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흥시장 유형별 현황

2.1. 성장잠재근린형 시장(중국)

표 5-2. 중국시장 농식품 수출 현황

단위: 천 달러

품목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합계 231,164.8 259,452.1 294,594.0 349,125.5 419,492.1 556,137.4 자당 36,829.7 51,463.2 53,942.6 49,756.7 56,484.6 96,620.8

펄프 0.0 0.0 0.0 47.8 42,778.0 47,912.1

커피조제품 13,439.9 13,409.0 15,954.1 14,457.0 26,551.2 43,196.4 라면 12,566.4 14,936.3 24,868.4 29,083.0 32,118.5 28,349.4 혼합조제식료품 12.1 0.0 2.6 19,654.5 18,678.2 24,364.1 난초 13,882.8 9,697.9 21,809.5 23,065.0 14,113.5 18,319.1 기타베이커리제품 1,111.6 7,548.9 8,256.9 11,277.3 14,182.5 17,900.9 기타음료 2,109.5 3,028.8 7,338.8 9,218.2 16,329.7 17,439.8 밤 20,720.1 19,380.2 16,658.9 15,049.6 15,604.8 16,643.3 대두유 49.1 39.5 105.3 581.5 4,316.8 16,228.8 유자차 0.0 0.0 5,626.6 9,770.9 9,498.8 13,904.4 단일과실조제품 2,640.9 4,302.4 4,256.1 6,339.8 8,035.0 12,112.3 홍삼 4,133.0 5,511.6 2,751.8 2,049.5 5,074.3 11,293.4 기타임산물 5,296.5 6,638.1 5,897.4 6,367.2 4,910.8 10,218.1 혼합조미료 2,185.0 1,900.2 2,092.3 4,239.9 6,741.5 10,162.8 인스탄트면 2,294.0 7,380.6 3,870.9 5,503.1 5,821.6 8,559.3 조제분유 1,327.7 1,371.2 1,471.4 2,988.8 4,670.5 7,880.5 캔디 3,930.9 5,920.1 7,192.3 5,291.2 5,710.9 7,639.3 탈지분유 1.1 204.6 255.3 432.9 3,320.6 7,610.2 궐련 6,762.8 5,135.5 6,719.5 7,860.5 9,083.4 7,290.0 비스킷 18,329.4 13,062.6 9,583.5 7,722.2 5,992.4 7,035.7 곡류조제품 7,693.0 8,652.4 9,399.3 5,651.2 6,200.1 6,460.0 팽이버섯 45.0 228.0 44.5 4,053.0 9,319.7 6,453.0 기타소스제품 1,386.3 3,922.9 5,388.8 4,856.8 2,766.9 5,740.8 소주 2,430.3 3,913.0 6,530.9 7,590.3 4,958.8 4,979.8 초콜릿 460.7 1,428.9 2,704.3 1,791.9 3,743.4 4,879.3 채소종자 3,420.4 3,029.5 2,949.2 2,927.6 2,966.9 4,015.6 기타식물성점질물 454.2 584.3 580.6 606.0 1,861.4 3,972.1

쇠고기 0.0 4.3 10.5 24.9 4,417.8 3,758.5

맥주 1,781.5 1,747.6 1,984.3 3,410.4 2,792.7 3,115.2

2.1.1. 시장 개황

개혁개방 이후 중국 경제가 장기간에 걸쳐 고속성장하면서 소비자의 소 득수준도 높아져 중국의 소비시장 규모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중국은 현 재 ‘세계의 공장’으로부터 ‘세계의 시장’으로 변모하고 있는 중이다. 특히 구매력을 갖춘 소비계층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녹색소비 트 렌드도 형성되고 있다. 식품소비에서도 고품질 안전식품(친환경농식품)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깝고 한 국산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강하며 한류의 영향력 또한 큰 중국시장을 내수시장화하는 전략하에 우리의 고품질 농식품 수출을 확 대할 필요가 있다.

1992년 한 중 수교 이후 대중국 농식품 수출액은 1992년 5백만 달러에 서 2010년 5억 6천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하였다. 특히 중국이 WTO에 가 입한 이후 수출 증가 추세가 이전에 비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 라의 농식품 수출에서 중국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2년 0.7%에 불과했 으나 2010년 12.2%로 크게 증가하였다. 중국은 2007년 이후 미국을 제치 고 우리나라의 제2의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하지만 2010년 중국의 농 산물 수입액(719.2억 달러)에서 한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0.65%에 불과 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대중국 농산물 수출이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 원료농산물 을 수입하여 가공한 가공식품류 수출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국내 농산물과 의 연계가 부족하다는 점이 커다란 특징이다. 2008/10년(3개년 평균) 대중 국 수출 농산물를 품목류별로 구분해보면 과실류, 축산물, 채소류, 식량작 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0%, 5.0%, 1.7%, 0.6%로 미미하고 기타 가 공농산품류가 86.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출구조에서 는 대중국 농산물 수출이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생산농가의 소득증 대로 귀결되지 않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대중국 농산물 수출구조가 가공농산품 위주로 형성된 것은 양국이 동식물검역조치를 통해 신선과채 류, 신선과실류, 신선육류의 수출입을 제한하고 있는 것도 중요한 원인 가

운데 하나이다.

