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 슬관절염 비만노인을 위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은 방법론적 연구로 <그림 4>와 같다.

<그림 4>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 개발과정

1. 개념적 준거 틀 작성

슬관절염 비만노인을 위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IMB 모 델을 적용하여 중재를 개발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IMB model intervention’과 ‘IMB 모델 중재’를 주요어로 검색하였으며 2000년 이후 발간된 문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을 때 국외학술지 161편, 국내 63편의 연구가 추출되 었다. 선행문헌에서 IMB 모델의 프로그램의 효과로 행위기술은 자기효능감 (180건)으로, 행위는 자가관리(45건), 약물복용의 이행(112건), 금연행위(22건)로 문헌고찰 되었다. 이 중 노인대상의 국외중재연구는 4편(Meunier et al., 2016;

Gao, Wang, Zhu, & Yu, 2013; Osborn & Egede, 2010)과 국내 5편(김세안, 2014; 이건아, 2015; 김영일, 2016; 정선영, 2016; 전은주, 2017)의 연구가 있었 다. IMB모델적용 관절염 중재연구 연구는 국내 1편(김영일, 2016)으로 조사되 었다. IMB모델의 과정과 슬관절염, 비만 대상자의 신체활동 표준지침 및 슬관 절염 비만노인의 신체활동관련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슬관절염 비만 노인을 위한 정보, 내적동기와 사회적 지지를 위한 프로그램에 포함될 구성 내용을 작 성하였다.

2. 예비 프로그램 작성

슬관절염 비만노인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반영하기 위하여 슬관절염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토대로 신체활동의 준비도 및 신 체활동과 관련된 자원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IMB모델의 개념적 기틀과 통합하여 신체활동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대상자의 신체활동증진 변화를 생활화 하도록 하여 건강결과를 체험하고 건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중재목표로 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슬관절염 비만노인을 위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은 IMB모델을 적용하였다. 관련지식과 내적동기와 사회적지지를 증가시켜 신체활동의 자기효 능감과 행위의 변화로 건강결과가 변화하는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중재 목적과 내용, 전략 및 방법을 결정하였다. 회기별 프 로그램 내용은 골관절염 대상자의 신체활동중재 및 비만대상자의 신체활동에 관한 문헌고찰(ACSM, 2013; CDC, 2011; McAlindon, et al., 2014; WHO, 2010) 과 대한근관절건강학회와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ACR]의 관절관 리 프로그램 내용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진행과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비만노인 및 슬관절염 대상자의 신체활동의 강도와 효과측정에 관한 메타 분석연구를 분석하였다(김영욱, 오수 학, 2017; Anwer, Alghadir, & Brismée, 2016; Beavers, et al., 2014; Schlenk, et al., 2011; Zhang, et al., 2010). 이를 바탕으로 슬관절염 비만노인에게 적용

일반적으로 슬관절염 노인에 대한 신체활동의 빈도(Frequency), 강도 (Intensity), 시간(Time), 형태(Type) (FITT공식)에 대한 슬관절염 노인의 FITT구성은 다음과 같다(보건복지부, 2016). (Hochberg, et al., 2012).

∙시간(Time) : 유산소운동은 주당 3∼5일 하루 5∼10분씩 짧게 시작해서 견딜

2017; Anwer, et al., 2016; Beavers, et al., 2014)를 근거로 중재기간을 구성하 였다.

3.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검증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 검정을 위해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검토과정을 거 쳤다. 관절관리 강사이며 관절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전문가는 프로그 램의 목적과 목표별 활동내용이 대상자에 근거하여 내용이 충실히 구성되었는 지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성인간호학 교수는 구성내용에 따른 이론에 대해 검 토하였고, 관절염 센터의 정형외과 교수와 정형외과 전담간호사는 치료적 관점 에서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진행과정별 중재방법을 중심으로 타당도를 검토하 였다.

프로그램 내용타당도를 위한 전문가들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 내용

․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와 내용에 주요개념을 포함하도록 한다.

