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고려대학교 수시(오전)

문서에서 차 례 (페이지 33-38)

제 시 문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두 함수  와  는 정의역과 공역이 모두 양의 실수 전체 의 집합인 연속함수이다. 함수  는 정의역의 모든 점에서 양의 미분계수를 갖는다. 그림 1과 같이 임의의 양수  에 대하여 곡선    위의 점 F   에서의 접선과  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원점과 점 G   를 잇는 선분과 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와 같다.

(나) 세 양수    가      를 만족할 때  와  의 산 술평균을  라 하고  와  의 산술평균을  라 하자. 그 림 2와 같이 곡선   

 위의 세 점 A

 



,

B

 



, C

 



에 대하여 두 직선 AB와 BC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 라 하고, 직선    위의 두 점 D   , E   에 대하여 두 직선 OD와 OE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 라 하자.

(다) 그림 3과 같이 좌표공간에 중심이 B   이 고 반지름이  인 구가 있다. 점 A   에 고정된 점광원에 의해  평면에 그림자가 생 긴다. 그림자의 가장자리의 한 점과 A 를 잇는 직선 위의 한 점을 P   라고 한다.

논제 1

위의 제시문 (가)와 (나)를 읽고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a) 제시문 (가)에서의 두 함수  와 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고, 함수  가 상수함수    일 때의 함수  를 구하시오.

(b) 논제 (a)의 결과를 이용하여 제시문 (나)의  와  사이의 관계를 도출하시오.

논제 2

위의 제시문 (다)를 읽고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a) P 와 A 가 서로 다른 점일 때, sin ∠PAB 를  만의 식으로 나타내시오.

(b) 점 P   의 좌표가 만족하는 방정식을 찾으시오.

(c) 구의 그림자의 넓이를  라 할 때,

lim

 → ∞

   을 만족하는 다항함수  를 찾으시오.

제 시 문 분 석

1. 제시문 (가)

정의역과 공역이 모두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인 두 함수   의 관계를 미분계수와 직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2. 제시문 (나)

제시문 (가)의 조건을 만족하는 두 함수에 대하여 각각의 함수 위에 점들을 이어서 만들어 지는 두 각을 제시하고 있다.

3. 제시문 (다)

 축 위의 고정된 한 점광원에 의해  평면 상에 생긴 구의 그림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논 제 분 석

논제 1

(a) 제시문 (가)의 조건을 만족하는 두 함수   사이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는가?

미분계수와 직선의 기울기의 정의를 이용하여 구하면 된다.

(b) 제시문 (가)의 조건을 만족하는 두 함수에 대하여 각각의 함수 위에 점들을 이어서 만들어 지는 두 각의 관계를 구할 수 있는가?

이차함수의 미분계수의 성질과 산술평균의 정의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구하면 된다.

논제 2

(a) 점 A 와 구의 중심 B 를 이은 선분과 접선이 이루는 각을  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가?

두 점 사이의 거리, 접선의 성질, sin 의 정의를 이용하면 된다.

(b) 점 P 의 자취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는가?

주어진 상황을 벡터로 나타내고 공간좌표와 내적의 정의를 이용하면 된다.

(c)  평면 위의 점 P 의 자취의 방정식을 구하고 이를 이용한 함수의 극한을 이해할 수 있는가?

배 경 지 식 쌓 기

1. 접선의 기울기와 미분계수

(1) 함수  가 미분가능할 때, 곡선    위의 점 P 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 에서의 미분 계수  ′  와 같다.

(2)    에서의 접선이 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 하면  ′   tan  이다.

2. 벡터의 내적

(1) 정의

평면 또는 공간에서 

가 아닌 두 벡터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라고 할 때







cos 을 와 의 내적이라 하고, ⋅로 나타낸다. 즉

 ∙  







cos

특히,   이면 cos  cos  이므로 ⋅  이 성립한다.

(2) 내적의 성분 표시

① 평면벡터의 내적

     라 하면 ⋅  

② 공간벡터의 내적

        일 때, ⋅   

3. 타원의 넓이

타원 

  

 

  

  의 넓이는  이다.

풀 어 보 기

1.

좌표공간에     과 구 위의 점 A   이 있다.

그림과 같이 점 B

 

 

을 지나고 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구를 잘랐을 때 생기는 원 위에 있는 점을 P 라 하고, 직선 AP 가  평면과 만나는 점을 Q 라 하자. 점 P 가 원 위 의 점일 때 점 Q 가 그리는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2.

좌표공간에서 세 벡터 , , 에 대하여    이고   ,   ,   이다. 두 벡터 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라 할 때, cos의 값을 구하시오.

읽 기 자 료

문서에서 차 례 (페이지 3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