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건강관련 삶의 질

C. 연구의 의의

1. 간호이론적 측면

본 연구는 Fisher 등(2006)의 IMB 모델에 기반한 정보, 내적동기와 사회적 지지 강화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토대로 신체활동의 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량, 슬관절 기능상태 및 비만・대사지표의 변화와 건강관련 삶의 질을 검증하였다.

이는 IMB 모델 기반의 이론적 기틀에 대한 유용성을 입증하고 간호학적 적용 가능성을 넓히는데 기여 하였다.

2. 간호연구적 측면

본 연구는 슬관절염의 악화요인인 비만을 고려하여 노인 중심의 구체화된 중재전략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의 간호중재 연구 확대에 기여할 것이다.

3. 간호실무적 측면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와 지역사회간호사의 실무에서 제공 할 수 있는 신체 활동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의의가 있다. 슬관절염의 질병의 특성을 분석한 정 보를 제공하고 내적 동기요소를 고려하며 의료진이 직접 중재하고 지지함으로 써 대상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유용한 중재전략이다.

Ⅶ. 결론 및 제언

A. 결론

본 연구는 슬관절염 비만노인을 대상으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적용하여 프로그램이 신체활동의 자기효능감, 신체활동량, 슬관절기능상태지 표, 비만 대사지표(내장지방단면적,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 인슐린저항성)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슬관절염 비만노인의 신체활동증진을 위해 질병의 특성과 연관된 정보를 교 육하고 내적동기와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IMB 모델을 근거로 하 였다.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은 12회기로 구성되었고 대상자들은 각 회기에 60 분씩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각 회기 별 목표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약속일 지를 공개발표하고, 수행한 내용을 작성하도록 하여 대상자들이 수행성취를 경 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약속일지는 매 회기 마다 연구자에게 제출하여 매 주 전화코칭이 진행될 때 면담자료로 사용되었다. 모든 회기에는 유연성운동과 유 산소운동을 진행하고 3회 기부터는 근력운동을 포함하여 단계별 신체활동을 진 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험군의 신체활동의 자기효능감 점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 게 증가하였고, 실험군의 신체활동량은 증가하였고, 대조군의 신체활동량은 감 소하여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실험군의 슬관절기능상태지표는 대 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여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비만・대사지 표에서 실험군의 내장지방단면적은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증가하여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중성지방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감소하였고 대 조군의 중성지방은 증가하였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고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인슐린저항성은 실험군,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고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군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는 대조군보다 유의 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 램은 슬관절염 비만노인의 자기효능감의 향상과 신체활동을 증진하여 건강결과 를 개선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B. 제언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효능감, 신체활동량, 슬관절기능상태, 비만 대 사지표의 변화(내장지방단면적의 감소, 고밀도콜레스테롤 상승),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파악하는 종단적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본 프로그램을 통해 대사인자인 중성지방과 인슐린저항성은의 수치는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추후 연구에는 중재기간을 연장 하여 그 효과를 검정할 것을 제언한다.

셋째, 본 프로그램의 중재는 대학병원에 내원하는 대상자 중심으로 진행되 었다. 그러나 슬관절염은 노화로 인한 만성질환으로 병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에서도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접근성을 높여 지역사회 대상자에게 중 재할 것을 제언한다.

넷째. 본 프로그램은 12회기 의 중재로 대상자의 적극적 참여와 시간 투자 가 필요하다. 따라서 프로그램 활용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담보하는 신체활동증 진 프로그램 축약형을 개발하여 병동 및 외래에서도 효율적으로 중재할 수 있 도록 하여 효과를 검정할 것을 제언한다.

다섯째, 본 프로그램의 하위집단 분석결과 인공관절 수술을 한 집단과 수술 하지 않은 집단 간 결과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수술한 집단에게

Ⅶ.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