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곡선의 볼록과 그 성질 14)

문서에서 차 례 (페이지 167-178)

어떤 구간에서 곡선   가 아래로 볼록(또는 위로 오목, convex, concave up)하다는 것은

   위의 임의의 두 점 P , Q 에 대하여 이 두 점 사이에 있는 곡선 부분이 선분 PQ보다 항상 아래에 있거나 같은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다만 수식으로 나타낼 때에는 이 정의를 그대로 수식으로 옮겨서 정의하지는 않고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한다.

열린구간  에 속하는 임의의 실수    와 닫힌구간   에 속하는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 를 만족할 때, 함수 는 열린구간  에서 아 래로 볼록하다고 한다. (  가 아래로 볼록할 때, 곡선   는 위로 볼록하다고 한다.)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한편,  ≤  ≤ 이므로         의 최솟값은 , 최댓값은 이다. 이때 점

          가 그리는 자취는 두 점  ,  를 잇는 곡선의 호15)가 된다. 마찬가지로        가 그리는 자취는 두 점

 ,  를 잇는 선분이 된다. 따라서 이 사실을 이용하여 나타낸 곡선의 볼록에 대 한 정의는 이 글의 처음에 소개한 정의와 동치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위에서 소개한 정의들은 교과서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정의와는 다르다. 실제로 사용되 는 것은 ‘순볼록(strictly convex)’인데, 교과서에서는 ‘아래로 볼록’이라고 표현한다. 순볼록은 호가 선분보다 항상 아래에 있는 경우로서, 임의의 실수    ≠와 닫힌구간   에 속하는 임 의의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 

예 시 답 안

풀어보기

1.

ㄱ.  ′  이고 가   를 기준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므로 는 극댓값이다. (참)

ㄴ.   일 때는 홀수 개의 실근을 갖는다. (거짓)

ㄷ.     이면  ′′  이므로 는 위로 볼록이다. (참)

2.

ㄱ. 구간   에서 



  ′ ,





  ′  ″이므로 





 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는 구간   에서 아래로 볼록하다. (참) ㄴ.     라 하면

   

이므로

     

.

조건에 의해 구간  에서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고

의 값은 사다리꼴 COAB의 넓이보다 작다.

      (참)

ㄷ. ㄱ과 ㄴ에 의해

   , 함수   의 그래프를 이루는 세 선분의 기울기를 순서대로 각각 , ,

이라 두고, 그들의 대소 관계에 따라 경우를 나눠   의 그래프 개형을 그리고   의 값을 구하면 [그림 1-2-①]과 같다.

[그림 1-2-①]

   ≤ 

,  ≤   

 이고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등호는   

,   

,     

 ,  

일 때만 성립한다. 따라서 주어진 조

건을 만족하는 모든 함수   에 대하여 이들 함수의 최댓값 중에서 가장 큰 값 는 

이고 그 최댓값  

를 갖는 함수 에 의하여 결정되는 집합 를 모두 구하면 구간

 , 



  

,

  

 

이다.(※ [그림 1-2-②] )

(다른 풀이 1)

i ) 함수  의 그래프가 만 포함하는 경우



 

 

ii ) 함수  의 그래프가 만 포함하는 경우





  

iii ) 함수  의 그래프가 , 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  

(다른 풀이 2)

집합 의 길이가  이므로 최댓값은 양수이다. 최댓값이 양수이면서    인 조건에 맞는 함 수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형태들이다.

이 중 가장 첫 번째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함수  의 최댓값 중에서 가장 큰 값 를 구하 여 보고 이를 다른 그래프에 적용시켜보자.

그림에서   tan tan 이고 함수  의 최댓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은 tan 가 최소일 때 이다.

tan  tan    tantan  



이고

  tan tan ≥ 

tantan

에서

tantan ≤  이다.

tan  tan    tantan  

 ≥  



즉, 함수  의 그래프가 아래 그림과 같을 때 집합 의 길이는  이고 함수  의 최댓 값 중에서 가장 큰 값 는 

 이다.

이제 위의 방법을 다른 형태의 그래프에 적용시켜보자.

다섯 가지 형태의 그래프에 각각 적용시키면 세 번째 그래프에서는 최댓값 중에 가장 큰 값

가 나올 수 없고 나머지는 모두 

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종합하여 집합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논제 Ⅰ-3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의 그래프 개형들의 예]

[가 아래로 볼록인 구간에 속하면

 ′ ∉]

논제 Ⅰ-4

   이므로 함수  의 그래프는   에서 위로 볼록이다. 한편,  ′가 모든 실수 에서 존재하고 연속이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해서     

  

  ′를 만족하는 실수  가 과 사이에 존재한다. 그런데 ∈A이므로    ′∈이다. 그러므로 모든 실수

∈   에 대하여  ≤  ′     이다. 따라서  가 닫힌구간   에서 최댓값이 된다. 또한, 평균값 정리를 닫힌구간   ,   에 각각 적용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실수  가 존재한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이므로 (가) 모든 ∈에 대하여  ≤ 

이다. 한편,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다음 네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 가 존재한다(※[그림 1-4]).

[그림 1-4]

ⅱ) 함수  의 그래프가 닫힌구간    에서 위로 볼록

ⅲ)      , ′  

,  ′  



ⅳ) 닫힌구간   에서  의 최댓값이 

 

 보다 크거나 같다.

즉, (나)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인 의 원소  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가),

(나)에 의해서 ∈ℝ 모든 ∈에 대하여  ≤ 의 최솟값 는 

이다.

문서에서 차 례 (페이지 167-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