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주요 내용과 방법

3.1. 연구의 범위와 주요 내용

지역개발 분야에서 창조계층이 지역의 발전 또는 활성화에 기여하는 주요 요소 로 인식되고 있지만, 연구의 배경 부분에서 언급하였듯이 창조계층은 주로 도시, 특히나 대도시에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농촌에 분포하는 창조계 층에만 한정하지 않고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창조계층까지 조사·분석 대상에 포 함한다. 주요 조사·분석 단위는 농촌 지자체(군, 도농복합시)와 그 하위 지역(마을 등)이며, 도시민(특히 창조계층) 수요 조사를 위해 7대 특·광역시를 조사·분석 단 위로 하였다.

창조계층의 입지요인과 지역 활성화 효과 분석을 위한 통계분석을 위해서는 인 구 및 지역경제 변화 등과 관련된 10년 간격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였다. 창조계 층의 농촌 이주 및 거주 조건과 정책 수요 등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는 대도시, 군, 도농복합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창조계층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모범사례 또는 성공사례라 할 수 있는 창조계층 유치 및 활용 사례를 대상 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창조계층은 고학력자와 상이한 개념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고급 인적자원으로서의 고학력자, 그리고 창의성이 높은 지적재산 보유자 등도 창조계층에 포함하여 설문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5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제2장에서는 창조계 층과 지역발전에 대한 선행 연구 및 관련 정책을 검토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를 통 해서는 창조계층의 개념과 분류를 검토한 후 본 연구의 창조계층 분류체계를 제시 하였다. 이와 함께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창조계층과 관련된 주요 논의들을 주제 별로 정리하였다. 관련 정책으로서는 우리 정부의 농촌 인구 유치 및 정착 지원 정 책, 청년 창조계층 유치 관련 정책, 도농교류를 통한 창조계층 활용 정책, 지자체 의 관련 시책 등을 검토하여 기존 정책의 실태와 한계를 도출하였다.

둘째, 제3장에서는 가용한 공식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지역별 창조계층의 분포 와 창조성 비교, 창조계층의 농촌 입지요인과 농촌 활성화 효과 등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창조계층의 지역별 분포는 인구 총 조사(20% 표본 조사)의 시·

군·구별 취업자 자료를 활용하여 각 지역별, 그리고 도시와 농촌의 창조계층 입지 특화도(LQ)를 비교하였다. 또 시·군·구별로 창조계층 지수, 혁신 지수, 창조산업 지수, 다양성 지수를 도출하여 지역 간, 도시·농촌 간 창조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 다. 창조계층의 입지요인과 농촌 활성화 효과 분석은 가용한 공식통계를 활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제한된 통계를 활용하는 계량분석은 실재하는 현실 을 실질적으로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한계는 제4장과 5장 의 다양한 조사·분석을 통해 보완하였다.

셋째, 제4장에서는 다양한 설문조사를 통해 농촌 활성화를 위한 창조계층 활용 실태와 창조계층의 농촌 정착 및 활동을 위한 정책 수요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는 농촌에 정착하여 거주하고 있는 창조계층 및 비창조계층, 대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창조계층 및 비창조계층, 농촌 시·군의 인적자원 유치 관련 업무 담당 공무 원, 혁신도시 인근 농촌 마을의 이장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넷째, 제5장에서는 농촌 활성화를 위한 창조계층 활용의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 여 우리 농촌 정책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8개의 국내외 지역 사 례와 해외 정책 사례를 창조계층의 특성과 농촌 활성화 기여 내용에 따라 주제별 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사례 검토는 제4장의 설문조사와 더불어 제3장 의 계량분석 내용과 상호 보완이 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들 내용의 결과를 통해 우리 농촌의 창조계층 유형과 농촌 활성화 효과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마지막 제6장에서는 본 연구의 조사·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농촌 활성 화를 위한 창조계층 유치 및 활용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제1절에서는 향후 농촌 정책이 지향해야 할 창조계층 유치 및 활용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제2 절에서는 각 정책 방향과 연계하여 추진할 농촌의 창조계층 유치 및 활용 전략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제3절에서는 본 연구가 농촌정책 분야 연구에서 비교적 새로 운 시도라는 점을 고려하여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들이 다루어야 할 연구 과제 를 제시하였다.

