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성격, 사회인지요인과 진로탐색의도의 관계

II. 이론적 배경

5. 성격, 사회인지요인과 진로탐색의도의 관계

가. 성격(성실성, 외향성, 개방성)과 사회인지요인(진로학습경험, 진로결 정자기효능감)의 관계

1) 성격(성실성, 외향성, 개방성)과 진로학습경험의 관계

진로자기관리 모형에 따르면 성실성 및 개방성은 목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는데, Ireland & Lent(2018)에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근원인 진로학습경험을 모형에 투입하면서 성실성, 외향성 및 신경증이 진로학 습경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 결과기대 및 진로탐색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Ireland & Lent(2018)연구에서는 진로학습경험의 5개의 하위구인 별로 변인을 설정하여 모형에 투입하여 검증하였는데, 이 연구에 따르면 성실성 은 성공경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36, p<.05)을 미치고, 언어적 격려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29, p<.05)을 미친다. 또한 성실성은 대리학습에 정 적으로 유의한 영향(=.11, p<.05)을 미치며, 긍정 정서 각성(=.23, p<.05)

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다만, 성실성과 부정정서 각성은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Ireland & Lent(2018)에서 외향성과 진로학습경험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외향성은 긍정 정서 각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 p<.05). 이러한 결과는 외향성의 하위 구인으로 긍정적 정서가 있는 것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Ireland & Lent(2018)에서는 외향성과 진 로학습경험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할 때, 외향성과 긍정 정서 각성간의 관 계에 대한 가설만을 설정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경험적 검증 결과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Brown & Hirschi(2013)는 외향적인 사람들은 덜 외향적인 사 람들 보다 타인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일을 좀 더 수월하게 행할 것이라고 주장 하였고, 자아 탐색 및 진로 탐색이 필요한 진로 탐색 및 결정 과정에서 외향적 인 사람들은 그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 탐색을 좀 더 편안하게 추구할 것 같다고 주장하였다. Lent et al.(2013)에서 외향성이 진로 탐색 및 결정 행동과 관련되 어 있다고 가정한 것은 이러한 맥락과 일치한다. 그런데 만약 외향성이 진로 탐 색 및 결정 행동과 관련되어 있다면, 과거의 진로 탐색 및 결정 과정 중에서 일 어나는 진로 학습경험도 외향적인 사람들은 덜 외향적인 사람들보다 더 많이 했 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외향성과 진로학습경험의 관계에 대해서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가 부족하여 이러한 관계에 대한 검증이 부족 하였고, 따라서 이 연구모형에서는 외향성과 진로학습경험의 직접적인 관계를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개방성 및 진로학습경험의 관계를 살펴보면, 개방성은 Lent et al.(2013)에 따라서 진로 탐색 및 결정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었으며, 진로학 습경험과의 관계는 구체적으로 설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개방성의 특성을 고려 할 때, 개방성이 높은 사람들은 기존의 가치에 도전적, 혁신적이며 새로운 가치 를 쉽게 수용하는 경향이 있다(전미리, 2017). 또한 새로운 경험을 도전보다는 성장의 기회로 간주하며 모호한 상태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Brown

& Hirschi, 2013). 또한 개방성은 진로탐색(Blustein, Devenis, & Kidney, 1989) 및 정체감 탐색(Clancy & Dollinger, 1993)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방성의 특징에 따라서, 개방성은 진로학습경험에 직접 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개방성이 진로학습경 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2) 성격(성실성, 외향성, 개방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진로 자기관리모형에서 성실성은 진로 탐색 및 결정 과정에서 목표와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가정되었다. 따라서 이를 검증한 Lent et al.(2016) 의 연구에서는 성실성 및 진로탐색의도의 직접적인 관계를 상정하여 검증하였 다. 그러나 해당 연구에서는 성실성의 조직적이며 지속적인 특성이 성공적으로 결정을 내리도록 돕기 때문에 성실한 사람일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간주하였다. 따라서 성실성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직접 적인 관계를 설정하여 경험적으로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성실성이 진로 결정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48, p<.05)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전미리(2017) 연구에서는 성실성, 외향성 및 개방성 각각의 성격요인과 부모진로지지, 진로결정결과기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탐색의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해당 연구에 따르면 성실성은 진로결정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342, p<.05)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해당 연구에서 따르면 외 향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193, p<.05)을 주었 으며, 개방성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309, p<.05)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미리(2017)에서 성실성, 외향성, 개방성을 각각 비교하여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성실성, 개방성 및 외향성의 순 서대로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purk &

Abele(2011)의 연구 및 Hartman & Betz(2007)의 연구에서도 외향성의 수준 이 높을수록 높은 직업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보인다고 보고되었다.

나. 성격(성실성, 외향성, 개방성)과 진로탐색의도의 관계에서 사회인지요 인(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의 매개효과

Ireland & Lent(2018)에서 진로학습경험의 5가지 하위 구인을 구분하여 5 가지 변인을 설정하여 진로자기관리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해당 모형에서 성실 성 및 외향성과 진로학습경험의 관계 뿐 아니라 성실성 및 외향성 및 진로탐색 의도의 관계에서 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결과기대의 간 접효과도 검증하였다. 우선, 성실성의 경우 3가지의 간접경로가 확인되었는데, 첫 번째로 성실성-성공경험-진로결정자기효능감-진로결정결과기대-진로탐색 의도에 이르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해당 경로의 경우, 성실성이 진로탐색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007, p<.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성실성-긍정정서각성-진로결정자기효능감-진로결정결과기대-진로탐색의도에 이르는 경로가 확인되었으며 해당 경로에서 성실성은 진로탐색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005, p<.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실성-대리 학습-진로결정결과기대-진로탐색의도에 이르는 경로가 확인되었으며 해 당 경로에서 성실성은 진로탐색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009, p<.05). 이러한 결과는 성실성이 성공 경험, 언어적 격려, 대 리학습 및 긍정정서각성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는 하였으나 진로탐색에 이르는 경로에서는 성공 경험, 대리학습 및 긍정 정서 각성의 2개 학습경험 하 위요인만이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외향성의 경우 외 향성-긍정정서각성-진로결정자기효능감-진로결정결과기대-진로탐색의도에 이 르는 경로가 확인되었으며, 해당 경로에서 외향성은 진로탐색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005, p<.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성과 진로탐색의도의 관계에서 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 결정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직접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나, 개 방성 및 진로학습경험의 관계(Lent et al., 2013; 전미리, 2017)와 진로학습경험 및 진로탐색의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결과기대의 관계 (Lent et al., 2017)를 통하여 개방성-진로학습경험-진로결정자기효능감-진로

결정결과기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성실성, 외향성 및 개방성이 각각 진로탐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 기효능감 및 진로결정결과기대가 매개한다고 가정하여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