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7 서강대학교 수시(자연, 전자, 기계)

문서에서 차 례 (페이지 87-96)

제 시 문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좌표평면 위의 임의의 점   를 그 좌표평면 위의 점 ′′ ′ 으로 옮기는 함 수를 변환이라고 하고     → ′ ′ 으로 나타낸다. 좌표평면의 원점을  표시하자. 그러면 평면 위의 한 점 는 원점 에 대한 점 의 위치벡터   

와 일대일대응이다. 따라서 변환  는 위치벡터 

 를 위치벡터 

′ 으로 옮기는 함수로 볼 수 있고 이것을

   → ′ 또는 ′ 



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위치벡터   에 대하여



 





  

를 만족시키는 변환  를 합동변환이라고 한다. 여기서

  

는 벡터    의 크기, 즉 두 위치벡터   의 종점의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합동변환이란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보존하는 변환을 말한다. 합동변환의 대표적인 예로는 평행이동, 회전이동 및 대칭이동을 들 수 있다. 또한 변환   → ′ 와  ′ → ″ 가 합동변환 이면  와  의 합성변환  ∘  → ″ 도 합동변환이다.

한편, 변환    → ′′ 에서 대응하는 점의 좌표 사이에

′     ′     (    는 상수)

와 같이 상수항이 없는 일차식의 관계가 성립할 때, 변환  를 일차변환이라고 하고 행렬  

 

   를 일차변환  의 행렬이라고 한다. 두 일차변환  와  의 합성변환

 ∘ 도 일차변환이고 세 일차변환의 행렬 사이에는  ∘      의 관계가 있다.

[나] 원점 를 중심으로  만큼 회전하는 회전이동을 라고 하고, 좌표평면 위의 세 점

  ,   ,   가 에 의하여 각각 ′ ′ ′ 으로 옮겨진다고 하 자. 두 점 ′ ′의 좌표는 ′cos sin , ′  sin  cos 이다. 또한 사 각형 ′′′ 이 직사각형이므로 ′ 의 좌표를 ′′ ′ 이라 하면

′ ′  cos   sin sin   cos 이 성립한다. 따라서 회전이동 는 행렬이

cos  sin

sin cos 인 일차변환이다.

원점 를 지나고 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이  인 직선에 대한 대칭이동을

라고 하자. 좌표평면 위의 점   가 에 의하여 점 ′′ ′ 으로 옮 겨진다고 하면 점 ′′ ′ 은 점   를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   를 원점 를 중심으로  만큼 회전이동한 점과 일치하므로

′′  cos   sin sin   cos 가 된다. 따라서 대칭이동 는 행렬이



cos sin  cos 인 일차변환이다.sin

[다] 영벡터 

 은 원점 의 위치벡터이다. 



  인 합동변환  를 생각하자. 합동변환

 는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보존하므로 임의의 위치벡터  에 대하여







가 성립한다. 즉, 변환  는 위치벡터의 크기를 보존한다. 그런데 두 위치벡터   의 내적은 두 벡터의 크기와 거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따라서 임의의 위치벡터   에 대하여



⋅



 ⋅

가 성립한다. 즉, 변환  는 위치벡터의 내적도 보존한다. 그러므로 두 점

    의 위치벡터  가 변환  에 의하여 각각 ′ ′ 으로 옮겨 진다고 하면 두 벡터 ′ ′ 은 서로 수직인 단위벡터이다.

논제 1-1

제시문 [가]와 [나]를 참고하여, 회전이동 와 대칭이동 에 대한 합성변환 ∘

∘가 어떤 합동변환이 되는지 밝히고, 이를 기하학적으로 설명하라.

논제 1-2

합동변환  가 



  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제시문 [다]를 참고하여, 임의의 위치벡터  에 대한 다음의 등식이 성립하는 이유를 설명하라.



⋅

′

⋅

′ 또한, 이를 이용하여 변환  가 일차변환임을 증명하라.