2008/10년(3년 평균) 대중국 수출액이 백만 달러 이상인 상위 40개 품목 중 난초(5위), 유자(8위), 팽이버섯(15위), 홍삼(17위) 정도가 우리농업과 직 접적으로 연계된 품목이다. 특히 유자는 비교적 최근인 2007년 이후 중국 시장 수출액이 5.6백만 달러에서 2010년 13.9백만 달러로 지속적으로 증가 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유자 수출에서 중국시장은 신흥시장이자 주력 시장으로서 위상을 지니고 있으며 품질경쟁력을 토대로 중국내수시장을 확대하는 데 유망한 품목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소비자들의 소득이 증가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당분, 첨가 제, 방부제 등 신체에 유해한 성분을 제거한 저칼로리 천연음료, 기능성 음 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중국 내 천연음료 시장은 연평균 15∼20%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차음료 시장은 연평균 30%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TRA).

1992년 한 중 수교 이후 대중국 농식품 수출액은 1992년 5백만 달러에 서 2010년 5억 6천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하였다. 특히 중국이 WTO에 가 입한 이후 수출 증가 추세가 이전에 비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 라의 농식품 수출에서 중국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2년 0.7%에 불과했 으나 2010년 12.2%로 크게 증가하였다. 중국은 2007년 이후 미국을 제치 고 우리나라의 제2의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하지만 2010년 중국의 농 산물 수입액(719.2억 달러)에서 한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0.65%에 불과 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다.

2.1.2. 유자차 시장 동향

한국산 유자차는 2003년에 처음 중화권시장에 진출했으며, 중국산에 비 해 풍부한 영양소와 독특한 향기, 맛 등으로 중국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 소 비자 선호도가 높다. 중국에서 생산되는 유자는 한국과 달리 한약재 또는 생식용 유자이며 품종이 50여 가지에 이른다. 중국의 유자 주요 재배지역은 복건성, 강서성, 광동성, 광서장족자치구, 호남성, 절강성, 사천성 등이다. 복

건성은 유자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생산량은 약 78만 톤이다. 2010 년 중국의 주요 유자 수입국은 미국, 브라질, 코스타리카, 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멕시코 등이다. 중국의 주요 유자 수입 해관은 상해시, 광동성, 천진 시, 절강성, 복건성 순이다. 중국의 유자 수입 관세율은 유자(HS 20083010) 의 경우 수입관세율이 15%, 부가세 17%이며, 기타(HS 20083090)의 경우 각각 5%, 17%이다.

현재 중국시장에서 판매되는 유자차는 대부분 한국산과 중국산이다. 한 국산이 현지 생산제품보다 약 50% 내외 비싼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한국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한국산 유자차는 1kg, 860g, 580g, 550g 등 다양한 규격이 유통되고 있다. 한국산 유자차는 주로 심양, 광주, 상해 등 주요 지역의 식품무역상을 통해 중국시 장에 유통되고 있으며 대형유통매장, 슈퍼마켓, 편의점, 온라인 쇼핑몰 등 에서 판매되고 있다. 유자차 주요 소비지역은 북경, 상해, 광주, 무한, 청도, 심양, 시안 등이며 주로 유통되고 있는 한국산 유자차 브랜드는 한국농협, 전남, 국제 등이다.

한국산 유자차는 대부분 수입바이어를 통해 대형유통매장으로 직접 납 품되거나 지역 대리상을 통해 해당지역 소매점으로 유통된다. 한국기업이 현지에서 생산한 제품도 생산업체가 직접 대형유통매장에 납품하거나 지 역 대리상을 통해 유통하고있다. 한국 유자차가 중국에서 인기를 끌면서 중국 유자 가공제품 시장이 활성화되었으며 많은 로컬 식품제조사가 유자 차를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중국 유자차 제조 업체는 넓은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는 대규모 식품제조업체, 첨가제 제조업 체로 한국산 수입제품보다 쉽게 대형유통매장이나 슈퍼마켓 등에 납품되 고 있으며 인건비 등 원가 절감으로 가격 또한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많은 테이크아웃 카페에서 한국 유자차 음료를 메뉴로 취 급하는 추세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한국산 유자차에 대한 수요 증가로 유자차 시장이 더욱 커지고 있지만 한국기업의 중국 현지생산 및 주문자상표 부착방식(OEM) 생산, 국내 수출업체 간 과당경쟁 등으로 한국산 유자차에 대한 시장의 신

