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식품 수출 구조 변화와 요인

2. 수출구조의 특징과 변화 요인

2.1. 신선농산물 및 가공식품 수출 특징

○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기존의 신선농산물 중심에서 연초류와 과자·주류, 면류, 커피류 등으로 재편되는 과정에 있어 가공품 수출 비중이 대략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소, 과일, 화훼 등 신선 원예작물의 수출 절대액은 지 속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김치, 파프리카, 사과, 배, 단감, 장미, 국화, 백합 등 주력 수출품목은 여전히 수출 효자 품목으로 자리잡고 있음.

○ 그러나 일부 부류에서는 주력 수출 품목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데, 대표적 인 품목이 딸기, 백합 등임.

- 딸기는 수출 실적이 많았던 신선채소 품목이지만, 로열티 지불 문제로 수출이 감소하였는데 국내품종의 보급비율이 크게 확대되면서 수출이 최근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임.

- 백합은 국내품종 개발과 구근의 국산화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어 향후에 도 수출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음.9

9 2012년부터 10년간 추진될 정부의 Golden Seed 프로젝트 가운데 백합이 포함되어 있어 구근 자립화를 위한 기반 마련은 물론, 향후 국내 구근 이용률도 향상될 것으 로 기대되고 있음.

- 반면, 신선채소의 대표적인 수출 품목이었던 토마토는 2000년대 중반부 터 이른바 웰빙 붐의 영향으로 국내가격이 급등하면서 수출은 크게 감소 하였음.

○ 이와 같이 기존 주력 품목들의 수출 증가 추세 속에서 고소득 품목으로 인 식되고 있는 파프리카의 수출은 더욱 확대되어 대표적인 신선채소 수출품 목이 토마토에서 파프리카로 전환되었음.

- 특히, 파프리카는 거의 전량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일본 시장에서 한국산 파프리카의 시장점유율은 2000년 19.6%에서 2011년 63.5%로 크게 확대되었음.

그림 2-3. 일본시장에서 한국산 파프리카의 비중

자료: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 과일은 사과 배 중심에서 최근 단감 수출이 눈에 띠게 성장하고 있으며, 화 훼도 주요 수출 품목이 장미 중심에서 백합으로 이동하는 등 수출구조가 변 화하고 있음.

○ 또한, 농식품의 일본시장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점차 완화되고 있는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

- 일본은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 패턴도 유사하여 전 통적인 주요 수출국이나, 최근 대중국 수출이 크게 증가하여 향후 우리

나라의 중요한 수출대상국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음.

- 더욱이 싱가포르, 홍콩 등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신선농산물 수출이 확대 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러시아도 꾸준한 물량이 수출되고 있어 노력 여하에 따라서는 수출 확대가 충분함.

- 이와 같이 수출 대상국이 일본 중심에서 점차 다양한 국가로 확대되는 구조로 변화 중임.

2.2. 구조변화 요인

○ 수출구조가 변모하게 된 주요 요인으로는 첫째, 고소득 품목의 새로운 등장 을 들 수 있음.

- 파프리카와 여름딸기가 타 품목에 비해 고소득 품목으로 부상함에 따라 재배농가 수가 확대되어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이들 품목의 수출실적 확 대로 신선채소 수출비중이 높아지게 되었음.10

○ 둘째, 국내시장 가격 변동과 수출국 내에서의 경쟁 심화가 주요 요인 중의 하나임.

- 대표적인 수출품목인 토마토는 건강 중심의 소비자 구매행태 변화로 국 내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내수 판매로 전환하는 농가가 많아 수출실적 이 급격히 감소하였음.

- 반면, 파프리카는 수출지향적 품목으로 각광받으면서 주요 수출품목으 로 변화되었음.

○ 셋째, 육종·재배기술 등의 향상이 수출구조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10 파프리카 재배면적은 2000년 110ha에서 2005년 249ha, 2011년 429ha로 2000년 대 4배 정도 급증하는 등 연평균 15.7%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음.

작용하였음.

- 딸기의 경우 육종 기술 향상으로 ‘매향’, ‘설향’, ‘금향’ 등과 같은 국내품 종의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로열티 지급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여름딸 기 재배기술 발달로 하계의 대일본 수출물량이 크게 확대되었음.

○ 넷째, 리스크 분산을 위해 수출국 다변화 노력을 기울인 결과 수출국이 과 거에 비해 다양해지는 결과를 낳았음.

- 국내 수출업체 간 과당경쟁, 중국, 아프리카, 남미 등 저가 수출국과 경 쟁력 저위, 주요 수출국 경제 상황에 따른 가격의 민감한 반응 등으로 수출국 다변화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대일본 수출 의존도가 점차 감소하 고 있음.

- 특히, 동남아시아는 이른바 한류 열풍 영향으로 한국산 농식품의 수출 실적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신흥 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음.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