구간에서 아래로 볼록하다.

②  ″  이면 곡선    는 이 구간에서 위로 볼록하다.

4. 단조감소함수

함수    의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 에 대하여  의 관계가 만족할 때

  ≥  이면 함수    는 단조감소함수이다.

풀 어 보 기

1.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의 도함수 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고,  ′  ,  ′    ′

이다.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은? (단,  축은    ′의 점근선이다.)

[2011 대전지역 모의고사]

보 기 ㄱ.  는 함수  의 극댓값이다.

ㄴ. 방정식   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ㄷ. 양수  에 대하여  ′′   이면      에서  는 위로 볼록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2.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  

(나)  ′    ,  ″   (단,      )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011 전국연합]

보 기

ㄱ. 함수   의 그래프는 구간  에서 아래로 볼록하다.

ㄴ.

      ㄷ.   

 





· 

≥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읽 기 자 료

문서에서 차 례 (페이지 163-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