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D.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의 관계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과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재직의도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제도 및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 구이다.

경기도 S시에 소재한 일개 상급대학병원에 근무 중인 임상 간호사 191명 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재직의도 평균평점은 총점 8점 만점에 평균 4.50점 이었다. 직무배태성의 평균평점은 총점 5점 만점에 평균 3.15점이었으며 하위영 역별 점수 분석 결과 ‘연계’가 평균 3.4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희생’이 2.78점 으로 가장 낮았다. 직무만족도의 평균평점은 총점 5점 만점에 평균 2.79점이었 고 하위영역별 점수는 ‘상호작용’이 3.2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업무요구’가 2.47 점으로 가장 낮았다. 재직의도는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직의도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직무 만족도, 직무배태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직의도는 이직경험(더미변수 ‘이직 경험 무’ 기준)이 있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모형에 대한 총 설명력 은 32.9%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결과는 일개 대학병원의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로 병원 간호사 전체에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관의 병원 간호 사를 대상으로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2. 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해 직무배태성과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 한 전략과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제언한다.

참 고 문 헌

곽영기(2014).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 감성지능, 건강증진행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초당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라남도.

권경자, 주민선, 김정아(2009).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이 간호업무수행, 직무 만족 및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5(2), 182-192.

권은경, 이은자(2017). 간호사의 국제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식, 간호업무성과, 자아개념 및 재직의도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3(2), 118-126.

김동숙(2010). 낮번·초번 고정근무와 3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비교.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미란, 서문경애(2013). 병원간호사의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2(2), 93-101.

김민정(2006).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사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선화(2016). 임상간호사의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라북도.

김순이(2018).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극복력이 재직 의도에 미치 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라북도.

김양신(2018). 상급초보 간호사의 재직의도 영향요인. 한국산학 기술학회 논문 지 19(4), 221-228.

김윤숙, 류세앙(2016). 중소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 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2(2), 158-166.

김윤희(2019). 간호사의 전문직관, 팀워크, 조직문화와 재직의도의 관계. 경희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은희, 이은주, 최효진(2012).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 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지, 18(4), 394-401

김인숙, 장금성, 이명하. 하나선, 홍윤미, 이태화, 김정숙, 강정화(2015). 최신 간호관리학(개정 4판). 서울: 현문사.

김종경, 김명자, 김세영, 유미, 이경아(2014). 종합병원의 간호업무환경이 간호 사의 직무배태성,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0(1), 69-81.

김지나(2018).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문수진(2020).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조직문화가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기도,

박보현, 김세영(2018). 생존분석을 활용한 한국 간호사들의 병원이직률. 한국 간호과학회, 2018(10), 268-268.

박선민(2015). 호남지역 2차 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소진, 이직의도 관련 요 인.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박선희, 이태화(2018). 국내 병원간호사의 재직 영향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4(2), 139-148.

박은정(2018). 일개 대학병원 임상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전 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박은화(2017).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동료신뢰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상남도.

박정혜(2002). 임상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연 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박진옥, 정귀임(2016). 상급초보 간호사의 소명의식,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재 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2(2), 137-147.

배옥연(2015). 병원간호사의 경력정체가 이직충동 및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배은주, 김가영(2018). 중소병원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11), 662-671.

백기령(2016). 병원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직무착근도, 간호조직문화가 재직의 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백아름(2016). 병원간호사가 인식한 건강한 업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 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변성원, 하영옥(2019).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감정노동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8(2), 104-113.

보건복지부(2018). 국민보건의료 실태조사. www.mohw.go.kr

복선임(2015). 임상간호사의 직장내 괴롭힘, 자기효능감, 재직의도 간의 관계 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손소영, 최정실(2015).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7(2), 180-187.

양영옥(2012). 김해시 병원간호사의 탄력적 근무에 대한 인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1), 259-270.

오은주, 정경숙(2019). 일 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간호조직문화, 감정소 진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7), 467-477.

유인순(2014). 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권순(2018). 간호사의 팔로워십 유형, 자아탄력성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 향. 임상간호연구, 24(2), 127-136.

