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내용

2013년 한국복지패널 심층 분석보고서에 해당하는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부분으 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반부는 한국복지패널(KOWEPS)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진 신규 패널표본 추가 조사 및 구축과 관련된 과정 및 통계적 방법론에 의한 검정에 해당된 다. 여기서는 먼저 신규 표본가구 추출방식 및 가중치 부여 관련 이론 및 실증적인 과 정을 제시하고, 7차 원표본 가구 및 신규 표본가구의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신규 표본가구를 포함한 통합 표본에 대한 동질성 및 안정성을 사전에 분석한다. 이어서 후반부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의 주요 변수를 중심으로 7차 원표본과 신규 패널표본 통 합 DB를 분석하여, 가구 및 가구원의 특성, 가구의 소득 및 지출 실태, 가구의 재산

및 주거실태 등을 비교하여 제시하고, 소득 및 재산 변수를 바탕으로 빈곤 및 불평등

수행된 한국복지패널 신규 표본가구 추가 구축 성과 및 표본의 대표성 및 안정성과 관련된 통계적 특성을 바탕으로 향후 한국복지패널 활용 제고 및 발전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외 패널조사의 신규 표본가구 추가 사례 및 가중치 조정 과 관련된 현지조사 및 문헌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우리와 유사하게 신규 패널표본 추가 경험이 있는 스위스 가구패널(Swiss Household Panel) 사례를 중점적으로 살 펴본다.

다음으로, 신규 표본가구의 추가 조사 결과와 관련하여 1~7차 한국복지패널 원자 료를 활용한 심층 분석을 수행하는데, 특히, 2012년 7차 패널조사와 함께 실시된 신 규 표본가구(1,800가구) 추가조사 결과와 7차 원표본(5,732가구) 및 신규 표본가구 통합 DB(7,532가구) 등을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다.

2~3장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의 신규 표본가구 추가 필요성에 대한 근거자료를 분석 하고, 신규 표본가구 통합 DB 구축 및 가중치 조정 과정에 대해 제시한다. 4장에서는 명목변수의 경우 상대빈도를, 연속변수의 경우 밀도함수 분포 등과 두 분포 간 동질 성 검정의 방법을 활용하여 먼저 7차 원표본 가구와 신규 표본가구를 중심으로 두 표 본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1차 패널자료를 바탕으로 7차년도까지 표본 유지가구와 2~6차 중 표본 탈락가구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5~7장에서는 7차 원표본 5,732가구 및 신규 표본가구 통합 DB 7,532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복지패널의 주요 조사영역 중 가구 및 가구원 특성, 가구 소득 및 지출, 가구 재산 및 주거와 관련된 핵심적인 변수를 대상으로 기초통계의 분포를 비교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8장에서는 7차 원표본과 신규 표본가구 통합 DB를 중심 으로 다양한 빈곤 및 불평등 지표를 분석한다.

3. 기대효과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수행되었던 심층보고서 주요내용 및 빈곤과 불평등 지표 를 중심으로 한국복지패널 신규 표본가구 통합 DB를 비교 분석하고, 신규 표본가구 포함 시 한국복지패널 전체 표본가구 통합 DB의 통계적 안정성 및 동질성을 검증함 으로써 한국복지패널을 활용한 다양한 조사연구의 안정적 수행 및 데이터베이스의 품질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복지패널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 공함과 동시에, 한국복지패널 원자료의 신뢰도·타당도·활용 가능성 등을 사전에 확 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료의 대내외적 위상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8년 동안 유지되고 있는 한국복지패널에 기반한 다양한 주제의 심층적인 연구가능성과 관련 분야의 학술적·정책적 활용성을 제고하는데 기 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