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F.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대상자는 총 191명이며 평균 연령 28.90±5.36세로 30세 미만이 133명(69.6%)이었.으며 성별은 여성이 180명 (94.2%)이었다. 결혼여부는 미혼이 147명(77.0%)이었으며 종교는 무교가 127명 (66.5%)이었고 최종학력은 학사가 146명(82.7%)이었다. 임상 경력은 평균 6.14±5.56년으로 5년 미만이 116명(60.7%)이었으며 현 근무지 경력은 평균 4.22±3.82년으로 4년 미만이 128명(67.0%)이었다. 근무부서는 병동이 99명 (51.9%)이었으며 직위는 일반간호사 125명(65.4%)이었다. 이직경험이 없는 사 람이 156명(81.7%)이었으며 근무형태는 교대근무가 180명(94.2%)이었다.

특성 항목 실수 백분율 평균±표준편차

B.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 정도

1. 연구대상자의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 재직의도 정도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의 정도는 <표 2>와 같다.

먼저 재직의도는 총점 8점 만점에 평균 4.50±1.41점을 나타냈다. 직무배태성은 총점 5점 만점에 평균 3.15±0.41점이었으며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연계’가 평균 3.41±0.4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적합성’이 3.25±0.50점, ‘희생’

2.78±0.51점 순이었다. 직무만족도는 총점 5점 만점에 평균 2.79±0.38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점수는 ‘상호작용’이 3.21±0.4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자율성’

3.04±0.42점, ‘행정요구’ 2.89±0.56점, ‘보수’ 2.63±0.54점, ‘전문적 수준’ 2.51±0.61 점 순이었으며 ‘업무요구’가 2.47±0.74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변수 하위영역 문항수 평균±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범위

재직의도 6 4.50±1.41 1.00 8.00 1-8

직무배태성 18 3.15±0.41 1.89 4.24

적합성 8 3.25±0.50 1.50 4.63 1-5

연계 4 3.41±0.48 1.75 4.50 1-5

희생 6 2.78±0.51 1.33 4.33 1-5

직무만족도 29 2.79±0.38 1.90 3.90 1-5

보수 6 2.63±0.54 1.00 4.00 1-5

전문적수준 5 2.51±0.61 1.00 4.33 1-5

행정요구 8 2.89±0.56 1.00 4.40 1-5

자율성 3 3.04±0.42 1.88 4.13 1-5

업무요구 4 2.47±0.74 1.00 4.33 1-5

상호작용 3 3.21±0.46 1.75 4.50 1-5

<표 2>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 정도 (N=191)

2.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문항별 정도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문항별 정도는 <표 3>과 같다. 항목의 점수가 8점 에 가까울수록 재직의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반대로 1점에 가까울수록 재직의 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인 항목은 문항 1번 ‘나는 앞 으로 당분간 간호사를 계속 할 의향이 있다.’로 평균 5.14±1.65점을 보였다. 반 대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문항 6번 ‘나는 간호사 이외의 다른 직업 을 찾고 싶다.’로 평균 3.56±1.65점을 나타냈다.

문항 평균±표준편차 1. 나는 앞으로 당분간 간호사를 계속 할 의향이 있다. 5.14±1.65

2. 나는 가능한 오래 간호사로 일 할 것이다. 4.32±1.87

3. 나는 머지않아 간호사를 그만 둘 계획이다. * 4.62±1.63

4. 나는 간호사로 계속 일하고 싶다. 4.23±1.72

5. 나는 당분간 간호사로서 계속 일 할 것이다. 5.10±1.57

6. 나는 간호사 이외의 다른 직업을 찾고 싶다. * 3.56±1.65

총 평균 평점 4.50±1.41

<표 3>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문항별 정도 (N=191)

* 역환산문항

3. 연구대상자의 직무배태성 문항별 정도

연구대상자의 직무배태성 문항별 정도는 <표 4>와 같다. 항목의 점수가 5 점에 가까울수록 직무배태성이 높음을 의미하며, 반대로 1점에 가까울수록 직 무배태성이 낮음을 의미한다.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인 항목은 문항 9번 ‘나 는 여러 부서와 관련되어 일을 한다.’로 평균 3.78±0.79점을 보였다. 반대로 가 장 낮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문항 14번 ‘이 병원에서는 승진할 기회가 많다.’로 평균 2.54±0.69점을 나타냈다.

