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의 내용

본 연구는 6장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크게 보면, 제2장과 제3장에서 사회통합을 논 의하고 제5장과 제6장에서 국민행복을 논의하는 체계이다. 제2장에서는 사회통합의

개념을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본 연구의 실태조사와 기존 조사자료를 분석 하여 우리나라의 사회통합 수준을 외국과 비교한다. 비교분석 결과에서 사회통합의 일 부 영역은 외국과 유사하거나 좋을 것이고, 일부 영역은 외국에 비하여 낮을 것이다.

좋은 것은 좋은대로 나쁜 것은 나쁜대로 우리에게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하지만, 연 구진은 사회통합 수준이 낮은 영역에 더욱 주목을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소 결 및 시사점은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제3장에서는 사회통합 영역별 요인을 밝혀내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그러므로 본 장 은 미시분석이고, 본 연구의 조사결과가 주로 활용될 것이다. 동 분석에서 유의미한 독 립변수를 발견한다면 이는 곧 정책적 함의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제4장에서는 먼저 행복의 개념을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살펴본 후, 기존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행복 수준을 외국과 비교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실태조사를 분석하여 통제변수(지역, 소득, 가구규모, 가구유형 등)별 그리고 가구경제수준별 행복 수준을 측정한다. 이 과정에서 어느 영역이, 그리고 어떤 통제변수에서 행복수준이 낮 은 부문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사회통합과 마찬가지로 행복수준이 낮은 영역 및 통제변수에 더욱 주목을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본 장의 소결 및 시사점을 정리한다.

제5장에서는 행복결정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그 동안 잘 연구가 되지 않았던 재미있는 몇 가지 분석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 로 소결을 기술하고자 한다. 제6장에서는 사회통합이 수단이고 행복이 목적이라는 관 점에서 사회통합과 행복의 관련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함의 및 정 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은 이론연구와 실태조사이다. 먼저 사회통합 및 행복에 대 한 이론연구를 통해 사회통합과 행복에 대한 개념을 검토하고, 사회통합과 행복에 영 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을 아우르는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사회통합과 행복의 개 념에 대한 이론연구는 주로 사회통합과 행복의 의미와 상태 진단 및 성과 평가를 위한 각 개념의 구성요소와 지표․지수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회통합은 일반적으로 ‘social cohesion’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국제적으

합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다른 연구에 비해 면밀히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가구의 일 반사항에 있어서도 아동 및 노인, 장애인 등의 요보호 가구원 유무 등의 조사 문항을 통해 가구의 상황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