뢰도 하락이 최대의 문제점으로 부상하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 다. 특히 한국산 유자청을 사용하여 한국 기업이 현지에서 생산하는 제품 의 경우 품질이 한국산에 비해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가격에 대형유통 매장(까르푸, 월마트 등)에서 독립적인 매대를 운영하는 등의 적극적인 마 케팅을 실시하여 한국산과 실질적인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이러 한 제품들은 중국산 소비자들이 한국산 직수입 제품으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아 시장교란 및 과당경쟁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중국의 수입바이어들의 판단에 의하면 한국산 유자차가 중국산 유자차 보다 향이 짙고 맛이 깊으며 영양소가 더 풍부한 장점이 있어 높은 가격에 도 불구하고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산 제품을 더욱 선호하고 있어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한국산 유자차에 대한 소 비자의 인지도 및 선호도는 명확하나 개별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는 없어 현 지에서 생산하는 유자차와 혼동을 유발하는 사례가 빈번하여 차별화에 어 려움이 있다. 또한 현지 생산제품은 소비자와 대형유통매장의 요구에 맞춰 규격을 다양화할 수 있으나 한국산은 한국 내수용 제품을 그대로 수출하는 사례가 많아 현지시자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점 차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중국 유자차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내 수출업체간 과당경쟁을 지양하고 브랜드화를 통해 중국산 제품이나 현지생산 제품과의 차별화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품의 규격과 맛 등 중국 소비자의 니즈(needs)를 좀 더 세밀하게 파 악하는 작업을 선행하여 중국시장을 더욱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품목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합계 203,842.9 207,473.0 239,484.6 286,309.4 221,608.5 229,494.5 커피조제품 40,543.6 38,929.4 56,291.1 53,215.3 51,077.7 48,497.2 궐련 21,973.1 49,206.0 39,097.9 57,371.9 53,067.2 44,835.5 마요네즈 29,580.2 27,971.8 30,517.0 42,670.0 30,628.0 32,112.9 혼합조제식료품 6.7 1.0 1.1 11,350.8 20,442.9 22,242.2 물 3,894.4 5,868.6 7,756.8 9,385.2 7,042.1 11,095.1 우유조제품 10,123.7 7,938.1 8,836.2 11,050.0 6,201.5 9,349.4 빵 2,929.9 2,245.5 4,984.2 6,063.0 5,929.0 7,353.1 단일과실조제품 5,965.0 6,497.3 5,944.0 7,046.6 4,292.0 6,300.1 라면 20,785.5 3,179.4 4,796.6 6,261.5 6,189.9 6,162.0 곡류조제품 10,940.5 9,128.6 8,467.8 6,356.9 4,608.9 5,807.0 육류수프 347.8 7,813.0 6,667.2 8,591.0 7,029.5 4,102.8 대두유 3,228.2 2,557.4 4,033.7 16,607.9 3,574.4 3,943.0 기타음료 8.2 61.5 968.0 2,118.8 1,696.7 3,108.9 간장 1,886.9 2,475.2 1,393.0 2,073.1 2,258.5 2,619.4 비스킷 679.1 1,314.8 4,881.6 2,619.7 2,124.7 2,477.9

잎담배 0.0 869.0 1,623.6 0.0 3.9 2,200.9

기타조제식료품 289.0 792.1 2,079.2 2,561.7 1,349.1 1,815.4 섬유판 1,727.6 2,024.2 2,761.4 2,776.0 1,610.4 1,646.7 토마토 123.5 202.5 320.1 767.2 605.1 1,045.8

수프브로드 4.0 2.0 0.0 103.8 169.4 1,042.9

균질화담배 0.0 0.0 0.0 350.4 0.0 927.3

감귤 173.1 1,449.0 1,735.9 1,083.6 1,382.7 883.3 기타소오스제품 377.1 4,626.5 6,238.0 5,564.3 2,281.5 774.2

기타과실 70.1 79.8 87.0 406.4 631.1 713.2

기타베이커리제품 169.6 58.8 108.6 115.1 245.4 599.5 기타식물성점질물 706.2 888.6 858.5 1,250.5 431.8 524.1 채소주스 56.2 219.7 762.5 1,891.1 437.6 484.5 초콜릿 1,780.5 2,072.1 1,760.5 318.1 269.3 387.3 기타단백질농축물 105.6 36.8 2.8 55.0 0.0 373.4 혼합조미료 88.5 72.1 155.2 223.8 250.3 364.6

2.2. 성장잠재원거리형 시장(러시아)

표 5-3. 러시아시장 농식품 수출 현황

단위: 천 달러

2.2.1. 시장 개황

러시아는 2010년 인구 약 1억 4,200만명, GDP 1조 5,131억 달러로 1인 당 14,671달러에 달하며 최근 3.8%의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신흥시장

러시아는 2010년 인구 약 1억 4,200만명, GDP 1조 5,131억 달러로 1인 당 14,671달러에 달하며 최근 3.8%의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신흥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