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태지표

실험군

(n=40) 41.68 16.98 34.18 15.63 33.22 1.51 15.88 <.001 .181 대조군

(n=35) 39.20 16.67 40.94 18.48 42.05 1.62

4. 제 4가설 :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비만・대사지표가 향상 될 것이다.

4-1 부가설 :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내장지방단면적이 낮아질 것이다.

대상자의 사전 내장지방 단면적을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내장지방단면적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118.44㎠(±15.33)에서 113.90㎠

(±25.11)로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은 111.38㎠(±15.83)에서 114.1㎠(±27.93)로 내장 지방단면적이 증가하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7.57,

p

=.008).

따라서 4-1 부가설은 지지되었다<표 8>.

인공관절 수술 유・무의 하위집단 분석에서 수술한 집단과 수술하지 않은 집단의 사전 내장지방 단면적을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내장지방단면적의 차이 를 비교한 결과 수술한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F=0.04,

p

=.852)<부록 표 8>, 수술하지 않은 집단은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다(F=12.75,

p

=.001)<부록 표 14>.

4-2 부가설 :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성지방 수치가 낮아질 것이다.

대상자의 사전 중성지방수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 성지방수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140.14mg/dl(±41.65)에서 138.78mg/dl(±47.81)로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은 131.63mg/dl(±52.13)에서 132.86mg/dl(±80.52)로 중성지방수치가 증가하였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F=0.002,

p

=.965). 따라서 4-2 부가설은 기각되었다<표 8>.

인공관절 수술 유・무의 하위집단 분석에서 수술한 집단과 수술하지 않은 집단의 사전 중성지방수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성지 방수치의 차이는 수술한 집단(F=1.04,

p

=.318)<부록 표 8>, 수술하지 않은 집단

(F=0.53,

p

=.469)<부록 표 14>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3 부가설 :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고밀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질 것이다.

대상자의 사전 고밀도콜레스테롤 수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고밀도콜레스테롤 수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47.03mg/dl(±9.69)에서 50.37mg/dl(±9.98)로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48.43mg/dl(±9.22)에서 47.29mg/dl(±9.32)로 감소하여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하였다(F=9.51,

p

=.003). 따라서 4-3 부가설은 지지되었다<표 8>.

인공관절 수술 유・무의 하위집단 분석에서 수술한 집단과 수술하지 않은 집단에서 사전 고밀도콜레스테롤수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 의 고밀도콜레스테롤수치의 차이는 수술한 집단(F=3.57,

p

=.044)<부록 표 8>, 수술하지 않은 집단(F=7.22,

p

=.010)<부록 표 14>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4 부가설 :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될 것이다.

대상자의 사전 인슐린저항성 수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실험군 과 대조군의 인슐린저항성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2.78(±1.78)에서 2.14(±1.26)로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은 2.21(±1.22)에서 1.77(±1.25)로 감소하여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0.34,

p

=.563). 따라서 4-4 부가설은 기각되었다<표 8>.

인공관절 수술 유・무의 하위집단 분석에 수술한 집단의 인슐린저항성 차이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Z=0.88,

p

=.380)<부록 표 8>, 수술하지 않은 집 단에서도 사전 인슐린저항성 수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표 8> 비만・대사지표의 공분산분석 결과 (N=75)

Mean SD Mean SD Mean SE

내장지방단면적 (㎠)

실험군

(n=40) 118.44 15.33 113.90 25.11 109.33 2.46 7.57 .008 .095 대조군

(n=35) 111.38 15.83 114.10 27.93 119.39 2.64

중성지방* (mg/dl)

실험군

(n=37) 140.14 41.65 138.78 47.81 135.72 5.77

0.002

.965 <.001 대조군

(n=35) 131.63 52.13 132.86 80.52 136.08 5.93

고밀도* 콜레스테롤 (mg/dl)

실험군

(n=37) 47.03 9.69 50.37 9.98 50.93 0.96 9.51 .003 .121 대조군

(n=35) 48.43 9.22 47.29 9.32 46.70 0.98

인슐린저항성**

실험군

(n=36) 2.78 1.78 2.14 1.26 1.88 0.20 0.34 .563 .005 대조군

(n=33) 2.21 1.22 1.77 1.25 2.01 0.19

5. 제 5가설 :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이다.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실험군과 대 조군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0.55점(±0.25)에서 0.64점(±0.18)으로 향상되었으며 대조군은 0.54점(±0.24)에서 0.53점(±0.22)으로 감소하였다.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4.89,

p

<.001). 따라서 제

Mean SD Mean SD Mean SE

건강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