3.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주로 문헌조사, 통계분석, 설문조사, 국내 사례 현장조사, 전문가 자 문 등의 방법을 통해 추진하였다. 먼저 문헌조사로는 창조계층의 개념, 분류, 특 성, 입지요인, 지역 활성화 효과 등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해외의 농촌 활성화를 위한 창조계층 활용 사례와 정책 사례는 문헌조사를 통해 검토하였다.

통계분석은 창조계층의 분포 현황, 입지요인, 지역 활성화 효과 등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계열 분석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각 통계의 조사 주기와 조사 형태 및 항목 변화 등을 고려하여 2005년 또는 2006년과 2015년 또는 2017 년 등을 기준으로 공표한 공식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통계자료에는 인구주택총조사, 전국사업체조사, 지적재산권 통계, 지역내총생산통계 등이 포함 되었다.

설문조사는 조사 목적 및 대상을 4가지(설문조사 A~D)로 분류하여 실시하였 다. 설문조사 A는 현재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창조계층과 비창조계층을 대상으로 이들의 농촌 정착과 농촌 활성화 기여 실태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B는 7대 특·

광역시에 거주하는 창조계층과 비창조계층을 대상으로 이들의 농촌 거주 의향과 실제 농촌 이주를 위한 조건 등을 조사하였다. 특히 동 조사는 기존의 관련 연구들 과 달리 도시민들의 농촌으로의 완전 이주 의향 및 조건만을 조사하지 않고, 도시·

농촌 병행거주 의향과 조건까지 함께 고려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C는 농촌 시·군의 인적자원 유치 관련 담당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농촌 지자체의 창조계층 유치 및 활용 전략과 정책 수요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D는 창조계층이 비교 적 많이 분포하고 있는 혁신도시 주변 농촌 마을들의 창조계층 활용 실태와 관련 수요를 조사하였다.

국내 사례 현장 조사는 각 해당 사례에 대한 현지 점검과 관련 창조계층 인터뷰 조사, 공무원 인터뷰 조사 등을 통해 추진되었다. 조사 내용은 주로 농촌 지역이 창 조계층을 포함한 인적 자원을 유치하고 활용하고 있는 실태, 문제점 또는 애로점,

정책 수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일부 사례와 관련해서는 창조계층 개인의 특성과 농촌 활성화 기여 유형별로 농촌에 정착하는 과정, 창조계층으로서 농촌에서 행 하고 있는 활동 내용, 이들 과정과 활동에 있어서 겪게 되는 애로점, 필요한 지원 등 보다 세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편 농촌 활성화를 위한 창조계층 활용의 국 내 사례는 문헌조사와 더불어 누증표집(snowballing sampling) 방식을 적용하여 각 사례를 발굴하였다.2)

마지막으로 대학교수 및 전문 연구자, 농촌 인적자원 유치 지원 관련 기관의 전 문가 등으로부터 농촌 활성화를 위한 창조계층 활용방안에 대한 정책 의견을 수렴 하였다. 이를 위해 자문회의, 사례지역 현장 협의회 등을 개최하였다.

2) 누증표집은 눈덩이가 굴러가면서 불어나는 것처럼 극소수의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하다가 점점 더 많 은 사람을 연구대상으로 확대해 나가는 조사 방법임. 주로 질적 연구에서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쉽게 접할 수 없는 집단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에 주로 활용함. 누증표집에서 연구자는 먼저 연 구하고자 하는 집단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 중에서 한두 사람과 면담을 하여 정보를 얻고, 이것을 계기 로 삼아 그들로부터 다른 사람들을 소개받아 면담하고, 같은 방식으로 면담대상을 확대해 나가면서 연구를 진행함.

그림 1-1 연구 흐름도

자료: 연구진 작성.

제2장

창조계층 논의와

관련 정책의 주요 내용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제2장

창조계층 논의와 관련 정책의 주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