논제 1-3

제시문 [가]와 [나]로부터, 회전이동 와 대칭이동 가 일차변환인 합동변환임을 알았다.

역으로, 일차변환인 합동변환은 반드시 회전이동 또는 대칭이동이라는 것을 제시문 [다]를 참 고하여 증명하라.

제 시 문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이산확률변수 가 가질 수 있는 값이   ⋯  이고 각각의  에 대하여  값 를 가질 확률이 라고 할 때, 가 가질 수 있는 값 와 가 그 값 를 가 질 확률 의 대응 관계를 의 확률분포라고 한다. 이산확률변수 의 확률분포는 확률질량함수

P        ⋯  ☆

또는 확률분포표

  ⋯  합계

P   ⋯   에 의해 주어진다. 의 확률분포가 이와 같을 때,

    

P 

를 의 평균(또는 기댓값)이라고 하고

 

    P 

를 의 분산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이산확률변수 의 평균과 분산을 구하기 위해서 는 확률질량함수 또는 확률분포표로 주어지는 의 확률분포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이 사실에 기초하여, 이산확률변수   의 평균과 분산을 구할 수 있다. 의 확 률분포표로부터 의 확률분포표는

      ⋯   합계 P   ⋯   이다. 따라서 의 평균과 분산은 각각 다음과 같다.

   

  P     

  

 

  

 

P     

 

[나] 어떤 시행에서 사건 가 일어날 확률이      이고 따라서 일어나지 않을 확 률이      이다. 이 시행을 독립적으로  번 반복할 때, 사건 가 일어나는 횟수 를 라고 하면 는 확률질량함수가

P         ⋯ 

으로 주어지는 이산확률변수이다. 이와 같은 의 확률분포를 이항분포라고 하고

 로 나타낸다. 제시문 [가]의 정의를 이용하여, 의 평균과 분산을 구하면 다 음과 같다.

     

[다] 랜덤워크(random walk)는 액체 또는 기체 속에 있는 입자의 불규칙적인 운동이나 예 측하기 어려운 주식의 가격변화를 설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수리적 모형이다. 가 장 간단한 랜덤워크의 예로는 수직선상의 한 점 가 원점에서 출발하여 오른쪽 또 는 왼쪽으로 한 칸씩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들 수 있다. 점 가 오른쪽으로 움직일 확률을      , 왼쪽으로 움직일 확률을      라고 하자. 또한, 점  가 원 점  의 위치에서 출발하여 독립적으로  번 임의이동한 후 도착한 위치를 라고 하자. 그러면 변수 는 가질 수 있는 값이 유한개이며 각 값에 대하여 확률이 정해 져 있는 이산확률변수이다. 예를 들어, 점 가 다섯 번 이동한다면 

         중의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확률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합계

P         이 예로부터 의 확률분포가 이항분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논제 2-1

확률질량함수가 제시문 [가]의 ☆ 로 주어지는 이산확률변수 에 대하여,

   (  는 상수이고 ≠ )

로 정의된 이산확률변수 를 생각하자. 의 확률질량함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의 평 균과 분산을 의 평균과 분산으로 표현하라.

논제 2-2

이산확률변수 에 대하여, 의 평균  을 아래 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지를 제 시문 [가]의 밑줄 친 부분을 근거로 하여 논하라.

  

논제 2-3

제시문 [다]에서 정의된 이산확률변수 의 확률분포가 이항분포  와 어떤 관계가 있 는지를 설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 그리고  을 구하라.

제 시 문 분 석

1. 제시문 1

(가) 변환의 정의부터 시작하여 두 점 사이의 거리를 보존하는 합동변환과 일반적인 일차변환의 정의와 성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나) 점 P  를 원점을 중심으로 각  만큼 회전하는 회전이동과 원점 O 를 지나고 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이 

 인 직선에 대한 대칭이동은 모두 일차변환이고 각각 행렬

cos  sin

sin cos  ,

cossin  cos 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sin

(다) 합동변환은 위치벡터의 크기와 내적도 보존함을 보이고 있다.

