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신체활동의 자기효능감

신체활동의 자기효능감은 Dunbar-Jacob 등(2006)이 개발하고 Kim(2016)이 번안 및 분석한 The Perceived Physical Activity Efficacy Scale로 관절염대상 자의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10개의 문항을 10점 Likert 척도로 측정한 다. 점수는 최저 0점에서 최고 10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관절염치료에 신체 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3 ∼ .94 이었으며, Kim(2016)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 .91 이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2 이었다.

2) 신체활동량

대상자의 신체활동량은 국제합의기구에서 개발, WHO가 채택한 국제신체활 동설문지(IPAQ)를 사용하여 측정, IPAQ 점수 환산법(The IPAQ group, 2004) 에 근거하여 신체활동량을 MET-minutes/week 점수로 산출한다. 12개 국가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Spearman

r

= .70 - .88, 준거타당도는 pooled Spearman

r

= .33 이다(WHO Expert Consultation, 2004). 연속형 점수는 다음 과 같이 산출한다.

· 걷기 포함 저강도 MET=3.3(MET level)×걸은 시간(min)×일(day)

· 중등도 활동 MET=4.0(MET level)×중정도 강도 활동시간(min)×일(day)

· 격렬한 활동 MET=8.0(MET level)×격렬한 강도 활동시간(min)×일(day) 총 신체활동 MET-min/Week= 걷기+중등도 활동+격렬한 활동(MET) 범주형 점수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저강도(category 1): 신체활동의 가장 낮은 단계로 범주형 2와 3에 포함되지

않는 대상자들이 포함되며 불충분한 활동으로 분류한다.

· 중강도(category 2): 주 3일 이상 하루 20분 이상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거나, 주 5일 이상 하루 30분 이상 중정도 신체활동을 하거나, 주 5일 이상 600MET(min/week)에 해당되는 걷기, 중정도 활동 혹은 격렬한 신체활동을 조합한 경우가 해당된다.

· 고강도(category 3): 주 3일 이상 1500MET(min/week)에 해당되는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거나, 주 7일 이상 3000MET(min/week)에 해당되는 걷기, 중등도 활동 혹은 격렬한 신체활동을 조합한 경우가 해당된다.

3) 슬관절기능상태지표

슬관절염 기능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Bellamy 등(1988)이 개발한 WOMAC Index를 Bae 등(2001)이 번안하여 분석한 K-WOMAC Index를 사용하였다. 슬 관절염 대상자의 관절통증(5문항), 관절강직(2문항), 신체기능과 일상생활 수행 의 어려움(17문항)을 반영하는 도구로 2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없음(0점)에서 매우 심함(4점)으로 0-4점까지 5점 Likert 척도로 측정된다. 점수의 총점은 0점

∼96점으로 높을수록 악화된 증상, 제한된 활동, 나쁜 건강을 의미한다.

WOMAC 신뢰도는 Cronbach's α=.85 이며, K-WOMAC의 검사-재검사 신뢰 도 Spearman r = .87, 신뢰도 Cronbach's α=.97, 준거타당도 Spearman r = .41

∼.55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4 이었다.

4) 비만・대사지표

∙ 내장지방단면적(VFA)

내장지방(Visceral Fat Area, VFA) 측정을 위해 체성분 분석기(Inbodys10, Biospace, Korea)를 이용하였다. 오전 공복상태에서 홀더전극(Toch Type)을 양

위치하도록 끼운 후 앉은 자세의 모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내장지방이 많 진단검사의학과내 원심분리기(Component R12, Hanil Scientific Inc. Korea)로 3000rpm으로 혈청 분리 후 Hitachi automatic analyzer 7600(Hitachi,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중성지방은 enzymatic method,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immunoinhibition method 방법으로 분석 하였다. 검사실의 내부 정도관리 (Quality Control) 기준(변동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CV)은 5% 이하이 며, 대한 임상 정도관리협회의 정도관리 기준(변동지수점수법, Variance Index Wizardgamma-Counter(Perkinelmer, Turku, Fin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슐린저항성과 인슐린의 분비가 비례관계에 있어 인슐린저항성이 올라가면 인 슐린분비가증가하고 인슐린저항성이 낮아지면 인슐린 분비도 적어진다는 원리 를 이용한 결과치를 의미한다(김대중, 2007). HOMA-IR값이 3.0 이상이면 인슐 린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의미한다(Lee, et al., 2006).