문항 평균±표준편차

1. 나는 내가 속한 부서의 구성원들을 좋아한다. 3.68±0.63

2. 나의 업무는 내가 가진 기술과 재능들을 잘 활용할 수 있다. 3.50±0.59 3. 나는 현재 근무하고 있는 병원과 잘 맞는다고 생각한다. 3.20±0.76

4. 나의 동료들은 나와 비슷하다. 3.34±0.74

5. 이 병원이 나에게 주는 권한과 책임에 만족한다. 3.07±0.71

6. 이 병원에서 일하면서 나는 나의 직업적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 3.15±0.74

7. 나는 나의 직업적 성장과 발전에 만족한다. 3.12±0.80

8. 나의 가치관과 이 병원이 추구하는 가치관은 잘 맞는다. 2.95±0.67

9. 나는 여러 부서와 관련되어 일을 한다. 3.78±0.79

10. 나의 동료들은 나에게 의존하고 있다. 3.09±0.66

11. 나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동료의 수는 많다. 3.22±0.69

12. 나의 동료들과 정기적으로 상호작용한다. 3.53±0.63

13. 나는 이 병원을 떠난다면 많은 것을 희생하게 될 것이다. 2.55±0.79

14. 이 병원에서는 승진할 기회가 많다. 2.54±0.69

15. 나는 이 병원에서 내가 원한다면 정년까지 일할 수 있다. 2.99±1.03 16. 나의 일은 나의 목표를 어떻게 추구해 갈지 결정하는데 많은

자유를 준다. 2.73±0.73

17. 이 병원이 제공하는 비금전적(복지, 휴가 등)혜택은 우수하다. 2.66±0.80 18. 나는 직장 동료들이 나를 많이 존중한다고 느낀다. 3.23±0.69

총 평균 평점 3.15±0.41

<표 4> 연구대상자의 직무배태성 문항별 정도 (N=191)

4.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도 문항별 정도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도 문항별 정도는 <표 5>와 같다. 항목의 점수가 5 점에 가까울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반대로 1점에 가까울수록 직 무만족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인 항목은 문항 22번 “나는 선임 간호사로부터 필요이 상으로 지나친 감독을 받고 있다”로 평균 3.60±0.65점을 보였다. 반대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문항 9번 “나는 다른 직장에서 더 좋은 보수를 받더라도 이 병 원의 근무조건 때문에 옮기지 않을 것이다“로 평균 2.05±0.86점을 나타냈다.

문항 평균±표준편차

1. 내 직업의 급여 인상률은 만족스럽다. 2.60±0.81

2. 일반적으로 내 직업에 기대하는 업무를 고려할 때 현재의 내가 받

는 급여는 만족스럽다. 2.55±0.82

3. 승진에 따른 급여 차이가 충분하지가 않다.* 2.74±0.74

4. 우리 병원의 급여체계는 적당하고 합리적이다. 2.72±0.73

5. 간호사가 적절한 급여를 받기 위해 병원 급여체계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 2.40±0.80

6. 급여 정책에 공정성이 부족하다.* 2.79±0.77

7. 나의 업무를 통해 지적인 자극과 만족을 얻는다고 생각한다. 3.20±0.69

8. 나는 다시 직업을 갖는다 해도 이 직업을 가질 것이다. 2.29±0.94 9. 나는 다른 직장에서 더 좋은 보수를 받더라도 이 병원의 근무조건

때문에 옮기지 않을 것이다. 2.05±0.86

10. 나의 업무를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것이 자랑스럽다. 3.27±0.74

11. 현재 내게 맡겨진 업무에 만족한다. 3.07±0.75

12. 나는 행정적인 의사결정에 참여할 기회가 많다. 2.51±0.81

13. 나는 수간호사 이상의 상급자와 업무상 문제점에 대해 의논한다. 2.70±0.95 14. 업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병원의 행정업무가 체계화 되어

