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 안으로서 문제 해결 중심의 쓰기 전략 지도를 소집단 활동을 통해 지도하고 그 효율성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쓰기 과정을 문제 해결 과정으로 볼 경우 논설문이 문제 해결과 대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소집단 활동을 통한 문제 해결 중심의 쓰기 전략 지도 를 하여 논설문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내용을 요 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지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해 보고 쓰기의 과정에 대해 논 의해 보았다. 효율적인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해서는 결과 중심 쓰기를 지양하

고 쓰기 과정에서 요구되는 여러 가지 전략을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했다.

쓰기를 통한 의사소통 과정의 본질은 문제 해결 지향적이라는 관점에서 소집단 쓰기 활동의 필요성을 찾아보았다.

둘째, 쓰기 과정의 문제 해결적 특성을 고찰하고,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 쓰 기 영역의 내용 체계와 문제 해결과 관련되는 쓰기 단원을 분석하였다. 문제 해결 중심의 쓰기 단계를 계획하기, 내용 생성하기, 내용 조직하기, 표현하기, 고쳐쓰기, 조정하기 등 여섯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각 단계에 적절한 쓰기 전략을 구안하였다.

셋째, 논설문이 문제 해결과 대화 구조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초등학교 5학 년 학생들에게 소집단 활동을 통한 문제 해결 중심의 쓰기 전략 지도하고 그 효율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문제 해결 전략 중심의 쓰기 지도를 받은 실험 집단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쓰기 지도를 받은 비교 집단보다 쓰기 능력에 의미 있는 향상을 보였다. 글의 내용, 조직, 표현 영역 중에서 조직면과 내용면에 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조직면에서는 다발짓기 전략을 통하여 논설문의 형식에 맞게 글의 짜임을 계획한 것이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 돌려읽기 과정 에서 다른 친구의 글을 보고, 글쓰기에 대한 안목이 생겼기 때문인 것으로 보 인다. 내용면에서는 계획하기 전략을 통하여 주제가 분명히 드러난 글을 일관 성있게 전개하였다. 그러나 표현 영역에서는 그 성과가 드러나지 않았는데 논 설문에서 적절하지 않은 표현은 생활문이나 동시에서 만큼 많이 접해보지 않은 원인이 있다고 보여 진다. 또 내용상 적절하지 않은 어휘의 사용과 같은 어휘 의 반복이 많았던 것은 배경 지식의 부족으로 어휘의 개념을 잘못 인식하고 있

고, 배경 지식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 실험의 단기성에서 찾을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소집단 활동을 통한 문제 해결 전략 중심의 쓰기 지도 는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향상에 대체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검증된 가설은 실험 기간이 짧고, 차수가 적어 일반화하기에는 부족 함이 많다. 효과를 보지 못한 부분과 인과 관계가 뚜렷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학생들의 성공적인 쓰기를 위해서는 쓰기 지도에 대 한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하겠다.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텍스트 중심의 수사적 지도에서 과정 중심의 전략적 지도로 전환해야 하다. 쓰기 과정을 염두에 두고 장기간에 걸쳐 문제의 발견 전략을 가르치고 그 문제의 논리적 해결 경험을 지속적으로 주는 계획성 있는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논설문 쓰기 지도 를 위한 방안 연구나 저학년에서 논리적인 글쓰기와 고학년에서의 논설문 지도 에 있어 지도 방법 연계성에 관한 연구 등도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1. 자료

교육부.『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5.

교육부.『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4.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1996.

2. 단행본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 워크숍』. 제5회 경인초등국어 학회 연구 발표, 1995.

노명완 외. 『국어과 교육론』. 갑을출판사, 1988.

박영목·윤희원·한철우. 『국어과 교수-학습 탐구 방법』. 교학사, 1995.

서정수. 『문장력 향상의 길잡이』. 한강문화사, 1991.

신헌재·이재승.『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박이정, 1994.

이재승.『국어 교육의 원리와 방법』. 박이정, 1997.

초등국어교육학회. 『쓰기 수업 방법』. 박이정, 1998.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 개론』. 삼지원, 1996.

토니 부잔·배리 부잔, 라명화 옮김. 『마인드맵 북』. 평범사, 1994.

한국부잔센터. 『반갑다 마인드맵』. 사계절, 1994.

3. 논문

김경주, “과제 분석 전략을 이용한 쓰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 서울대 석사 학위 논문, 1998.

김도남, “문제 해결 중심의 작문 지도 방법 연구”, 교원대 석사학위 논문, 1997.

김민애, “쓰기 지도를 위한 과제 진술 방법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1993.

김범수, “협동학습에 있어서 소집단 구성이 대화 내용 및 과정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 석사학위 논문, 1992.

박태호, “작문과정에 따른 전략 중심의 작문교육”, 「과정중심의 글쓰기 워크숍」,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자료집, 1995.

, “사회구성주의 패러다임에 따른 작문 교육 이론 연구”, 교원대 석사 학위 논문, 1996.

박영목, “중고등 학교에서의 작문 지도”, 「제2회 국어교육 발표 대회」, 한 국국어교육연구회, 1991.

, “의미의 구성에 관한 설명 방식”, 『선청어문』 제 22집, 1994.

, “작문 연구의 최근 동향과 전망”, 「작문교육의 과제와 방향」, 한국 국어교육연구회, 1995.

엄 훈, “전략 중심의 쓰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1996.

염창권, “쓰기 교수-학습 모형 전략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제12 집, 1996.

