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추진 방법

문서에서 지역별 농촌 일자리 창출 방안 (페이지 24-33)

□ 관련 문헌 검토

□ 일자리 관련 통계자료 수집 및 분석

○ 농림어업총조사, 전국사업체조사, 지역별 고용조사 등

고용 정책 현황과 과제 - 중앙정부 단위 - 지방자치단체 단위

문헌 및 자료 검토 지자체 조사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개선 방향과 과제

국내외 사례 시사점 분석 환류

<최종 성과물>

▶ 착수보고 및 중간보고 워크숍

▶ 최종보고 및 정책 토론회

▶ 농촌의 일자리 창출 사례 78선 자료집

▶ 최종보고서(8종 지역별 보고서 포함)

※시도연구원 위탁

고용 실태 현황 고용 관련

통계데이터 분석

지역 단위 일자리 창출 사례와 성공 요인

현장 조사 PDCA Cycle 기반 분석

그림 1-1. 연구 흐름도

□ 일자리 창출 사례 조사 및 분석

○ 전국 도별로 다양한 사례들을 수집

○ 주체, 현황, 전개과정, 성과, 시사점 등 6하 원칙이 드러날 수 있도록 조사

○ P(Plan)-D(Do)-C(Check)-A(Action) Cycle을 활용하되 전국적으로 수집한 사례들의 특징이 드러나도록 분석하여 시사점 도출

□ 공동 연구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총괄연구를 수행하며, 시·도연구원에 위탁연구를 의 뢰하여 공동 추진

- 시·도연구원 단독 수행 또는 시·도연구원과 지역대학 협동연구 수행

○ 모든 연구기관이 참여한 공동 워크숍과 세미나 개최를 통해 연구결과를 공 유하고 성과를 확산

- 착수보고 워크숍 - 현장 워크숍

- 총괄보고 토론회 등

○ 총괄연구보고서와 위탁연구보고서를 별권으로 발간 - 총량 데이터 분석, 전문가 조사 등은 총괄연구 담당

- 사례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농촌의 일자리 창출 사례 78선> 자료집 별도 발간

2

농촌의 일자리 현황

1. 농촌 일자리의 양과 산업구조

1)

○ 농촌의 산업과 일자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농업 종사자2) 수와 사업체 종 사자 수를 합산하여 총 일자리 수를 산출하였다.

- 통계청에서 매년 발표하는 전국사업체조사 자료를 이용하면 지역의 사업 체 수, 종사자 수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는 농촌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농업 종사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때문에 농림어업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의 한계를 보완하 고자 하였다3).

○ 2010년 농촌의 일자리 수는 482만 명이다. 이 중 32.1% 가량인 155만 명의 일자리가 농업 부문에서 창출된다4).

1) 송미령 채종현(2012), pp. 47~55를 토대로 재구성하였다.

2) 농업 종사자란 ‘15세 이상 농가 가구원 가운데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 자’를 뜻한다.

3) 이러한 방식으로 산출할 때 겸업농가의 가구원 중 일부는 중복 계산될 가능성이 있다.

○ 농촌의 일자리 수가 전체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7%이다. 2000년의

2000년 2005년 2010년 연평균

증감율(총

도시 11,346 282 11,064 12,667 303 12,364 14,676 299 14,377 2.61 농촌 4,666 2,126 2,540 4,602 1,819 2,783 4,817 1,547 3,270 0.32 -읍부 1,528 384 1,144 1,653 372 1,282 1,838 332 1,507 1.86 -면부 3,138 1,742 1,396 2,949 1,447 1,502 2,979 1,215 1,764 -0.52 전국 16,012 2,407 13,604 17,269 2,121 15,147 19,493 1,846 17,647 1.99 자료: 통계청, 농림어업총조사, 각 연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각 연도.

○ 2010년 지역별 일자리 수는 경남이 139만 명, 전국 대비 7.1%로 가장 많았 고, 다음으로 경북(6.4%), 충남(4.9%)순이다.

- 전체 일자리 중 농업종사자의 비중을 살펴보면, 전남이 전체의 32.0%로 가장 높고, 경북이 26.2%로 그 다음이다. 반면에 경남은 15.7%로 농업 종 사자의 비중이 가장 낮다.

표 2-2. 지역별 일자리 수(2010년)

단위: 천 명, (%)

구분 총일자리(비중) 사업체

농업종사자 총일자리 중 종사자 농업종사자 비중

강원 606 (3.1) 116 (19.1) 490

충북 660 (3.4) 126 (19.1) 534

충남 949 (4.9) 246 (25.9) 703

전북 743 (3.8) 177 (23.8) 566

전남 838 (4.3) 268 (32.0) 570

경북 1,256 (6.4) 329 (26.2) 927 경남 1,391 (7.1) 218 (15.7) 1,173

제주 256 (1.3) 53 (20.7) 203

전국 19,493 100.0 1,846 (9.5) 17,647 자료: 통계청, 농림어업총조사, 각 연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각 연도.

