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그림 8-2〕 절대빈곤율의 비교(최저생계비 기준)

원 수준, 공적이전의 평균 금액은 103.2만원 수준이었다. 신규 가구 통합 표본의 빈곤갭 은 7차 원표본의 빈곤갭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1차 소득을 제외한 시장소득, 총소득, 그리고 가처분소득 기준 빈곤갭의 차이는 1%p 미만이다.

가중치를 적용하는 경우 전술한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은 결과에 비해 빈곤갭의 수준 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7차 원표본에 비해 신규 가구 통합 표본 에서 빈곤갭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총소득과 가처분소득 기준 빈곤갭의 차이는 각 각 0.24%p, 0.27%p이다.

〔그림 8-3〕 빈곤갭의 비교(최저생계비 기준)

〈표 8-8〉 빈곤갭의 비교(FGT 지수, alpha=1)

구분

7차 원표본(A) 신규 가구 통합 표본(B) 차이(B-A) 가중치

미적용

가중치 적용(G)

가중치 미적용

가중치 적용(G)

가중치 미적용

가중치 적용(G)

1차 소득 17.12 8.98 19.07 11.71 1.95 2.73

시장소득 7.67 4.11 8.56 5.31 0.88 1.20

총소득 1.36 0.65 1.56 0.90 0.20 0.24

가처분소득 1.62 0.87 1.84 1.14 0.22 0.27

[그림 8-5]∼[그림 8-7]은 중위소득의 40%∼60%를 빈곤선으로 하여 7차 원표본과 B의 빈곤율을 추정한 결과이며, 구체적인 중위소득 금액은 <표 8-9>에 제시하였다. 우 선 [그림 8-5]는 각 소득 범주의 중위소득 40%를 기준으로 빈곤율을 추정한 것으로써 총소득을 제외하고 7차 원표본에 비해 신규 가구 통합 표본에서 빈곤율이 높게 추정되 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빈곤선을 중위소득의 50% 및 60%로 설정 한 경우도 유사하게 나타나며, 중위소득 대비 비중이 높아질수록 7차 원표본과 신규 가구 통합 표본의 차이가 높아지는 양상이다.

우선 신규 가구 통합 표본의 특징은 7차 원표본에 비해 소득이 낮은 가구가 표집 (sampling)되었다는 점이다(그림 8-4 참고). 1차소득을 기준으로 그림에서 실선은 7 차 원표본의 밀도함수이며, 점선은 신규 가구 통합 표본의 밀도함수를 나타내며, x축 에 직교하고 있는 실선(1,533.5만원)과 점선(1,411.2만원)은 각각 중위소득의 40%, 즉 빈곤선을 나타내고 있다. 상대빈곤율을 추정한 결과 7차 원표본(24.16%)에 비해 신 규 가구 통합 표본(25.54%)의 상대빈곤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두 가지 특징 에 의해 결정된다. 첫째, 7차 원표본의 분포를 기준으로 실선과 점선의 빈곤선 사이에 있는 면적은 추가표본에 의한 빈곤율의 감소부문(-0.97%p)이며, 둘째, 7차 원표본과 신규 가구 통합 표본에 점선의 빈곤선을 적용했을 경우 빈곤율의 차이는 증가부문 (2.35%p)으로 나타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표본(추가표본)에 의한 빈곤율의 변 화는 1.38%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림 8-4〕 7차 원표본과 신규 가구 통합 표본의 분포

〔그림 8-5〕 상대빈곤율의 비교(중위소득의 40% 기준)

〔그림 8-6〕 상대빈곤율의 비교(중위소득의 50% 기준)

〔그림 8-7〕 상대빈곤율의 비교(중위소득의 60% 기준)

〈표 8-9〉 빈곤율의 비교(상대빈곤) 구분7차 원표본(A)신규 가구 통합 표본(B)차이(B-A) 가중치미적용가중치적용(G)가중치미적용가중치적용(G)가중치미적용가중치적용(G) 중위소득 40%

1차 소득24.1616.6125.5419.2 1.382.59 빈곤선1,533.51,980.81,411.21,854.4 시장소득17.4812.6617.9314.91 0.452.25 빈곤선1,672.32,072.41,570.01,983.7 총소득8.957.428.848.78 -0.111.36 빈곤선1,852.02,220.41,761.42,127.6 가처분소득8.186.688.217.93 0.031.25 빈곤선1,746.72,060.51,666.21,982.9 중위소득 50%

1차 소득28.1920.6129.2723.52 1.082.92 빈곤선1,916.92,476.01,764.02,318.0 시장소득22.5817.2223.5719.73 0.992.51 빈곤선2,090.42,590.51,962.52,479.7 총소득15.3412.1716.314.14 0.971.98 빈곤선2,315.02,775.52,201.72,659.5 가처분소득14.5911.4915.1313.25 0.541.75 빈곤선2,183.42,575.62,082.72,478.6 중위소득 60%

1차 소득32.2725.8833.4927.96 1.232.07 빈곤선2,300.32,971.22,116.82,781.6 시장소득28.0122.7229.0225.02 1.012.3 빈곤선2,508.43,108.62,355.02,975.6 총소득22.2418.5623.2520.48 1.011.92 빈곤선2,778.13,330.62,642.03,191.4 가처분소득21.617.6322.319.62 0.71.99 빈곤선2,620.13,090.72,499.32,974.3

[그림 8-8]은 7차 원표본과 신규 가구 통합 표본을 활용하여 Watts 지수를 추정한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Watts 지수는 분포-민감적(distribution-sensitive) 빈곤 측 도로 평가되며(Kakwani and Silber, 2008),

   

[그림 8-9]는 7차 원표본과 신규 가구 통합 표본을 활용하여 Sen-Shorrocks-Thon

가능성, 셋째, 중위자산 대비 비율을 기준(빈곤선)으로 적용하였다7).

〈표 8-13〉 자산빈곤율(최저생계 유지 가능성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