염창권 외, “문제해결 중심의 쓰기 지도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 방안”,

「광주교대 초등교육연구」 12, 1997.

원진숙, “작문 교육의 이론적 기초와 방법론 연구”, 고려대 박사학위 논문, 1994.

육우군, “논설문 쓰기 지도 방법 연구”, 고려대 석사학위 논문, 1996.

이영희, “협동학습을 통한 고쳐쓰기 지도 방안 연구”, 교원대 석사학위 논문, 1999.

이재승, “과정중심 쓰기 교육의 구현 방안”, 『청람어문학』 제10집, 1998.

이재기, “작문 학습에서의 동료평가활동 과정 분석”, 교원대 석사학위 논문.

1997.

인혜련, “쓰기 학습 과정의 대한 질적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1998.

성미영, “협동적 과정 중심 작문 지도의 효과 분석 연구”, 고려대 석사학위 논문 1997.

석삼식, “신문을 활용한 논설문 쓰기 지도 방안 연구”, 경성대 석사학위 논문, 1998.

오종렬, “상위인지적 문제해결 작문 지도 연구”, 인천교육대 석사학위 논문, 1998.

정미현, “동료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의 효율성”, 이화여대 석사학위 논문, 1997.

정춘환, “협동학습과 경쟁학습이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원 대 석사학위 논문, 1991.

정혜경, “원격 교육에서의 소집단 학습 운영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 논문, 1994.

최현섭·박태호,“과정중심의 전략적인 글쓰기 지도 방안;초인지

(metacognition)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제10집, 한 국초등국어교육학회.

최용제, “작문 전략의 내면화 과정에 대한 연구:중학생의 논술문 지도를 중심으로”, 교원대 석사학위, 1999.

하태원, “고쳐쓰기 지도가 논술문 쓰기에 미치는 효과 연구”, 고려대 석사학 위 논문, 1998.

ABSTRACT

A study on the method of teaching the problem-solving strategy in writing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 of teaching the problem solving strategy in writing through the small group activity as an effective teaching/studying way that promotes an elementary student's writing capability and verifies the efficiency through an experiment.

In case of considering the writing process as the procedure of problem solving, in the view of point which the argumentative prose consists of the problem solving and dialogue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moting the argumentative writing capability through teaching the problem solving strategy in writing.

The summe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is consider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discussing the writing process.

For promoting the effective writing capability, we need not orienting to the result of writing, but teaching the various writing strategy in writing process.

CHO, EUN SUN

Major in Korean Languag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In the point of view that the essence of communication by writing is oriented to the problem solving, there are some requirements of the small-group activity in writing in this study.

The second is considering the problem-solving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process and analyzing the writing chapter related to the problem solving and content system of the writing area of Korean language class in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problem solving in writing consists of six steps, there is an appropriate writing strategy in each step.

The third is teaching the problem solving strategy in writing to the fifth grade students and confirming the resulting effect. As the result, the sample group learned by the problem solving strategy in writing is significantly promoted more than the sample group learned by the general teaching method in the area of the writing structure and contents among the structure, contents, presentation. The main reason of this promotion is acquiring the writing capability through reading the writing of other friends in reading around group. There is no significant promotion in the presentation area, because the presentation capability of the argumentative prose depends on the long-term study.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the instruction of the problem solving strategy in writing through the small

group activity have an effect on promoting the writing capability of the elementary students.

부 록

1. 계획하기 학습지

2. 생각 그물 만들기 학습지 3. 다발짓기 학습지

4. 얼른 쓰기 학습지 5. 동료 협의표 6. 자기 평가지

7. 실험 집단의 생각 그물 8. 실험 집단의 다발짓기 9, 실험 집단의 완성된 글

<부록 1>

계획하기 학습지

나는 ( ① )에게 ( ② ) 것을 ( 설득 / 설명 )하겠다.

나는 ( )에게 ( )

것을 ( 설득 / 설명 )하겠다.

5의( ) 이름( )

* 글의 주제, 목적, 예상 독자를 생각하며 주제문을 만들어 보자.

1. 물자 절약

① 예상 독자 :

② 글을 쓰는 목적 :

* 친구들의 의견을 듣고 다시 써 보자.

③ 주제문 :

<부록 2>

생각 그물 만들기 학습지

5의( ) 이름( )

* 선택한 화제에 대한 경험이나 생각을 자유롭게 말해 보자.

* 위에 적은 것을 바탕으로 쓸 내용을 모아 생각 그물로 나타내 보자.

<부록 3>

다발짓기 학습지

5의( ) 이름( )

* 생각 그물로 나타낸 것 중 불필요한 것은 빼고, 빠진 것은 덧붙여서 다발짓기로 나타내 보자.

( 처음 )

중심 내용

중심 내용

중심 내용

( 끝 )

<부록 4>

얼른 쓰기 학습지

5의( ) 이름( )

* 다발짓기 한 것을 보고 얼른 쓰기를 해 보자.

<부록 5>

동료 협의표

★ : 칭찬하고 싶은 부분에 표시하기

▶ : 고쳐야 할 부분에 표시하기

? : 이해하기 어렵거나 질문이 필요한 부분에 표시하기

기록자( , , , , , )

* 작품을 읽고, 작품에 아래의 기호를 표시한 후, 다음 물음에 대해 자신 의 의견을 써 보자.

1. 제시된 주제와 글의 내용이 잘 어울리는가?

2. 이 글을 쓴 목적은 무엇인가?

3. 다발짓기한 순서에 맞추어 썼는가?

3. 다발짓기한 순서에 맞추어 썼는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