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소재하는 A대학병원 관절염센터에 내원 하는 환자 중 선정기준에 충족한 자를 선정하였다. 연구목적, 방법, 절차 등을 피험자 설명문을 토대로 설명 후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 80명 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의 방법, 가능한불편감, 각종설문절차, 체지방측 정, 채혈절차 등에 대하여 최종 설명 후 서면으로 연구동의서 작성 후에 진행 하였다. 대상자는 자유롭게 연구 참여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사전 설명하였 으며 대상자의 의견에 따라 연구도중 언제라도 참여철회 할 수 있음을 설명하 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구체적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퇴행성 슬관절염을 진단받은 방사선학적 진단등급(Kellgren-Lawrence)이 2~4등급인 자

2. 만 65세 이상인 자

3.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인 자 (KSSO, 2006a)

4. Inbody S10으로 측정하여 내장지방의 단면적(Visceral Fat Area, VFA)이 남자 100㎠, 여자 70㎠ 이상인 자(Han, et al., 2008)

5. 국문해독이 가능한 자

본 연구 대상자의 구체적인 제외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정신질환 병력이 있거나, 교육에 지장이 발생 할 수 있는 질환(치매, 시각장 애, 청각장애 등을 포함)이 있는 자

2.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골절, 뇌졸중, 편마비, 사지마비, 심장질환으로 활 동이 어려운 자

본 연구의 표본크기는 G Power 3.1 (Faul, Erdfelder, Buchner, & Lang, 2009)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 설계와 유사한 골관절염 노인대상자의 자가관리 중재를 진행한 선행연구(김영일, 2016)를 기초로 하여 Cohen(1988)의 공식에 근 거하여 효과크기(f) .25, 유의수준(α) .05, 검정력(1-β) .80으로 설정하였을 때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으로 총 60명이 산출되었으나 탈락률 30%를 고려하 여 각 그룹을 40명으로 산출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과 일치하는 대상자 250명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 여에 동의한 대상자 80명을 컴퓨터에 의한 난수표에 따라 배정확률이 같은 1:1 무작위 방법을 통해 실험군 40명, 대조군 40명으로 배정하였다. 그러나 대조군 에서 무작위 배정 후 대조군으로 배정되어 연구 참여거부의사가 있었던 5명의 대상자를 제외하였다. 이에 실험군 40명, 대조군 35명 총 75명이 사전조사를 진 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연속성과 효과평가를 위해 4회 이상 불참 시 연구에서 탈락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12회기 동안 2명(남 여 각각 1인)의 대상자가 1회기 참석 후 2회기부터 5회기 까지 4회 연속 결석하여 탈락하였다. 탈락사유 는 여자 대상자 1인은 자녀의 교통사고로 불참하였고 남자 대상자 1인은 개인 사유의 거주지이동으로 불참하여 탈락되었다. 2회 차에 탈장수술 대상자가 발 생하였으며, 3회 차에 담관결석 대상자의 발생으로 모두 수술 후 안정이 필요 한 상태로 프로그램 중재군에서 탈락되었다. 실험군의 경우 중재가 진행되는 12회기 동안 4명이 탈락(탈락률 10%)하여 최종 연구대상자는 실험군 36명 대 조군 35명으로 총 71명이었다<그림3>.

<그림 3> 연구 대상자 모집과정 흐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