․ 회기별 주제와 내용은 연결되도록 한다.

․ 신체활동의 유지를 위하여 일관성을 유지한다.

2) 프로그램 전달방법

․ 노인들의 이해하기 쉽도록 회기별 정보는 간략하게 구성하며, 사진 삽화를 활용하여 관련 전달하도록 한다.

․ 프로그램진행시 단어와 문장을 대상자 입장에서 선택하여 눈높이를 맞춘다.

․ 신체활동을 일상생활에서 적용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제안하는 방법을 최대 한 반영한다.

4. 프로그램의 임상 타당도검증

예비프로그램은 2018년 3월 슬관절염 비만노인 4명을 대상으로 4주간 총 12 회를 제공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과 중재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 여 예비프로그램 진행 동안 프로토콜을 매뉴얼로 준비하고 체크리스트를 통해 준비과정을 점검하였다. 중재과정 전체를 녹음하여 대상자의 반응과 이해정도 를 확인하였다. 연구보조자 4인은 예비프로그램의 보조진행자로 참여하여 매 회기마다 프로그램의 준비와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참여자들의 반응, 프로그램 의 내용, 진행방법 등에 대한 의견을 토의하였다. 예비프로그램 적용 시 문제점 으로 유연성 운동과 근력운동은 포스터제작을 통해 반복 할 수 있도록 구성 되 었지만 유산소운동은 프로그램진행 시간만을 통해 전달되어 유지하고 지속되는 연속성의 한계가 있어 동영상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추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유산소운동이 끝나고(전개부분 종료시점) 정리부분의 도입부는 관 절염댄스 동작이 끝난 후 다시 책상과 의자에 앉고 대상자들의 발표와 프로그 램 진행자의 마무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책상의 재배치와 대상자들이 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교육의 집중도를 감소시키고 분산된 환경이 제공되 므로 진행의 집중을 위하여 자리에 앉은 후 신체활동을 정리하는 과정으로 ‘건 강박수’를 노래에 맞추어 동작하도록 추가하였다.

5. 최종프로그램 개발

본 연구에서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하였으며 회기별 목 표를 설정하고 주요내용을 구성하며 프로그램 전달 방법을 구체화 하였다. 프 로그램의 목표인 신체활동증진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전반부 1∼

6회 기는 신체활동의 변화단계이며, 후반부 7∼12회 기는 신체활동의 변화지속 단계로 구성하였다. 회기별 목표는 1회기는 노인의 관절염과 비만, 신체활동의 관계를 이해하기, 2회기 무릎통증을 조절하며 적절한 신체활동하기, 3회기 관절

보호하며 신체활동 실천하기, 4회기 올바른 신체활동을 위한 적절한 체중유지 하기 5회기 올바른 신체활동을 위한 관절염치료약물 바로알기, 6회기∼7회기 중간목표의 점검과 개인별 목표정하기, 8회기 신체활동 실천유지하기, 9회기 관 절염의 올바른 신체활동을 위한 정보의 평가하기, 10회기 여행지에서 신체활동 하기 11회기 생활 속 신체활동 실천하기, 12회기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 참여 의 평가하기 순서 이다. 프로그램의 중재는 슬관절염 비만노인의 신체활동 정 보로 슬관절염의 발생과 통증관리, 활동범위, 올바른 자세와 휴식의 범위, 약물 복용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며 신체활동의 약속정하기와 일지 쓰기, 경험나누기, 격려하기, 장애요인의 극복하기를 통하여 내적 동기를 강화하고 집단관절운동 및 관절댄스와 면담, 코칭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제공함으로서 신체활동의 자 기효능감을 향상하여 행위의 변화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매회기 마다 도입 (10분), 전개(40분), 정리(10분)로 1회기 당 60분씩 구성하였다. 회기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표 1>.

<표 1> 슬관절염 비만노인을 위한 신체활동 증진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