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분석결과

2. 가구원 변수

가구원조사의 주요변수인 근로유형을 보면 신규표본이 원표본보다 근로능력이 있 음에도 미취업상태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다. 경제적 생활수준을 보면 가난하다고 응 답한 비율은 원표본에 비해 신규표본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신규표본의 소득 이 원표본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분포되어 있는 것과 관련된다.

5년 뒤 경제적 생활상태에 대한 물음에도 신규표본의 경우 가난할 것 이라고 응답 한 비율이 원표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전반적 만족도와도 연결되는 데 원표본의 경우 대체로 만족한다는 응답이 제일 높은 반면에, 신규표본의 경우 보통이 라고 응답한 비율이 제일 높았다.

제3절 소결

이 장에서는 복지패널의 원표본과 신규표본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가구 및 가구원 조사의 주요 변수에 대하여 명목변수는 상대빈도를, 연속변수는 밀도함수를 통해 두 표본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요약하면, 신규표본은 1차년도의 원표본과 동일한 표본추출설계에서 추출하였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원표본과 신규표본의 분포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분포에 대 한 동질성 분석결과에서는 성별, 주택, 재산 관련 변수와 경제적 생활이나 만족도에 대한 인식 변수에서 두 표본의 분포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차이를 보 이는 변수는 가구원수와 관련된 변수와 소득과 관련된 변수인데 이는 현재 남아있는 원표본과 원표본에서 탈락한 표본의 상대적 차이를 고려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앞 서 신규 표본추가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그 동안 한국복지패널 1~6 차에서 탈락한 표본의 경우 저소득가구 및 단독가구가 많았다. 이에 따라, 새롭게 추 가된 신규표본은 원표본보다 1~2인가구가 많았으며 단독가구의 비중이 다소 많았다.

이에 따라, 소득 관련 변수의 분포를 비교 분석한 결과, 신규표본의 소득이 원표본의 소득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규표본의 이러한 특성은 복지패널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인 저소득층의 복지수요 및 욕구를 반영하여 조사한다는 취지와 관련하여 그 동안 표본에서 탈락한 가구를 고려할 때 적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2).

요컨대, 복지패널 원표본에서 저소득과 단독가구의 탈락률이 높았었던 부분 을 신규표본으로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패널과 통합하여 분석할 때 표본의 대표성은 유지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2) 이러한 점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참고> 부분에서는 최초 원표본 가구 중 7차년도까지 남 아있는 가구와 2~6차 패널조사 과정 중 탈락한 가구로 구분하여 1차년도 데이터의 주요 변수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것은 현재 유지된 표본 vs. 현재까지 탈락한 표본에 대한 분석결과를 비교 하여 본문에서 제시한 7차 원표본과 신규 패널표본의 비교결과를 기초로, 신규 패널표본 가구와 원표본 중 현재까지 탈락한 가구가 주요 변수에 있어서 분포의 동질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 신규 패널 표본가구와 2~6차 패널 중 탈락한 표본가구의 동질성 비교

여기서는 한국복지패널 최초 원표본 가구 중에서 7차년도까지 남아있는 표본 유지 5,271가구(keep)와 2~6차 패널조사 과정 중 탈락했던 1,801가구(drop)로 구분하 여 1차년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 가능한 주요변수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한 결 과(명목변수의 상대빈도와 연속변수의 밀도함수 분포)를 참고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비교 분석의 목적은, 현재까지 유지된 표본(keep)과 현재까지 표본에서 탈 락한 가구(drop)의 분포에 대한 분석결과를 통해, 앞서 본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7차 원표본(original)과 신규 패널표본(new)에 대한 분석결과와 비교할 수 있도록 정보 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7차 원표본(original)과 표본 유지가구(keep) 사이 의 유사성을 매개로 하여 신규 패널표본 가구(new)와 원표본 중 현재까지 탈락한 가 구(drop) 간에 아래 표에 제시된 주요 분석변수에서 나타나는 분포의 동질성을 간접 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 가구원수 h0101_1 ∙ 가구형태 h0101_110

∙ 성별 h0101_4 ∙ 태어난 연도 h0101_5 # 혼인상태 h0101_11

∙ 근로능력 정도 h0103_2 ∙ 주된 경제활동 참여상태 h0103_4

∙ 주택유형 h0106_1 ∙ 주거의 점유형태 h0106_3

∙ 방수 h0106_4 ∙ 주거면적 h0106_5

∙ 주택가격 h0106_6 ∙ 총생활비 h0107_9

∙ 가처분소득 h01_din ∙ 경상소득 h01_cin

∙ 총재산 total_property_01 ∙ 순재산 net_property_01

주요 변수에 대해 ‘현재까지 유지된 표본(keep)과 현재까지 표본에서 탈락한 가구 (drop)’에 대한 분석결과를 위에 제시하고, 이어서 7차 원표본(original)과 신규 패 널표본(new)에 대한 동일한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한국복지패널 신규 표본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