○ 농촌에서 일자리는 주로 제조업 부문에서 많이 창출되었다.

- 일자리가 가장 크게 증가한 부문은 ‘기타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자동차 부품 제조업’ 등 일부 제조업 분야이다.

○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 ‘거주 복지시설 운영업’, ‘병원’ 등 보건, 의료, 복 지 등 사회 서비스 분야의 일자리가 크게 증가한 것도 특징적이다. 인구 고 령화로 인한 사회 서비스 수요 증가, 2000년대 중반부터 진행된 복지 정책의 확대 등이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표 2-3. 농촌에서 일자리가 현저하게 증가 또는 감소한 분야(2000~2010)

산업 도시 농촌

읍부 면부

1차 산업: 농림어업 및 광업 2.1 32.8 18.7 41.5

2차 산업 22.3 30.3 30.4 30.2

-제조업 14.8 25.7 24.2 26.7

-건설업 6.9 3.5 5.1 2.6

-기타 2차 산업 0.6 1.0 1.1 1.0

3차 산업 75.5 36.9 50.9 28.3

-도매 및 소매업 15.5 7.1 10.3 5.2

-운수업 5.8 2.9 3.9 2.3

-숙박 및 음식점업 9.8 6.9 8.3 6.0

-금융 및 보험업 4.4 1.2 1.9 0.8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3.5 3.1 4.7 2.1

-교육 서비스업 8.1 4.9 6.5 3.9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6.2 3.7 5.3 2.6

-기타 서비스업 22.2 7.3 10.1 5.6

전체 14,676 4,817 1,838 2,979

1) 각 셀의 값은 전체 일자리 중 해당 산업 일자리의 비율임.

2) 표준산업분류 대분류 수준에서 산업을 재분류함.

3) 농업, 임업 및 어업 부문에는 ‘농업 종사자’가 포함되어 있음.

자료: 통계청, 농림어업총조사, 각 연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각 연도.

표 2-4. 도시와 농촌의 산업구조 비교(2010년)

단위: %, 천 명

○ 한편 주민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업종의 일자리 수가 많이 줄어들 었다. 이는 읍 면 지역 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 내수경제’의 위축을 보여주 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주점 및 비알콜음료점업’, ‘음 식료품 및 담배 소매업’, ‘종합 소매업’,

‘기타 가정용품 소매업’ 등에서 무려 53,706명의 일자리가 감소하였다.

○ 농촌에서 농업 부문 일자리가 줄기는 해도, 농촌의 산업구조는 여전히 ‘농림 어업 및 광업’, ‘제조업’ 등 1 2차 산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 농촌 중에서도 면 지역에서는 1 2차 산업 비중이 전체의 70%를 넘는다.

특히 ‘농림어업 및 광업’ 부문의 비중이 41.2%로 전체 일자리의 절반 가 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 읍 지역에서는 ‘농림어업 및 광업’ 부문의 비중이 면에 비해 상당히 작은 편이다. 대신 도매 및 소매업, 교육 서비스업 등 3차 산업의 비중이 상대적 으로 높다. 제조업은 읍과 면 모두에서 25% 내외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산업 2000년 농촌 2010년 농촌

읍부 면부 읍부 면부

1차 산업: 농림어업 및 광업 46.9 26.3 56.9 32.8 18.7 41.5 2차 산업 22.3 25.9 20.5 30.3 30.4 30.2 -제조업 19.6 21.5 18.7 25.7 24.2 26.7

-건설업 2.1 3.7 1.4 3.5 5.1 2.6

-기타 2차 산업 0.6 0.7 0.5 1.0 1.1 1.0 3차 산업 30.8 47.8 22.6 36.9 50.9 28.3 -도매 및 소매업 7.0 11.4 4.9 7.1 10.3 5.2

-운수업 2.0 3.2 1.5 2.9 3.9 2.3

-숙박 및 음식점업 6.5 8.8 5.4 6.9 8.3 6.0 -금융 및 보험업 1.6 3.0 1.0 1.2 1.9 0.8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2.5 4.6 1.5 3.1 4.7 2.1 -교육 서비스업 3.7 5.2 2.9 4.9 6.5 3.9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6 2.4 1.2 3.7 5.3 2.6 -기타 서비스업 5.8 9.2 4.2 7.3 10.1 5.6

전체 4,666 1,528 3,138 4,817 1,838 2,979

1) 각 셀의 값은 전체 일자리 중 해당 산업 일자리의 비율임.

2) 표준산업분류 대분류 수준에서 산업을 재분류함.

3) 농업, 임업 및 어업 부문에는 ‘농업 종사자’가 포함되어 있음.

자료: 통계청, 농림어업총조사, 각 연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각 연도.

표 2-5. 농촌의 산업구조 변화

단위: %, 천 명

문서에서 지역별 농촌 일자리 창출 방안 (페이지 2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