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 연구와의 차이점

농어촌 민간병원에 대한 선행 연구는 대부분 재무성과와 비재무 성과를 분 석하였다. 앞의 <표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울대병원부설 병원연구소 (1985, 1989), 한국인구보건연구원(1987), 한국생산성본부(1989), 한국의료관리 연구원(1993a, 1993b),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1998) 등의 연구에서는 농어촌 병원의 재무성과와 진료실적 등 비재무 성과를 분석하는데 머물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농어촌병원의 재무성과 및 비재무 성과를 분석하였을 뿐만 아 니라 농어촌병원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이하 ‘DEA’)분석을 병행하였다. 물론 이 연구에서 병행한 DEA분석 을 한국보건산업진흥원(1999)의 연구에서도 재무성과 및 비재무 성과와 함께 병행 사용한 것 자체는 동일하지만 DEA 효율성 점수를 활용한 것에서는 차 이가 있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DEA분석은 전체기술적효율성(CCR)의 효 율성 점수 90점 이상인 경우는 ‘상위’로, 효율성 점수 80점 이상 - 90점 미만 인 경우는 ‘중위’로, 효율성 점수 80점 미만인 경우는 ‘하위’로 구분하여 병원 을 등급화하기 위한 하나의 평가 항목으로 활용하는데 머물렀다. 이 연구에서 는 연구 대상 병원인 농어촌병원과 비교 대상 병원인 도시지역병원을 포함한 138개 병원에 대해 DEA 효율성 분석을 한 다음에 농어촌병원 중 전체기술효 율성(CCR) 점수대를 ‘효율성이 좋은 병원(효율성 점수 80점 이상)’ ‘효율성이 보통인 병원(효율성 점수 49-79점)’ ‘효율성이 나쁜 병원(효율성 점수 40점)’으 로 3개 군으로 나누고 그 농어촌병원의 3개 효율성 점수대별 병원 간의 병원 운영 실태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활용하였다. 그러한 DEA 효율성 분석을 바탕 으로 한 농어촌병원 운영 실태 특성에 대한 분석은 농어촌 민간병원의 경영 전반적인 상황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정부가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시행규칙」의 개정에 따라 농어촌 민간병원을 의료취약지 거점 의료 기관으로 지정할 경우 농어촌병원들 간의 효율성 차이가 어떤 정책적 함의를 갖고 있는가를 찾고자 하는데서 선행연구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병원인 농어촌병원과 비교 대상인 도시지 역병원에 대한 연구 자료의 비교기간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한국보건의료관 리연구원(1998)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1999)의 선행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병원 인 농어촌병원의 자료는 3개년의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였고 비교 대상 병원의 자료는 특정 1년을 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병원인 농어촌병원과 비교 대상 병원인 도시지역의 병원에 대한 자료를 동일 하게 5년의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 밖에 자료 수집 대상 병원의 수가 선행연구는 최대 63개였지만 이 연구에 서는 114개의 병원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 4장 연구 방법

관련 문서