이소정, 우혜종(2015). 간호사의 직무 배태성, 감성지능, 사회적지지,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1(1), 32-42.

이연복, 이혜경(2015). 병원간호사의 역할갈등 및 갈등관리 유형. 스트레스硏 究, 23(3), 147-158.

이윤신, 박성희, 김종경(2014).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대인관 계, 대학생활 만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6), 229-240.

이은희, 조경숙, 손행미(2014). 병원간호사의 재직의도. 임상간호연구, 20(1), 15-27.

이종현, 신강현, 백승근, 허창구(2014). 이직연구에서 직무배태성 개념의 유효 성: 메타분석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4), 743-782.

이태화, 강경화, 고유경, 조성현, 김은영(2014). 국내외 간호사 인력정책의 현 황과 과제. 간호행정학회지, 20(1), 106-116.

임지영, 신정애, 김슬기, 이은미, & 김선희(2019).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상관 분석을 이용한 간호사 재직의도 영향요인 문헌고찰. 가정간호학회지, 26(3), 265-277.

전미경, 한수정(2019). 간호사가 지각하는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사회적지지 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5), 532-541.

전재희, 염영희(2014).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서 임파워먼트와 감성지능의 역할. 간호행정학회지, 20(3), 302-312.

정일희(2011). 간호사의 직무특성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가톨 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기도.

제민지, 손현미, 김동희(2017).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근무환경 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9(1), 527-541

최숙영, 이미애(2018). 병원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4(3), 234-244.

최지윤(2012). 내부고객의 직무만족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최현진, 이선옥(2018). 임상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업무환경, 직무만족도 및 조 직몰입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2(3), 27-39.

최혜원(2016).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심리적 자본이 직무 배태성에 미 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현윤실(2017). 임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 관련 요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서울.

Alameddine, M., Bauer, J. M., Richter, M., & Sousa-Poza, A. (2016). Trends in job satisfaction among German nurses from 1990 to 2012.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21(2), 101-108.

Amiresmaili, M., & Moosazadeh, M. (2013). Determining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hospitals of Ira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18(5), 343.

Atiyeh, H. M., & AbuAlRub, R. F. (2017). The relationship of trust and intent to stay among registered nurses at Jordanian hospitals. In Nursing forum, 52(4), 266-277.

Beecroft, P. C., Dorey, F., & Wenten, M. (2008). Turnover intention in new

graduate nurses: a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41-52.

Chan, Z. C., Tam, W. S., Lung, M. K., Wong, W. Y., & Chau, C. W. (2013).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nurse shortage and the intention to leav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1(4), 605-613.

Chen, M. F., Ho, C. H., Lin, C. F., Chung, M. H., Chao, W. C., Chou, H. L.,

& Li, C. K. (2016). Organisation‐based self‐esteem mediate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n intention to stay in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4(1), 88-96.

Christmas, K. (2008). How work environment impacts retention. Nursing Economics, 26(5), 316.

Cohen, J. D. (2006). The aging nursing workforce: How to retain experienced nurses. Journal of healthcare management, 51(4).

Cowden, T. L., & Cummings, G. G. (2012). Nursing theory and concept development: a theoretical model of clinical nurses’ intentions to stay in their current position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8(7),

1646-1657.

Cowin, L. (2002). The effects of nurse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n: an Australian perspective. JONA: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2(5), 283-291.

Dawson, A. J., Stasa, H., Roche, M. A., Homer, C. S., & Duffield, C. (2014).

Nursing churn and turnover in Australian hospitals: nurses

perceptions and suggestions for supportive strategies. BMC nursing,

13(1), 11.

Dechawatanapaisal, D. (2018). Nurses' turnover intention: The impact of leader‐member exchang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job embeddedn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4(6), 1380-1391.

Eltaybani, S., Noguchi-Watanabe, M., Igarashi, A., Saito, Y., &

Eltaybani, S., Noguchi-Watanabe, M., Igarashi, A., Saito, Y., &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