있다. 2.88±0.76

15. 병원의 정책을 계획 또는 수행 시 나의 의견을 반영한다. 2.52±0.82

16. 나의 직업에서 승진의 기회가 많다. 2.47±0.70

<표 5>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도 문항별 정도 (N=191)

* 역환산문항

문항 평균±표준편차

17. 나의 업무는 조직적으로 되어 있다. 3.27±0.73

18. 우리 병원은 직원 전체의 복지에 대해서 많은 배려를 하고 있다. 2.70±0.77 19. 나는 때때로 나의 전문적 판단과 반대되는 업무를 하도록

지시받는다.* 3.36±0.78

20. 상사들로부터 지시사항이 일치하지 않아 업무에 혼동을 일으키게

한다.* 3.34±0.71

21. 병원 내 간호행정과 실제 아는 업무에 있어서 생기는 문제들 간에

는 큰 차이가 있다. * 3.09±0.77

22. 나는 선임 간호사로부터 필요이상으로 지나친 감독을 받고 있다.* 3.60±0.65

23. 환자를 돌보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한다.* 2.51±1.02

24. 나의 업무시간은 다른 직업과 비교해서 적당하다. 2.23±0.88

25. 나는 행정업무나 사소한 일이 많아서 환자 간호에 지장이 있다.* 2.67±0.93 26. 내가 일하는 간호단위에서는 수간호사나 진료 보조원의 협동이 잘

이루어진다. 3.20±0.74

27. 내가 일하는 간호단위의 동료들은 가족같이 서로 이해하며 잘

지낸다. 3.18±0.70

28. 우리 간호사들은 엄격한 직급구분으로 다른 직종의 사람과 어울리

지 않는다.* 3.53±0.76

29. 간호 제공 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동료나 타 전문직 종사자와

의논할 기회가 많다. 2.94±0.74

총 평균 평점 2.79±0.38

* 역환산문항

C.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의 차이는 <표 6>과 같다. 임상 경력(F=4.45 p=.005), 현 부서경력(F=4.08, p=.018), 직위(t=-3.27, p=.001), 이직 경험(t=2.19, p=.030)에 따른 재직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임상경력은 사후검증 결과 ‘10년 이상 15년 미만’이 ‘5년 미만’보다 재직의도 정 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위는 책임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 재직의도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이직경험은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가 재직의도 정도가 유의 하게 높았다. 현 부서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사후분석 결과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 른 직무배태성을 추가 분석한 결과 임상경력에 따른 직무배태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F=3.81 p=.011) 사후검증결과 ‘10년 이상 15년 미만’

이 ‘5년 미만’과 ‘5년 이상 10년 미만’보다 직무배태성이 유의하게 높았다<부록 표 6-1>.

특성 항목 실수 평균±표준편차 t/F(p) Scheffe

재직의도 r(p)

직무배태성 r(p)

직무만족도 r(p)

재직의도 1

직무배태성

.457(<.001) 1 직무만족도

.495(<.001) .654(<.001) 1

D.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의 관계

1. 대상자의 재직의도, 무배태성,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표 7>과 같다. 재직의도와 직무배태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457, p<.001) 재직의도와 직무만족도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 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95, p<.001).

<표 7>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 계 (N=191)

2. 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 하위영역 간의 관계

연구 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 하위범주 간의 상관관계는

<표 8>과 같다. 대부분의 하위영역들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직무배 태성과 직무만족도 하위영역 간에서 직무배태성 연계 영역과 직무만족도 보수 영역(r=.044, p=.544) 및 업무요구 영역(r=.056, p=.44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 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하위영역들은 모두 양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배태성 하위영역, 직무만족도 하위영역과 재직의도 간의 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 무배태성 하위영역 중 적합성이 재직의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표 8>과 같다. 대부분의 하위영역들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직무배 태성과 직무만족도 하위영역 간에서 직무배태성 연계 영역과 직무만족도 보수 영역(r=.044, p=.544) 및 업무요구 영역(r=.056, p=.44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 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하위영역들은 모두 양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배태성 하위영역, 직무만족도 하위영역과 재직의도 간의 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 무배태성 하위영역 중 적합성이 재직의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