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쓰기 활동을 문제 해결 과정으로 보는 것은 인지주의 관점에 바탕을 두고 있 다. 쓰기를 문제 해결 과정으로 보는 많은 관점들은 학교의 쓰기 교육에 커다 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영향의 대표적인 모형이 플라워와 헤이즈(Flower

& Hays)의 ‘인지적 쓰기 모형’또는 ‘문제 해결적 모형’이다.

쓰기의 문제 해결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한 쓰기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는 인 지주의 쓰기 이론이 국내에 소개된 이후에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염창권(1986)은 쓰기의 햑습 모형과 전략 연구에서 쓰기를 잘 하기 위해서는 먼저 문제 상황을 발견하고, 이의 해결 방법을 찾는 과정에서 생각과 느낌을 풍부하게 생성해야 하고 독자나 필자 자신의 입장을 고려하여 글을 구성하는 방법을 터득해야만 한다고 하였다.

손영애 외(1992)는 형식주의 쓰기 이론에 의하여 이루어진 결과 중심의 쓰기 지도를 비판하고 인지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과정 중심의 쓰기 지도 프로그 램을 개발하여 그 적용 자료를 분석하였다.

원진숙(1994)은 논술 지도를 위한 텍스트의 결속성 저해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제 해결 작문 지도를 위한 수업 모형과 상호작용적 프로그램을 제 작하여 수업에 적용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박영목 한철우 윤희원(1995)은 6차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작문의 본질을 규명 하고 학년 별로 쓰기 영역의 목표와 내용을 정리하였다.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 의 쓰기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쓰기 과정에서 필요한 전략과 구체적인 지 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육우군(1996)은 논설문 쓰기 과정을 문제 해결 과정으로 파악하고, 과정 중 심의 논설문 쓰기 지도 방법을 아이디어 생산 단계, 텍스트 생산 단계, 고쳐쓰 기 생산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 맞는 쓰기 지도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엄 훈(1996)은 작문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토대로 쓰 기 교수 학습 변인들의 범주와 유형을 고찰하여 쓰기 전략을 선별하고, 과정별

로 필요한 문제 해결 활동을 제시해 주었다.

박태호(1996)는 사회구성주의 작문 이론을 소개하면서 이 이론에 바탕을 둔 대화 중심 작문 지도 모형과 작문 지도 절차를 제시하여 교수 학습 방법을 제 시하고 있다.

김도남(1997)은 작문 과정을 문제 해결 과정으로 보고, 작문 활동의 내적 구 성요소, 학습자, 교사와의 상호 작용을 바탕으로 작문 지도 모형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문제 핵결 절차를 문제 파악, 문제의 정의, 대안의 탐색, 계획의 실행, 결과의 확인 등 다섯 단계로 파악하여 작문의 교수-학습 절차에 적용했다.

그 밖에 이세현(1997), 김원석(1997), 최창길(1996)등은 토론, 질문, 스키마의 활성화를 통해 쓰기 활동의 문제 해결 전략을 부분적으로 제시하면서 최근의 과정중심 쓰기 이론을 도입한 작문 프로그램에 의한 작문 수업이 작문 능력을 향상시켰음을 증명하려는 실험연구이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작문 활동의 인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의 다각적 측면에 대한 연구들로서 쓰기 지도의 구체적인 방법들을 탑구하였다.

이들은 본 연구에 이론적 배경을 제시해 주었고, 프로그램 개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기에는 지나치게 추상적 이고 이론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핵 결 중심의 쓰기 전략 지도를 소집단 협의 활동을 통하여 지도하는 방법으로 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쓰기 지도에서 필요한 문제 해결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볼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