HOMA-IR을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 하였다.(Okita, et al., 2013).

Homa-IR index = fasting insulin(µIU/㎖) × fasting glucose(㎎/㎗)/18 22.5

5) 건강관련 삶의 질

건강관련 삶의 질은 EQ-5D-5L 한국어판을 The EuroQol Group(www.euroqol.org)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였다. EQ-5D-5L은 일반적 건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포괄적 도구로 다섯 개 영역의 건강상태를 묻는 EQ-5D 로 구성되었다. EQ-5D는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 및 불편감, 불안 및 우울의 5항목으로 각 문항(전혀 지장이 없다; level 1, 약간 지장이 있다;

level 2, 중간 정도의 지장이 있다; level 3, 심한 지장이 있다; level 4, 수행할 수 없다; level 5)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EQ-5D는 5개의 영역의 측정값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한 EQ-5D Index로 나타낼 수 있다. 각 나라마다 문화 와 상황에 맞게 고유한 가중치를 산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mposite TTO(Time Trade Off)와 건강상태에 대한 DCE(Discrete Choice experiment)방법을 이용하여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상태 효용을 추정한 조 민우 등(2013) 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0.66에서 0.904사이의 하나의 값으로 산 출하였다<부록5>. EQ-5D index로 환산한 수치가 높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 이 높다.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7 이었다.

6)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일반적 특성은 인구사회학적특성과 관절염관련 특성이다. 본 대 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는 성별, 연령, 교육, 결혼상태 등이 포함되며 관절 염관련 특성은 관절염 위치, 인공관절 수술, 주적통증점수, 주관적 건강상태, 비 만관련 지표 및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관련 특성(관절염 지식, 내적동기, 사회 적지지)을 포함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골관절염 지식은 Hill과 Bird(2007)가 개발한 Patient Knowledge Questionnaire-Osteoarthritis(PKQ-OA)를 원 저자에게 승인 후 전문가에게 번

으로 관절염의 증상과 과정(4문항), 골관절염 약물요법(4문항), 운동 및 휴식(4 문항), 관절보호(4문항)로 구성되었으며 골관절염지식과 관련된 정답이 있다.

정답을 선택하는 경우 1점씩 가산되며 30점 만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골관절 염 지식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개발당시 신뢰도 Cronbach’s α=.75 이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86 이었다.

내적동기는 McAuley(1992)가 개발한 Barriers Self-Efficacy Scale(BARSE) 도구를 Kim(2016)이 번안 및 분석한 도구로 신체활동 장애요인에 대한 자기효 능감을 13개 문항을 0점에서 100점으로 측정하여 모두 합산한 후 0점~100점으 로 환산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활동 장애요인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8 이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87 이었다.

사회적 지지는 Sherbourne과 Stewart(1991)이 개발한 Medical Outcome Study Social Support Survey(MOS-SSS)도구를 유인영, 임민경, 유원섭(2002) 이 번안한 도구로 19개 문항으로 5점 Likert 척도이며 물질적 지지(4문항)와 애 정적 지지(3문항)와 긍정적 사회 상호작용(4문항)과 정서적지지/정보적 지지(8 문항)의 4개의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Sherbourne과 Stewart(1991)가 제시한 점수 계산식을 이용하여 각 영역별 점수를 0∼100점으로 환산한 후에 환산된 각각의 하부 차원의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을 내어 산출하며, 점수가 높 을수록 사회적지지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8 이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5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