2. 제시문 2

(가) 이산확률변수 의 확률분포를 정의하고 확률분포는 확률질량함수 또는 확률분포표를 이용 하여 나타냄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산확률변수 에 대하여 평균과 분산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나) 이항분포에서의 확률분포, 평균, 분산을 제시하고 있다.

(다) 랜덤워크(random walk)를 이항분포와 연결하여 그 예를 보이고 있으며, 이항분포에서의 평

논 제 분 석

논제 1-1

행렬을 이용하여 두 변환의 합성변환을 구하고 기하학적 의미를 설명하도록 하고 있다.

논제 1-2



  을 만족하는 합동변환  가 일차변환임을 보이는 과정이다.

논제 1-3

일차변환인 합동변환은 반드시 회전이동 또는 대칭이동임을 보이도록 하고 있다.

논제 2-1

이산확률변수 에 대하여    (  는 상수이고 ≠ )의 확률질량함수와 평균, 분산을 구하도록 하고 있다.

논제 2-2

평균과 분산을 이용하여 확률변수를 제곱했을 때의 평균을 구할 수 있는가를 묻고 있다.

논제 2-3

이항분포에서의 평균과 분산, 제곱의 평균을 묻고 있다.

배 경 지 식 쌓 기

1. 일차변환의 뜻과 성질

좌표평면 위의 변환     → ′ ′ 에서

′     ′     (    는 상수)

와 같이 ′ ′ 이 상수항이 없는   에 대한 일차식으로 나타내어질 때, 이 변환  를 일차변환 이라 하고 이를 행렬로 나타내면

 

′′ 

 

  

 

이다. 이때 행렬

 

   를 일차변환  를 나타내는 행렬이라 한다.

일차변환  →, 즉  에서  × 행렬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 한다.

   

   ( 는 실수)

     (  는 실수)

2. 여러 가지 일차변환

(1) 항등변환과 닮음변환

항등변환을 나타내는 행렬  는 

 

   이고  가  이 아닌 실수일 때 원점을 중심으 로 하는  배 닮음변환 

 

   이다.

(2) 대칭변환

 축,  축, 원점, 직선    , 직선    에 대한 대칭변환을 나타내는 행렬을 각각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3) 회전변환

원점을 중심으로 각  만큼 회전이동하는 회전변환을 나타내는 행렬은

cos  sin

sin cos

3. 일차변환의 합성

점  를 점 로 옮기는 변환을  , 점 를 점 로 옮기는 변환을  라고 할 때 점 를 점

로 옮기는 변환을 합성변환이라 하고 기호로  ∘ 로 나타내며 합성변환을 나타내는 행렬은 각 변환을 나타내는 두 행렬의 곱으로 표현한다. 세 일차변환    에 대하여   를 나타내는 행렬을 각각 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한다.

① 합성변환  ∘ 는 일차변환이다.

② 합성변환  ∘ 를 나타내는 행렬은 이다.

③  ∘ ≠ ∘

④  ∘ ∘   ∘∘

⑤  ∘   ∘   ( 는 항등변환)

풀 어 보 기

1 .

두 일차변환  를 나타내는 행렬이 각각

 

  

 

일 때, 합성변환  ∘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EBS 수능특강 기하와 벡터 p.36, 2011]

① 원점에 대한 대칭이동 ② 축에 대한 대칭이동

③ 직선   에 대한 대칭이동 ④ 직선    에 대한 대칭이동

⑤ 원점을 중심으로 만큼 회전이동

2 .

직선    에 대한 대칭이동을 나타내는 행렬을 구하여라.

[홍성대, 수학의 정석 기하와 벡터, p.74, 2010]

읽 기 자 료

문서에서 차 례 (페이지 8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